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리적 인자 분석을 통한 내건성 식물 선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양한 생리적 인자를 사용하여 참느릅나무 등 총 26 종의 식물체를 대상으로 내건성을 검정하였다. 새, 도깨비가지, 긴담배풀은 수분 중단 8 일 후부터 시들었다. 매듭풀, 비수리와 참느릅나무는 수분 중단 9-10 일 후부터 80% 이상이 시들었다. 매듭풀은 수분 중단 10 일후부터, 비수리와 참느릅나무는 수분중 단 11 일후부터 90% 이상이 시들었다. 수분 공급을 중단하는 처리를 통하여 새, 도깨비가지, 참느릅나무, 매듭풀, 비수리와 참느릅나무는 내건성 식물종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가운데 차풀의 증산률은 0.042ml/cm2·4hr 로 가장 높은 반면에, 비수리와 참느릅나무는 각각 0.005 와 0.010ml/cm2·4hr 의 낮 은 값을 나타내었다. 생리적 인자들의 테스트에서, 잎 면적와 증산률은 식물종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참 느릅나무의 단위 증산률은 다른 식물종들과 비교하여 낮은 값을 가졌다. 새, 매듭풀, 비수리와 참느릅 나무는 높은 상대수분함량을 가졌으며, 낮은 상대수분손실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건성 식물은 비수리와 참느릅나무로 최종 확인되었고, 생리적 인자를 이용한 내건성 식물을 선발 시스템이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번역하기

      다양한 생리적 인자를 사용하여 참느릅나무 등 총 26 종의 식물체를 대상으로 내건성을 검정하였다. 새, 도깨비가지, 긴담배풀은 수분 중단 8 일 후부터 시들었다. 매듭풀, 비수리와 참느릅나...

      다양한 생리적 인자를 사용하여 참느릅나무 등 총 26 종의 식물체를 대상으로 내건성을 검정하였다. 새, 도깨비가지, 긴담배풀은 수분 중단 8 일 후부터 시들었다. 매듭풀, 비수리와 참느릅나무는 수분 중단 9-10 일 후부터 80% 이상이 시들었다. 매듭풀은 수분 중단 10 일후부터, 비수리와 참느릅나무는 수분중 단 11 일후부터 90% 이상이 시들었다. 수분 공급을 중단하는 처리를 통하여 새, 도깨비가지, 참느릅나무, 매듭풀, 비수리와 참느릅나무는 내건성 식물종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가운데 차풀의 증산률은 0.042ml/cm2·4hr 로 가장 높은 반면에, 비수리와 참느릅나무는 각각 0.005 와 0.010ml/cm2·4hr 의 낮 은 값을 나타내었다. 생리적 인자들의 테스트에서, 잎 면적와 증산률은 식물종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참 느릅나무의 단위 증산률은 다른 식물종들과 비교하여 낮은 값을 가졌다. 새, 매듭풀, 비수리와 참느릅 나무는 높은 상대수분함량을 가졌으며, 낮은 상대수분손실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내건성 식물은 비수리와 참느릅나무로 최종 확인되었고, 생리적 인자를 이용한 내건성 식물을 선발 시스템이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rought tolerant species from 26 Korean native plants were selected using different physiological indicators. Arundinella hirta, Solanum carolinense and Carpesium divaricatum were withered after 8days of the stopping of irrigation. Plants except Kummerowia striata, Lespedeza cuneata and Ulmus parvifolia were withered in over 80% at 9-10days of the irrigation stopping. K. striata was withered after 10days, and L. cuneata and U. parvifolia were withered in over 90% after 11days of the stopping of irrigation. As stopping experiment of irrigation, A. hirta, S. carolinense, C. divaricatum, K. striata, L. cuneata and U. parvifolia were proved to be drought tolerant species. Among those plant species, transpiration rate of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Makino was high as 0.042ml/cm2·4hr. However, unit transpiration rate of U. parvifolia and L. cuneata were 0.005 and 0.010ml/cm2·4hr, respectively. In testing of physiological indicators, leaf area and transpiration rate were different among plant species. Unit transpiration rate of U. parvifolia was lower compared with other plant species. L. cuneata, U. parvifolia, Kummerowia striata, Arundinella hirta and C. divaricatum were high in relative water content and low in relative water loss. As this results, L. cuneata and U. parvifolia. were identified as drought tolerant species.
      번역하기

      Drought tolerant species from 26 Korean native plants were selected using different physiological indicators. Arundinella hirta, Solanum carolinense and Carpesium divaricatum were withered after 8days of the stopping of irrigation. Plants except Kumme...

      Drought tolerant species from 26 Korean native plants were selected using different physiological indicators. Arundinella hirta, Solanum carolinense and Carpesium divaricatum were withered after 8days of the stopping of irrigation. Plants except Kummerowia striata, Lespedeza cuneata and Ulmus parvifolia were withered in over 80% at 9-10days of the irrigation stopping. K. striata was withered after 10days, and L. cuneata and U. parvifolia were withered in over 90% after 11days of the stopping of irrigation. As stopping experiment of irrigation, A. hirta, S. carolinense, C. divaricatum, K. striata, L. cuneata and U. parvifolia were proved to be drought tolerant species. Among those plant species, transpiration rate of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Makino was high as 0.042ml/cm2·4hr. However, unit transpiration rate of U. parvifolia and L. cuneata were 0.005 and 0.010ml/cm2·4hr, respectively. In testing of physiological indicators, leaf area and transpiration rate were different among plant species. Unit transpiration rate of U. parvifolia was lower compared with other plant species. L. cuneata, U. parvifolia, Kummerowia striata, Arundinella hirta and C. divaricatum were high in relative water content and low in relative water loss. As this results, L. cuneata and U. parvifolia. were identified as drought tolerant spec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