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농업 분야 유용미생물 자원의 국가적 확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이들의 생물분류학적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들에 대해 생물 종 다양성 지수를 도입하여 평가하였다. 대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35362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22(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농업 분야 유용미생물 자원의 국가적 확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이들의 생물분류학적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들에 대해 생물 종 다양성 지수를 도입하여 평가하였다. 대표...
본 연구에서는 농업 분야 유용미생물 자원의 국가적 확보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이들의 생물분류학적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이들에 대해 생물 종 다양성 지수를 도입하여 평가하였다. 대표적인 생물다양성 평가방법인 Margalef’s richness 및 Mehinick’s index를 각각 적용한 경우 세균은 각각 8.537, 3.546, 진균은 각각 3.349, 2.167의 값을 나타내었다. 높은 수준의 다양성을 가지고 연구·개발되고 있는 이들 농업 분야 유용미생물 및 농산물의 수확 후 선도저하를 유발한다고 보고된 주요 미생물들의 분류학적 위치를 비교하였을 때 일부 미생물이 유사한 분류학적 위치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친환경 농업 분야 유용미생물의 연구개발 및 작물 내생 미생물에 관한 연구 등 농업 분야 미생물에 대한 전반 적인 연구현황을 고찰하여 농산물의 수확 후 선도관리를 위한 보완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securing state of nationally indicated beneficial microbial resources was evaluated in an aspect of bio-diversity using their taxonomical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analysis result with the Margalef's richness or the Mehinick’s...
In this study, the securing state of nationally indicated beneficial microbial resources was evaluated in an aspect of bio-diversity using their taxonomical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analysis result with the Margalef's richness or the Mehinick’s index which are representative bio-diversity analytical indices, species diversity values was revealed as 8.537, 3.546 within bacterial resources, 3.349, 2.167 within fungal resources. Several developed or researched beneficial strains and spoilage microbes showed relative taxonomical relationship with comparation of their biological information. As a result, we propose the necessity or countermeasure method for preventing the microbial spoilage with the overhauling consideration of advanced research on agricultural microbiology covering crop endophyte beneficial/spoilage microorganisms.
산겨릅나무(Acer tegmentosum Max.)의 액아배양으로부터 다신초 형성을 통한 대량증식
중국 감숙성 백은시 사막지역의 사막화 방지를 위한 식생조림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