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새만금 신간척지 토양의 염농도별 식생특성 =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on Soils Having Different Salinity in Recently Reclaimed Saemangeumin Region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696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간척지를 농업용지로 개발하는데 간척지에 자생하는 식생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새만금 간척지 내 계화지구에서 식생군락에 따라 식물종을 분류하고 토양 화학성과의 ...

      간척지를 농업용지로 개발하는데 간척지에 자생하는 식생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새만금 간척지 내 계화지구에서 식생군락에 따라 식물종을 분류하고 토양 화학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담수면 토양을 기점으로 조사된 위치별 토양염농도는 담수면 인접부가 22.3dS m-1 로 가장 높았고 육지쪽으로 진행될수록 낮아져 해수면에서 2km이상 되는 지점에서는 1.1~3.44dS m-1를 나타냈다. 자생하는 식물은 6과 26종이 조사되었으며, 식물종별 발생빈도는 갯개미취, 비짜루국화가 61.5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고, 이어 갈대와 갯꾸러미풀이 53.8이었다. 식생의 발생은 토양 염농도 14dS m-1 지점에서 시작되었고 주로 명아주과 염생식물들인 퉁퉁마디, 나문재, 칠면초, 해홍나물 등이 나타났다. 이후 6.7dS m-1지점에서부터 화본과 식물인 갈대, 갯꾸러미풀 등이 나타났고, 5dS m-1 에서 사초과 식물이 나타났다. 3dS m-1이하에서는 비짜루국화, 갈대, 피, 갯잔디, 망초 등 중성식물들이 나타났다. 식생 종수는 염생식물과 중생식물이 동시에 나타나는 5dS m-1 지점에서 많았고, Biomass는 갈대가 우점한 식생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갈대+자귀풀이 우점한 식생에서 많았다. 식생의 생장량은 토양 염농도와는 부의상관을 나타냈고, 유기물함량과는 정의상관을 나타냈으며, pH와 식생의 우점도간에는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vegetation changes and soil characteristics in Saemangeum new reclaimed tidal land. Soil salinity in border area to tidal land was 22.3 dS m-1 but showed 1.1~3.44 dS m-1 over the distance of 2 km from border line. 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vegetation changes and soil characteristics in Saemangeum new reclaimed tidal land. Soil salinity in border area to tidal land was 22.3 dS m-1 but showed 1.1~3.44 dS m-1 over the distance of 2 km from border line. The vascular plants in survey sites were recorded as total 26 taxa in 6 families. The frequency of species appearance of Aster tripolium, A. subulatus var. sandwicensis were highest by 61.5 and that of Phragmites communis, Puccinellia nipponica were 53.8. The almost vegetations occurred in the patch which range of soil salinity 14 dS m-1 were halophytes as Salicornia europaea, Suaeda asparagoides, S. japonica. As lowed soil salinity as 6.7 dS m-1, mixed vegetation of halophytes with P. communis, P. nipponica, Carex pumila were occurred. Dominant species in the range of 3.0 dS m-1 area were A. subulatus var. sandwicensis, P. communis, Echinochloa spp., Zoysia sinica and Conyza canadensis. Biomass production was the highest in the area of dominant vegetation with P. communis, and mixed zone with P. communis and Aeschynomene indica are followed. The correlation between vegetation biomass and soil salinity, soil pH and dominance index of vegetation were negative. But that of vegetation biomass and soil organic content were posit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인용문헌
      • ABSTRACT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현보,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 39 (39): 264-276, 2009

      2 양창휴, "하해혼성 평야지 논토양에서 유기물 장기 연용이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질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3 (43): 981-986, 2010

      3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하)" 향문사 2003

      4 김은규, "우리나라 중서부 서해안 대호 간척지의 식생 분포와 토양 염농도"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447-453, 2009

      5 김하송, "순천만 염생식물 서식지의 토양환경 특성" 한국도서(섬)학회 22 (22): 131-141, 2010

      6 이영노, "새로운 한국 식물도감" 교학사 2006

      7 日本土壤肥料學會, "植物における鹽害發生の機構と耐塩性" 博友社 123-153, 1991

      8 Park, C. M., "Studies on the reed(Phragmites communies Trinius) as animal feed resources. 1. Nutritive values of dried reed meal in the rations of growing-finishing swine" 25 (25): 210-218, 1983

      9 Ihm, B. S., "Soil factors affecting the plant communities of wetland o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21 (21): 321-328, 1998

      10 Lee S. K., "Seasonal change of the productivity of Phragmites lngivalvis grassland on the soil salinity" 19 (19): 42-47, 1977

      1 심현보,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 39 (39): 264-276, 2009

      2 양창휴, "하해혼성 평야지 논토양에서 유기물 장기 연용이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질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3 (43): 981-986, 2010

      3 이창복, "원색대한식물도감(하)" 향문사 2003

      4 김은규, "우리나라 중서부 서해안 대호 간척지의 식생 분포와 토양 염농도" 한국토양비료학회 42 (42): 447-453, 2009

      5 김하송, "순천만 염생식물 서식지의 토양환경 특성" 한국도서(섬)학회 22 (22): 131-141, 2010

      6 이영노, "새로운 한국 식물도감" 교학사 2006

      7 日本土壤肥料學會, "植物における鹽害發生の機構と耐塩性" 博友社 123-153, 1991

      8 Park, C. M., "Studies on the reed(Phragmites communies Trinius) as animal feed resources. 1. Nutritive values of dried reed meal in the rations of growing-finishing swine" 25 (25): 210-218, 1983

      9 Ihm, B. S., "Soil factors affecting the plant communities of wetland o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21 (21): 321-328, 1998

      10 Lee S. K., "Seasonal change of the productivity of Phragmites lngivalvis grassland on the soil salinity" 19 (19): 42-47, 1977

      11 Hong. W. S., "Investigation report on plants on Yongzong island" 1 : 7-15, 1958

      12 Kim, J. H., "Ecological studies on the halophyte communities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 in Korea:on the soil properties, species, diversity and mineral cyclings in reclaimed soil in Incheon" 26 : 53-71, 1983

      13 Lee, W. T., "Ecological studies on the costal vegetation in Korea:The vegetation type and the standing crop of the sand dune on the east cost" 16 : 113-124, 1982

      14 Lee, W. T., "Ecological studies on the costal plant in Korea:Floristic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 of the sand dune on the south cost" 63 : 177-186, 1983

      15 USSL,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saline and alkali soils"

      16 Lee, S. H., "Changes in early stage vegetation succession as affected by desalinization process in Dae-Ho reclaimed land" 19 (19): 364-369, 2000

      17 Kim S. H.,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on reclaimed Daeho tidal flat" 39 (39): 337-345,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2-12-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Weed&Turfgrass Science</br>외국어명 : Weed&Turfgrass Science
      2012-12-01 평가 학술지 통합(기타)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8-04-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잡초학회지</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7-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잡초학회지</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