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원격 교육에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사용용이성, 자기효능감, 우울이 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와 학업 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Studying in Distance Education Due to 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46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depression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persistence in the COVID-19 epidemic and the resulting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were identified as media...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depression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persistence in the COVID-19 epidemic and the resulting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were identified as mediating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in Daegu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path coefficient was estimated by the Smart PLS bootstrap metho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ath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continuity intention as a parameter.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continuity inten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hird, depression and ease of us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Finally,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continuity intention with self-efficacy, usefulness, ease of use, and depress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parameters. As a result of both regression analyses, it was found that β values decreased, and learning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to increase learner satisfaction and develop various content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at can increase self-efficacy and perceived usefulness should be conducted in parallel. I think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measures to continue studying for college students in natural disaster situations or psychological crisis situations called COVID-1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순식,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 수용 및 활용 탐색" 한국정보교육학회 15 (15): 265-275, 2011

      2 이동훈 ; 김예진 ; 이덕희 ; 황희훈 ; 남슬기 ; 김지윤,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2119-2156, 2020

      3 이종만, "코로나19로 인한 원격 교육에서 유튜브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이 대학생들의 학업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박적 유튜브 사용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6 (26): 137-142, 2021

      4 김한나 ; 감성원,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동영상 수업의 강의만족도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효능감의 매개 효과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363-387, 2021

      5 이은환, "코로나19 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경기연구원 1-25, 2020

      6 박지현 ; 박지현,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생이 지각한 우울 및 불안의 양상과 긍정심리자본의 영향"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10 (10): 51-71, 2021

      7 최진오, "초등학생의 가정문제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분노와 ADHD성향의 다중매개효과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6 (16): 139-150, 2018

      8 이명숙 ; 이규민,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개념, 학교적응 및 학교부적응행동 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0 (40): 167-193, 2009

      9 조수선 ; 주라헬, "온라인 학습 환경의 편리성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9 (29): 225-246, 2021

      10 신소영 ; 김지심, "수업영향요인과 수업, 교육만족도와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383-402, 2016

      1 서순식, "확장된 정보기술수용모델(TAM)을 기반으로 디지털교과서 수용 및 활용 탐색" 한국정보교육학회 15 (15): 265-275, 2011

      2 이동훈 ; 김예진 ; 이덕희 ; 황희훈 ; 남슬기 ; 김지윤,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2119-2156, 2020

      3 이종만, "코로나19로 인한 원격 교육에서 유튜브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즐거움이 대학생들의 학업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박적 유튜브 사용을 중심으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6 (26): 137-142, 2021

      4 김한나 ; 감성원,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동영상 수업의 강의만족도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효능감의 매개 효과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363-387, 2021

      5 이은환, "코로나19 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경기연구원 1-25, 2020

      6 박지현 ; 박지현,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생이 지각한 우울 및 불안의 양상과 긍정심리자본의 영향"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10 (10): 51-71, 2021

      7 최진오, "초등학생의 가정문제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분노와 ADHD성향의 다중매개효과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6 (16): 139-150, 2018

      8 이명숙 ; 이규민,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개념, 학교적응 및 학교부적응행동 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0 (40): 167-193, 2009

      9 조수선 ; 주라헬, "온라인 학습 환경의 편리성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인지된 이용 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학습만족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9 (29): 225-246, 2021

      10 신소영 ; 김지심, "수업영향요인과 수업, 교육만족도와 학습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383-402, 2016

      11 박지영, "선취업 후진학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에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평생교육전공 2018

      12 조향미,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학습몰입, 지각된현존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대학원 2019

      13 김인환 ; 남윤철, "사물인터넷(IoT) 전시 서비스품질이 전시수용에 미치는 영향"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17 (17): 13-28, 2021

      14 김진민 ; 김재영, "모바일 서비스에서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활용한 유ㆍ무료의 조절효과 분석"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14 (14): 229-239, 2018

      15 강명희 ; 이은경 ; 이응택, "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의 변화 추이와 영향 요인"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58) : 5-30, 2019

      16 김경령 ; 서은희, "대학생의 우울수준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적, 정의적 특성의 차이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37-257, 2018

      17 성정혜 ; 김춘경, "대학생의 역기능적 분노표현 및 부정적 정서조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조절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4 (34): 73-91, 2018

      18 박혜정 ; 최명숙, "대학 교육에서 e-러닝의 학습효과와 관련된변인들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4 (24): 27-53, 2008

      19 차민정, "고등교육 이러닝에서 교수자와 학습자행위가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대학원 2018

      20 Baron, R. M, "The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21 Ahorsu, D. K, "The fear of COVID-19 scal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2020

      22 Yang, D, "The effect of the 2019 novel coronavirus pandemic on college students in Wuhan" 12 (12): 6-14, 2020

      23 Rossi, A, "The anxiety-buffer hypothesis in the time of COVID-19: when self-esteem protects from loneliness and fear for anxiety and depression" 11 (11): 10-3389, 2020

      24 Bono, G, "Stress and wellbeing in urban college students in the U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an grit and gratitude help?" 10 (10): 39-57, 2020

      25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84): 191-215, 1977

      26 Davis, F. D, "Pre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13 (13): 319-340, 1989

      27 Pintrich, P. R, "Multiple goals, multiple pathways: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learning and achievement" 92 (92): 544-555, 2000

      28 Huang, Y,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depressive symptoms and sleep quality during COVID-19 outbreak in China: a web-based cross-sectional survey" 112954-, 2020

      29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30 Dong, L, "Discovering drugs to treat coronavirus disease 2019(COVID-19)" 14 (14): 58-60, 2020

      31 Fishbein, M,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6-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디지털산업정보학회 ->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6 0.30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