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상당기간 지속된 도로 인프라 공급을 단순 시설수준 지표가 아닌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도로 인프라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동시에 고려하는 측정지표를 개발하여 지역별 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04848
2018
Korean
학술저널
67-72(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상당기간 지속된 도로 인프라 공급을 단순 시설수준 지표가 아닌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도로 인프라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동시에 고려하는 측정지표를 개발하여 지역별 도...
본 연구에서는 상당기간 지속된 도로 인프라 공급을 단순 시설수준 지표가 아닌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도로 인프라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동시에 고려하는 측정지표를 개발하여 지역별 도로 인프라 공급수준을 평가하였다. 기존의 인당 연장, 면적당 연장 등과 같은 단순 지표로는 현재까지 수행된 인프라 구축에 대한 성과를 제대로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어, 그 대안으로 교통수요와 그에 대한 적절한 공급이 이루어졌는가를 나타내는 도로 서비스 수준 지표로 도로 인프라 공급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지역의 도로 공급수준 산정 방식을 우리나라 252개 시군구에 적용하여 시군구별 도로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서울특별시를 포함하여, 경기도 일대 주변 위성도시, 주요 5대 광역시 도심부의 도로 서비스 수준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지역일수록 도로 서비스 수준이 점차 양호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외의 지역은 (강원도 대부분 지역, 전라 남북도 일부 지역, 경상북도 일부지역) 모두 도로 서비스 수준이 양호한 것으로 드러났다.
모빌리티 매니지먼트를 활용한 대학생과 직장인 그룹의 승용차 이용저감에 관한 의식변화 비교분석
잠재 계층 클러스터를 이용한 사회관계 접촉의 동적 패턴과 활동-통행 패턴 간 연관관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