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역방재력 향상을 위한 방재마을 만들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Vitalizing a Project for Building a Disaster Resistant Community to Enhance Local Disaster Prev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092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to facilitate implementing a pilot project for building a disaster resistant community organized b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in 2008, and ultimately to expand the project nation-wide. Regarding legislative aspects, legal grounds should be established such as devising a new clause in the Counter Measure for Natural Disaster for assigning a disaster resistant community or city, and devising a tentatively named "Act for Disaster Resistant Community Project" as a local governance regulation. Regarding administrative aspects, a project master plan focused on active participation of the local residents should be designed. Moreover, a certain amount of the project budget should be alloted not only to structural contents but also to non-structural contents. Regarding organizational aspects, an education program for training local disaster prevention leaders should be actively promoted and a local disaster prevention governance system should also be established among official and inofficial local organizations. Furthermore a preemptive consulting system with disaster prevention experts as well as an evaluation system to monitor the project implementation process should be introduced.
      번역하기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to facilitate implementing a pilot project for building a disaster resistant community organized b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in 2008, and ultimately to expand the project nati...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to facilitate implementing a pilot project for building a disaster resistant community organized b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in 2008, and ultimately to expand the project nation-wide. Regarding legislative aspects, legal grounds should be established such as devising a new clause in the Counter Measure for Natural Disaster for assigning a disaster resistant community or city, and devising a tentatively named "Act for Disaster Resistant Community Project" as a local governance regulation. Regarding administrative aspects, a project master plan focused on active participation of the local residents should be designed. Moreover, a certain amount of the project budget should be alloted not only to structural contents but also to non-structural contents. Regarding organizational aspects, an education program for training local disaster prevention leaders should be actively promoted and a local disaster prevention governance system should also be established among official and inofficial local organizations. Furthermore a preemptive consulting system with disaster prevention experts as well as an evaluation system to monitor the project implementation process should be introduc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08년부터 소방방재청이 추진하고 있는 방재마을 만들기 시범사업을 조기에 정착하고 전국적으로 확대하기 위해서 법률적인 측면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에 방재도시(마을)의 지정에 관한 조항 신설과 지방자치조례로“(가칭) 방재마을 만들기 조례”를 제정하는 등 법적기반을 마련하여야 하고, 행정계획적 측면에서는 주민주도형 방재마을 사업계획서의 수립과 더불어 사업내용이 구조적인 컨텐츠 뿐만 아니라 비구조적인 컨텐츠에도 일정규모의 사업비를 배분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조직적 측면에서는 지역 방재리더 육성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지역사회의 공식적·비공식적 조직간에 지역방재 거버넌스 체제도 구축하여야 하며, 방재전문가에 의한 사전 컨설팅제도 및 사업추진과정에 대한 평가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2008년부터 소방방재청이 추진하고 있는 방재마을 만들기 시범사업을 조기에 정착하고 전국적으로 확대하기 위해서 법률적인 측면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에 방재도시(마을)의 지정에 관한 ...

      2008년부터 소방방재청이 추진하고 있는 방재마을 만들기 시범사업을 조기에 정착하고 전국적으로 확대하기 위해서 법률적인 측면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에 방재도시(마을)의 지정에 관한 조항 신설과 지방자치조례로“(가칭) 방재마을 만들기 조례”를 제정하는 등 법적기반을 마련하여야 하고, 행정계획적 측면에서는 주민주도형 방재마을 사업계획서의 수립과 더불어 사업내용이 구조적인 컨텐츠 뿐만 아니라 비구조적인 컨텐츠에도 일정규모의 사업비를 배분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조직적 측면에서는 지역 방재리더 육성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지역사회의 공식적·비공식적 조직간에 지역방재 거버넌스 체제도 구축하여야 하며, 방재전문가에 의한 사전 컨설팅제도 및 사업추진과정에 대한 평가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수, "행정학 사전" 175-, 2009

      2 김경남, "지역재난관리의 주민조직 활성화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2007

      3 김경남, "지역방재력 평가에 관한 연구(2): 강원도를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 9 (9): 81-89, 2009

      4 강원도 재난방재과, "안전한 나라만들기 안전도시(SAFE CITY)사업 추진계획(안)" 2009

      5 균형발전지원본부, "살기좋은 지역 및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 개념정립 연구용역 보고서" 2007

      6 정승현, "살고싶은 도시만들기의 성과와 과제" 국토 6-11, 2008

      7 소방방재청, "방재시범마을 조성을 위한 연구" 2007

      8 권건주, "방재시범마을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삼척시 정라지구를 중심으로" 7 (7): 35-64, 2009

      9 "방재시범마을"

      10 백민호, "방재도시(마을) 만들기" 11 (11): 54-68, 2009

      1 이종수, "행정학 사전" 175-, 2009

      2 김경남, "지역재난관리의 주민조직 활성화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2007

      3 김경남, "지역방재력 평가에 관한 연구(2): 강원도를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 9 (9): 81-89, 2009

      4 강원도 재난방재과, "안전한 나라만들기 안전도시(SAFE CITY)사업 추진계획(안)" 2009

      5 균형발전지원본부, "살기좋은 지역 및 살기좋은 지역 만들기 개념정립 연구용역 보고서" 2007

      6 정승현, "살고싶은 도시만들기의 성과와 과제" 국토 6-11, 2008

      7 소방방재청, "방재시범마을 조성을 위한 연구" 2007

      8 권건주, "방재시범마을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삼척시 정라지구를 중심으로" 7 (7): 35-64, 2009

      9 "방재시범마을"

      10 백민호, "방재도시(마을) 만들기" 11 (11): 54-68, 2009

      11 정석, "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현 기본방향" 서울시정개발연구원 4-5, 1999

      12 문채, "도시방재에 관한 연구: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2003

      13 山本 正典, "地震防災における協働"

      14 "http://www.elis.go.k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