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르누보의 4가지 표현양식에 따른 도자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eramics according to Art Nouveau's Four Express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15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chanical production methods caused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brought convenience to human life,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lot of confrontation over the damage to the value of crafts that had been mainly handmade based on craftsmanship. It is "Art nouveua" that occurred to overcome the damaged culture of crafts. The Art Nouveau style serves as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 status of crafts that have been treated as lower art than pure art as well as the value of manual work that has been declining. Art Nouveau style began in France, and since then, it has gradually expanded its influence not only throughout Europe but also throughout North America, and among various crafts, it has been expressed by borrowing style from ceramics. In the process, it can be seen that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are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gion, which is eventually related to the Art Nouveau chronology from the early to the late period. Art Nouveau can be divided into a total of four types of art Nouveau expression styles in the first, middle, mid to late, and last stages, and it can be seen that art Nouveau's characteristics appear according to the period and region in the process of spreading throughout Europe and North America based on France. In the case of France, it is characterized by a flexible shipping flow in an unbalanced curve,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art nouveau, and in the middle of the year, it expressed art nouveau in full bloom based on abundant curves across Europe. In the case of the United Kingdom, which uses mid-late art nouveau, it reduces the abundance of curves and is characterized by ceramics strictly centered on balance and simplicity, and in Germany and Austria,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late art nouveau and uses geometric shapes and lines structurally.
      번역하기

      Mechanical production methods caused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brought convenience to human life,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lot of confrontation over the damage to the value of crafts that had been mainly handmade ...

      Mechanical production methods caused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brought convenience to human life,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lot of confrontation over the damage to the value of crafts that had been mainly handmade based on craftsmanship. It is "Art nouveua" that occurred to overcome the damaged culture of crafts. The Art Nouveau style serves as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 status of crafts that have been treated as lower art than pure art as well as the value of manual work that has been declining. Art Nouveau style began in France, and since then, it has gradually expanded its influence not only throughout Europe but also throughout North America, and among various crafts, it has been expressed by borrowing style from ceramics. In the process, it can be seen that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Art Nouveau are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gion, which is eventually related to the Art Nouveau chronology from the early to the late period. Art Nouveau can be divided into a total of four types of art Nouveau expression styles in the first, middle, mid to late, and last stages, and it can be seen that art Nouveau's characteristics appear according to the period and region in the process of spreading throughout Europe and North America based on France. In the case of France, it is characterized by a flexible shipping flow in an unbalanced curve,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art nouveau, and in the middle of the year, it expressed art nouveau in full bloom based on abundant curves across Europe. In the case of the United Kingdom, which uses mid-late art nouveau, it reduces the abundance of curves and is characterized by ceramics strictly centered on balance and simplicity, and in Germany and Austria, i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late art nouveau and uses geometric shapes and lines structur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세기 말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계식 생산 방식은 인간 삶의 편리함을 가져다주었지만, 그에 반해장인정신을 기반으로 주로 수작업으로 제작되어 오던 공예품의 가치 훼손을 두고 많은 대립을 불러일으켰다. 이처럼 공예의 훼손된 문화를 극복해 나가기 위해 발생하게 된 것이 바로 ‘아르누보(Art nouveua)’이다. 아르누보 양식은 쇠퇴되어가던 수작업의 가치성은 물론 순수미술에 비해 낮은 예술로대우받아 오던 공예품들의 위상을 높여주는 계기로도 작용하게 된다. 아르누보 양식은 프랑스를 기반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유럽 전역은 물론 북미 지역까지 영향력을 점차 확대해 갔는데 다양한 공예품중에서도 특히 도자기에 양식을 차용하여 표현하였다. 그 과정에서 지역에 따라 아르누보의 표현적 특징이 다르게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초기부터 후기까지의 아르누보 연대기와 관련이있다. 아르누보는 전기, 중기, 중후반기, 후기 과정으로 총 4가지의 아르누보 표현 양식으로 구분할 수있는데 프랑스를 기반으로 유럽 전역 및 북미 전역으로 퍼져나가던 과정에서 아르누보의 시기 및 지역에 따른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랑스의 경우 초기 아르누보의 특성과 같이 불균형적 커브 속 유연한 선적 흐름이 특징이며 중반기의 경우 유럽 전역에서 풍만한 곡선을 기반으로 꽃이 만개한 형태의 아르누보를 표현해내었다. 중후기 아르누보를 사용한 영국의 경우 곡선의 풍만함을 줄이고균형미와 단순성을 중심으로 엄격하게 잡힌 도자기가 특징이며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경우 후기 아르누보의 특성을 보이며 기하학적 도형 및 선을 구조적으로 활용하여 나타낸 도자기를 보여주고 있다
      번역하기

      19세기 말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계식 생산 방식은 인간 삶의 편리함을 가져다주었지만, 그에 반해장인정신을 기반으로 주로 수작업으로 제작되어 오던 공예품의 가치 훼손을 두고 많은 대립...

      19세기 말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계식 생산 방식은 인간 삶의 편리함을 가져다주었지만, 그에 반해장인정신을 기반으로 주로 수작업으로 제작되어 오던 공예품의 가치 훼손을 두고 많은 대립을 불러일으켰다. 이처럼 공예의 훼손된 문화를 극복해 나가기 위해 발생하게 된 것이 바로 ‘아르누보(Art nouveua)’이다. 아르누보 양식은 쇠퇴되어가던 수작업의 가치성은 물론 순수미술에 비해 낮은 예술로대우받아 오던 공예품들의 위상을 높여주는 계기로도 작용하게 된다. 아르누보 양식은 프랑스를 기반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유럽 전역은 물론 북미 지역까지 영향력을 점차 확대해 갔는데 다양한 공예품중에서도 특히 도자기에 양식을 차용하여 표현하였다. 그 과정에서 지역에 따라 아르누보의 표현적 특징이 다르게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초기부터 후기까지의 아르누보 연대기와 관련이있다. 아르누보는 전기, 중기, 중후반기, 후기 과정으로 총 4가지의 아르누보 표현 양식으로 구분할 수있는데 프랑스를 기반으로 유럽 전역 및 북미 전역으로 퍼져나가던 과정에서 아르누보의 시기 및 지역에 따른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랑스의 경우 초기 아르누보의 특성과 같이 불균형적 커브 속 유연한 선적 흐름이 특징이며 중반기의 경우 유럽 전역에서 풍만한 곡선을 기반으로 꽃이 만개한 형태의 아르누보를 표현해내었다. 중후기 아르누보를 사용한 영국의 경우 곡선의 풍만함을 줄이고균형미와 단순성을 중심으로 엄격하게 잡힌 도자기가 특징이며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경우 후기 아르누보의 특성을 보이며 기하학적 도형 및 선을 구조적으로 활용하여 나타낸 도자기를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철 ; 김정아, "텍스타일디자인에 나타난 유럽의 국가별 아르누보 양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412-424, 2012

      2 김주연, "아르누보 양식을 통한 식물의 도자조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 정성은 ; 엄성도, "아르누보 도자공예 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도자학회 17 (17): 151-165, 2020

      4 허예슬 ; 박중원, "아르누보 도자 작품 분석 - 루이스 컴포트 티파니의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23 (23): 461-474, 2022

      5 김연화, "근대기 유럽과 한국의 아르누보 도자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3) : 321-332, 2009

      6 신나경, "‘감성’의 측면으로 본 동서양의 공예론 -윌리엄 모리스와 야나기 무네요시를 중심으로 -" 한국동양예술학회 (35) : 119-140, 2017

      7 "vam"

      8 "prices4antiques"

      9 "pamono"

      10 "metmuseum"

      1 이수철 ; 김정아, "텍스타일디자인에 나타난 유럽의 국가별 아르누보 양식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412-424, 2012

      2 김주연, "아르누보 양식을 통한 식물의 도자조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 정성은 ; 엄성도, "아르누보 도자공예 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도자학회 17 (17): 151-165, 2020

      4 허예슬 ; 박중원, "아르누보 도자 작품 분석 - 루이스 컴포트 티파니의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23 (23): 461-474, 2022

      5 김연화, "근대기 유럽과 한국의 아르누보 도자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3) : 321-332, 2009

      6 신나경, "‘감성’의 측면으로 본 동서양의 공예론 -윌리엄 모리스와 야나기 무네요시를 중심으로 -" 한국동양예술학회 (35) : 119-140, 2017

      7 "vam"

      8 "prices4antiques"

      9 "pamono"

      10 "metmuseum"

      11 "mehlis"

      12 "marcmaison"

      13 "jasonjacques"

      14 "invaluable"

      15 "ebay"

      16 "doopedia"

      17 "artsy"

      18 Madsen S. Tschudi, "Art Nouveau" McGraw-Hill Book Company 1967

      19 "1stdib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