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ren과 Marshall이 1982년 위 생검 조직을 배양, 만성 위염의 원인균으로 Helicobacter pylori(H. pylori)를 동정한 이후 H. pylori는 만성 활동성 위염, 십이지장 궤양, 위 궤양, 위 림프종 및 위암의 발생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Warren과 Marshall이 1982년 위 생검 조직을 배양, 만성 위염의 원인균으로 Helicobacter pylori(H. pylori)를 동정한 이후 H. pylori는 만성 활동성 위염, 십이지장 궤양, 위 궤양, 위 림프종 및 위암의 발생에...
Warren과 Marshall이 1982년 위 생검 조직을 배양, 만성 위염의 원인균으로 Helicobacter pylori(H. pylori)를 동정한 이후 H. pylori는 만성 활동성 위염, 십이지장 궤양, 위 궤양, 위 림프종 및 위암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 pylori는 한번 인체 위장에 감염이 되면 수년 또는 평생 동안 감염이 지속될 수 있으며 자연 치유되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한국은 위암 발병률과 사망률이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며, H. pylori 감염률이 성인의 경우 69%~75%로 역시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다. H. pylori 감염의 치료방법으로 과거에는 bismuth 제제 포함 병합요법이 이용되었으나 근래에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proton pump inhibitor, PPI)와 두 가지 항생제를 병용하는 삼제 병합요법이 H. pylori 감염의 1차 치료로 추천되고 있다. H. pylori의 제균치료 시 가장 기본적인 목표는 성공적인 박멸에 있다. PPI 포함 3제요법은 부작용이 적고 순응도가 좋으면서 제균율도 높기 때문에 1차 약제로 선호되고 있으나 한국의 경우 최근 PPI 포함 삼제요법의 1주일 치료성적의 다수가 60~70%로 낮은 편이며 7일 투여에 비하여 14일 투여의 제균율이 의미있게 높다는 국내외의 메타분석결과와 최근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주 증가로 인한 제균율 감소를 고려하여 새로운 약제와 투여방법 및 기간에 대한 연구뿐만이 아니라 제균율을 높이기 위하여 probiotics, 동반 치료약물 및 항생제내성 등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치료기간의 연장, 새로운 가이드라인 등의 제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되어 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r since Warren and Marshall discovered H. pylori to be the cause of chronic gastritis by culture of gastric biopsy in 1982, H. pylori has also been discov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ronic active gastritis, duodenal ulcer,...
Ever since Warren and Marshall discovered H. pylori to be the cause of chronic gastritis by culture of gastric biopsy in 1982, H. pylori has also been discov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ronic active gastritis, duodenal ulcer, gastric ulcer, gastric lymphoma and gastric cancer. Once the gastric mucosa is infected with H. pylori, the infection may persist for years or lifelong and spontaneous resolution is rare. In South Korea, not only is there a relatively high prevalence and mortality rate of gastric cancer, but there is also a high colonization rate of H. pylori in adults, 65-75%, compared worldwide. In the past, H. pylon infection was treated with a combination drug regimen including a bismuth agent, but recently triple combination regimens including a proton pump inhibitor (PPI) and two antimicrobial agents are recommended as first line therapy. The most basic aim in the treatment of H. pylori is successful eradication. A triple drug regimen including a PPI is preferred as first-line therapy due to it's few side effects, good compliance and high eradication rate. Considering the relatively poor success rate of 60-70% with a PPI including triple therapy for 7 days in South Korea, meta-analysis reports of a significantly higher eradication rate with 14-day therapy compared to 7-day therapy, and the recent decrease in eradication rates due to the increase in antibiotic resistance, not only is more research needed on new drugs, treatment methods and durations but also on additional therapeutic measures, such as probiotics, that may increase eradication rates and conquer antibiotic resistance. Also it seem to be the time to establish a new guideline in the treatment of H. pylori i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