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문학은 대학의 인문학 및 교양 교육의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문학을 교수법의 문제로, 특히 교수법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평가의 문제를 전면에 놓고 고민해온 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13185
2007
-
외국문학 교육 ; 교육평가 ; 문헌학 ; 해석학 ; 수사학 ; 인문학의 위기 ; 외국어 교육 ; 영문학 교육 ; Foreign Literature Education ; Language Assessment ; Philology ; Hermeneutics ; Rhetoric ; Humanities ; Foreign Language Education ; English Literature Education
800
KCI등재
학술저널
325-343(1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문학은 대학의 인문학 및 교양 교육의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문학을 교수법의 문제로, 특히 교수법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평가의 문제를 전면에 놓고 고민해온 논...
오늘날 문학은 대학의 인문학 및 교양 교육의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문학을 교수법의 문제로, 특히 교수법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인 평가의 문제를 전면에 놓고 고민해온 논의들은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외국어 능력 제고라는 실용적인 요구 앞에서 외국문학 교육이 스스로를 정당화할 의무를 부여받고 있는 작금의 현실 속에서 문학교육의 실무적인 차원에 대한 진지한 논의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이러한 실무적 논의의 핵심은 평가가 차지한다. 평가를 통한 학점 부여가 대학 강의의 객관적인 존재이유이기 때문이다. 외국 문학교육에서의 평가는, 문헌학적 평가, 해석학적 평가, 수사학적 평가, 이렇게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다. 먼저, 문헌학적 평가의 필요성은 문학적 ‘가치’와 ‘교양’을 심어주기 전에 구체적인 문학사 및 지역학적 사실을 알려주고 숙지하게 하는 단계를 건너뛸 수는 없다는 데서 그 필요성이 있다. 그 다음으로는 외국문학 교육이 인문학 교육의 일부인 한, 문학교육은 사유훈련을 유도해야 하기에, 독서를 통한 사유 훈련이란 의미에서의 해석학적 훈련이기도 하고, 이에 맞는 평가 모형이 필요하단 점에서 해석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수사학적 차원의 평가는 작품 이해에서 출발한 다양한 응용과 각색, 활용을 장려하는 형태를 취한다. 이를 통해 사고와 경험의 폭을 넓혀줄 뿐 아니라 외국어 구사력을 늘리고 활용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o far as literature is an established subject in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those involved in teaching literature cannot be free from the obligation to take part in a more down-to-earth discussion of its practical features, above all the busine...
In so far as literature is an established subject in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those involved in teaching literature cannot be free from the obligation to take part in a more down-to-earth discussion of its practical features, above all the business of assessing and grading student performance. Such obligation has become more incumbent due to the increasingly vociferous criticism offered by the language education specialists, from whose perspective the presence of literature in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program is an anomaly, for literary language, in their view, is the diametrical opposite of the authentic current language which they seek to teach with maximum efficiency.
Faced with such criticism, literature teachers can do worse than to go to the very roots of literary education, drawing from the classical, medieval, as well as modern precedents, a more systematic program of assessment, which we propose as a three-fold structure. First comes the philological dimension, for literature is part of a general cultural history, and since factual knowledge of literary phenomena is bound to form the basis for more sophisticated discussions. Philological understanding also embraces grammar, the first subject of medieval trivium, since the ability to comprehend a foreign language in its best classical samples must be claimed as an educational objective addressed in literature courses. Philological assessment, however, must be supplemented by hermeneutic assessment, for literary education, as an essential core of general liberals arts, must encourage the students to draw personal meaning (or “significance”) from the texts: the thought experiment conducted in each discussion session is bound to broaden the sympathies and mentalities of the students. Finally, literary education should never shy away from using the texts as instruments for various rhetorical games and exercises. Such activities as re-writing, imitation, performance, and adaptations would enhance the pragmatic value of literature courses both in the eyes of the students and in the eyes of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Interpretation Theory in Schleiermarcher Part I .대학 외국문학 교육 교수법 및 평가 유형 시론윤혜준參 3관행에 맞서 리비스 등의 소장 학자들은 년대에 현실의 문제에F. R. 1920대한 창조적인 대응의 방편이자 과정으로서 문학연구를 주장하며 문학연구 및 교육방법의 혁신을 시도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당대의 삶을 고민할 수 있는 작품들을 선.별하고 작품을 통해 삶의 문제를 탐구하는 과정으로 문학연구 및 비평이 전환되어야할 필요성을 역설했다 고대 문학에 대한 객관적 인식에 자족하던 문학연구를 당대.삶을 고민하는 창구로 바꿔놓겠다는 발상은 그야말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파격적인 것이었으니 이후 영문학 연구는 어떤 식으로건 이러한 리비스적 패러다임 위에 서 있게 되었다." Northwestern University Pres 1969
1 "Interpretation Theory in Schleiermarcher Part I .대학 외국문학 교육 교수법 및 평가 유형 시론윤혜준參 3관행에 맞서 리비스 등의 소장 학자들은 년대에 현실의 문제에F. R. 1920대한 창조적인 대응의 방편이자 과정으로서 문학연구를 주장하며 문학연구 및 교육방법의 혁신을 시도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당대의 삶을 고민할 수 있는 작품들을 선.별하고 작품을 통해 삶의 문제를 탐구하는 과정으로 문학연구 및 비평이 전환되어야할 필요성을 역설했다 고대 문학에 대한 객관적 인식에 자족하던 문학연구를 당대.삶을 고민하는 창구로 바꿔놓겠다는 발상은 그야말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파격적인 것이었으니 이후 영문학 연구는 어떤 식으로건 이러한 리비스적 패러다임 위에 서 있게 되었다." Northwestern University Pres 196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3 | 0.703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