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평형성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yclic Exercise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on Equilibrium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677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평형성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지적장애로 구분된 아동으로 A시에 위치한 B 특수학교 초등부 3학년에 재학 중인 남자 지적장애이다. 집단의 구성은 편의표집 할당을 통해 참여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2명으로 총 22명이 참가하였다. 12주간의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 프로그램은 주 3회, 매회 60분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처리는 통계프로그램 SPSS 25.0을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평균비교를 위해 측정 항목의 사전 값을 공변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지적장애 아동의 좌·우측 외발서기 기록이 증가하여 평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지적장애 아동의 60°/sec에서 좌·우측 신·굴근력의 최대 근력이 증가하여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평형성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

      이 연구는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평형성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 지적장애로 구분된 아동으로 A시에 위치한 B 특수학교 초등부 3학년에 재학 중인 남자 지적장애이다. 집단의 구성은 편의표집 할당을 통해 참여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2명으로 총 22명이 참가하였다. 12주간의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 프로그램은 주 3회, 매회 60분으로 진행되었다. 자료처리는 통계프로그램 SPSS 25.0을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평균비교를 위해 측정 항목의 사전 값을 공변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지적장애 아동의 좌·우측 외발서기 기록이 증가하여 평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야외 운동기구를 이용한 순환운동 프로그램 참여가 지적장애 아동의 60°/sec에서 좌·우측 신·굴근력의 최대 근력이 증가하여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rcular exercise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on balance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pecial Education Act for the disabled, etc., and male intellectual disabilities attending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t B special school located in A city. The group consisted of 10 participants and 12 control groups through the allocation of convenience sampling, with a total of 22 participants. The 12-week cycling exercise program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and 60 minutes each time. For data processing, a co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using the prior value of the measurement item as a covariate to compare the mean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the circular exercise program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equilibrium by increasing the left and right unilateral standing record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a circular exercise program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knee joint isokinetic muscle function by increasing the maximum left and right extensor and flexor strength at 60°/sec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번역하기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rcular exercise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on balance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ldren with inte...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rcular exercise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on balance and isokinetic muscle func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pecial Education Act for the disabled, etc., and male intellectual disabilities attending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t B special school located in A city. The group consisted of 10 participants and 12 control groups through the allocation of convenience sampling, with a total of 22 participants. The 12-week cycling exercise program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and 60 minutes each time. For data processing, a covarianc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using the prior value of the measurement item as a covariate to compare the mean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the circular exercise program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equilibrium by increasing the left and right unilateral standing record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a circular exercise program using outdoor exercise equip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knee joint isokinetic muscle function by increasing the maximum left and right extensor and flexor strength at 60°/sec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