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교육학의 정립을 위한 이론적 탐색 = A Theoretical Explor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Jeju Educational Sc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80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주교육학은 지역성에 초점을 맞춘 교육학 분야의 연구프로젝트이다. 제주학이 제주지역의 고유성을 다각적으로 구명하려는 종합적 연구라면, 제주교육학은 교육문제에 국한하여 보다 심도 있는 탐색을 추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글은 제주학의 한 분과로서 제주교육학의 성립요건을 이론적 측면에서 타진해 보기 위한 것이다. 제주교육의실체 구명에 필요한 실질적 요건의 하나는 제주학에 속한 다른 학문들과 중복되지 않은고유한 지식체계를 건실하게 구축할 수 있느냐에 있다. 그런 의미에서 제주교육학의 정립은 교육학의 분과학문적 정체성을 지역의 특수한 상황에서 시험하고 증명하는 기회가될 것이다. 이 글은 제주교육학이 다른 학문분야와 구별된 독자적인 지식체계를 형성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지, 거기에 필요한 이론적 타당성의 근거는 어떤 방식으로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탐색하였다. 그리고 제주교육의 탐구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가설적인 수준에서 예시하였다. 제주교육학을 정립하기 위한 이러한 시도를통해서 교육학의 탐구영역이 더욱 확장되고 그 학문적 연구역량을 신장하는 계기가 될것으로 전망된다.
      번역하기

      제주교육학은 지역성에 초점을 맞춘 교육학 분야의 연구프로젝트이다. 제주학이 제주지역의 고유성을 다각적으로 구명하려는 종합적 연구라면, 제주교육학은 교육문제에 국한하여 보다 심...

      제주교육학은 지역성에 초점을 맞춘 교육학 분야의 연구프로젝트이다. 제주학이 제주지역의 고유성을 다각적으로 구명하려는 종합적 연구라면, 제주교육학은 교육문제에 국한하여 보다 심도 있는 탐색을 추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글은 제주학의 한 분과로서 제주교육학의 성립요건을 이론적 측면에서 타진해 보기 위한 것이다. 제주교육의실체 구명에 필요한 실질적 요건의 하나는 제주학에 속한 다른 학문들과 중복되지 않은고유한 지식체계를 건실하게 구축할 수 있느냐에 있다. 그런 의미에서 제주교육학의 정립은 교육학의 분과학문적 정체성을 지역의 특수한 상황에서 시험하고 증명하는 기회가될 것이다. 이 글은 제주교육학이 다른 학문분야와 구별된 독자적인 지식체계를 형성하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지, 거기에 필요한 이론적 타당성의 근거는 어떤 방식으로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탐색하였다. 그리고 제주교육의 탐구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가설적인 수준에서 예시하였다. 제주교육학을 정립하기 위한 이러한 시도를통해서 교육학의 탐구영역이 더욱 확장되고 그 학문적 연구역량을 신장하는 계기가 될것으로 전망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남, "현행 한국 교육학의 성격과 문제점 분석" 9 (9): 251-270, 2004

      2 장상호, "한국교육학의 맥" 나남출판 291-326, 1994

      3 이용남, "한국 교육학의 두 전형 비교" 2 (2): 98-111, 1997

      4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 III): 교육연구의 새 지평"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5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 II): 교육본위의 삶"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6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 I):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7 최성욱, "판소리 전승사에 나타난 도제교육의 양상과 원리" 5 (5): 215-256, 2000

      8 김재웅, "특별기고: 새로운 개념에 의해 포착된 교육이란 세계의 아름다움- 장상호의 『학문과 교육』에 대한 서평 -" 한국교육원리학회 16 (16): 201-216, 2011

      9 전순옥, "소공인: 전순옥이 만난 우리 시대의 장인들" 뿌리와 이파리 2015

      10 김재웅, "서평: 학문과 교육(상)" 2 (2): 272-274, 1997

      1 이용남, "현행 한국 교육학의 성격과 문제점 분석" 9 (9): 251-270, 2004

      2 장상호, "한국교육학의 맥" 나남출판 291-326, 1994

      3 이용남, "한국 교육학의 두 전형 비교" 2 (2): 98-111, 1997

      4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 III): 교육연구의 새 지평"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5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 II): 교육본위의 삶"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6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 I): 교육이란 무엇인가"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7 최성욱, "판소리 전승사에 나타난 도제교육의 양상과 원리" 5 (5): 215-256, 2000

      8 김재웅, "특별기고: 새로운 개념에 의해 포착된 교육이란 세계의 아름다움- 장상호의 『학문과 교육』에 대한 서평 -" 한국교육원리학회 16 (16): 201-216, 2011

      9 전순옥, "소공인: 전순옥이 만난 우리 시대의 장인들" 뿌리와 이파리 2015

      10 김재웅, "서평: 학문과 교육(상)" 2 (2): 272-274, 1997

      11 문화재청,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현황(2022.5.31.). 통계자료용(2).pdf"

      12 성창순, "넌 소리도둑년이여" 언어문화사 1995

      13 장상호, "교육학의 재건" 교육과학사 2020

      14 최성욱, "교육학의 자율화를 위한 정범모와 장상호의 학문적 도전과 그 후속과제" 한국교육원리학회 26 (26): 49-72, 2021

      15 장상호, "교육학의 비본질성" 1 (1): 5-51, 1986

      16 장상호, "교육학 탐구영역의 재개념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교육연구소 91 (91): 1991

      17 장상호, "교육발전의 도해" 8 (8): 77-123, 2003

      18 윤병희,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9-55, 2002

      19 정범모, "교육과 교육학" 배영사 1968

      20 J. Dewey,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 9"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16

      21 J. Dewey, "John Dewey: The Middle Works. V. 12"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84

      22 J. Dewey, "John Dewey: The Later Works. V. 4"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29

      23 J. Dewey, "Experience and Education" Collier Books 1963

      24 R. S. Peters, "Ethics and Education" Routledge & Kegan Paul 1966

      25 E. Durkheim, "Education and Sociology" Free Press 195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