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림복지시설이 지역인구 소멸완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Forest Welfare Facilities on the Mitigation of Local Population Disappear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883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풍부한 산림자원을 활용하여 관광⋅고용 수요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있다. 그 결과, 산림을 이용한 관광⋅휴양시설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는 높아지고 있으며, 산림복지시설은 높은 경제적 가치를 바탕으로 지역의 고용과 소득수준을 높이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산림복지시설의 대부분이 산촌⋅지방에 집중되어있는 만큼 인구감소 및 유출로 인한 지방소멸 문제를 완화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유의하여 산림복지시설이 지역인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지방인구소멸 완화를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정량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했다. 분위회귀분석 결과 산림복지시설 여부와 개수는 낮은 분위에서 인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이는 산림복지시설이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고 지방소멸이 심각한 지역에서 인구소멸을 완화하고 인구 유지 및 증가에 이바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효과를 지원⋅확대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한다면 산림복지시설로 인하여 발생하는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우리나라는 풍부한 산림자원을 활용하여 관광⋅고용 수요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있다. 그 결과, 산림을 이용한 관광⋅휴양시설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는 높아지고 있...

      우리나라는 풍부한 산림자원을 활용하여 관광⋅고용 수요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있다. 그 결과, 산림을 이용한 관광⋅휴양시설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는 높아지고 있으며, 산림복지시설은 높은 경제적 가치를 바탕으로 지역의 고용과 소득수준을 높이는 데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산림복지시설의 대부분이 산촌⋅지방에 집중되어있는 만큼 인구감소 및 유출로 인한 지방소멸 문제를 완화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유의하여 산림복지시설이 지역인구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지방인구소멸 완화를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정량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했다. 분위회귀분석 결과 산림복지시설 여부와 개수는 낮은 분위에서 인구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이는 산림복지시설이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고 지방소멸이 심각한 지역에서 인구소멸을 완화하고 인구 유지 및 증가에 이바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효과를 지원⋅확대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한다면 산림복지시설로 인하여 발생하는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est welfare facilities contribute to raising employment and income levels in the region based on their high economic value. In addition, as most of the forest welfar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mountain villages and regions, the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alleviating the problem of local disappearance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outf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quantitative basis necessary to verify the impact of forest welfare facilities on local population and to prepare strategies for mitigating local population extinction. As a result of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the presence and number of forest welfare facilities worked positively on the population in the low quantile. This suggests that forest welfare facilities are contributing to population maintenance and increase and alleviating population in areas with relatively small population and severe local extinction.
      번역하기

      Forest welfare facilities contribute to raising employment and income levels in the region based on their high economic value. In addition, as most of the forest welfar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mountain villages and regions, they will be able t...

      Forest welfare facilities contribute to raising employment and income levels in the region based on their high economic value. In addition, as most of the forest welfar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mountain villages and regions, they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alleviating the problem of local disappearance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outf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quantitative basis necessary to verify the impact of forest welfare facilities on local population and to prepare strategies for mitigating local population extinction. As a result of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the presence and number of forest welfare facilities worked positively on the population in the low quantile. This suggests that forest welfare facilities are contributing to population maintenance and increase and alleviating population in areas with relatively small population and severe local extinc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