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지초지를 위한 대관령 표고 800m에서 예취횟수와 시비수준이 목초의 식생구성비율, 건물수량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Harvesting Frequency and Fertilization Levels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Forage Productivity of Alpine Grassland at 800m Altitu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048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시험은 고랭지 표고 800 m에서 채초용 목초에 적합한 시비수준 및 예취횟수를 결정할 목적으로 시비수준 및 예취횟수가 목초의 식생구성, 건물수량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

      본 시험은 고랭지 표고 800 m에서 채초용 목초에 적합한 시비수준 및 예취횟수를 결정할 목적으로 시비수준 및 예취횟수가 목초의 식생구성, 건물수량 및 사료성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시험은 표고 800 m인 고령지시험장(현 고령지농업연구센터)에서 3년간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주구를 예취횟수로 하여 2회 및 3회, 세구를 시비수준으로 하여 관행시비구(질소-인산-칼리, 280-200-240 kg/ha) 및 소비구(질소-인산-칼리, 200-200-200kg/ha)로 두었다. 혼파조합 및 파종량(kg/ha)은 Orchardgrass 18, Tall fescue 9, Timothy 8, Kentucky bluegrass 3 및 Ladino Clover 2로 전체 파종량은 40 kg/ha이었다. 예취횟수 및 시비수준 간 목초의 식생구성비율은 처리에 관계없이 화본과 목초가 93.2~95.3%로 화본과목초 우점의 초지였다. 예취횟수 간 평균건물수량은 2회예취구 9.8 ton/ha 및 3회예취구 8.6 ton/ha로 처리 간에 유의성은 없었으나(p>0.05) 2회예취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시비수준 간 평균건물수량은 관행시비구 9.8 ton/ha 및 소비구 8.7 ton/ha로 관행시비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예취횟수 간 사료성분에서 조단백질함량은 2회예취구와 3회예취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3회예취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반면 조섬유함량은 2회예취구와 3회예취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2회예취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시비수준 간 사료성분은 2회예취 및 3회예취 공히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및 유기물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대관령지역 표고 800 m에서 목초의 적정 예취횟수 및 시비수준은 건물수량면에서 각각 2회예취 및 관행시비구(질소-인산-칼리, 280-200-240kg/ha)가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arvesting frequency and fertilization levels on botanical composition, dry matter yield, and forage feed compositions of Alpine grassland at 800 m altitude. This research lasted for thre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arvesting frequency and fertilization levels on botanical composition, dry matter yield, and forage feed compositions of Alpine grassland at 800 m altitude. This research lasted for three years at National Alpine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in Pyeongchang with two harvesting frequency schedules (two and three times annually) and two levels of fertilizer application (conventional level of fertilizer at 280-200-240 kg/ha and a lower level of fertilizer at 200-200-200 kg/ha for N, $P_2O_5$, and $K_2O$). Mixture combinations with seeding rate (kg/ha) were as follows: Orchardgrass 18, Tall fescue 9, Timothy 8, Kentucky bluegrass 3, and Ladino Clover 2. The gramineae ratio ranged from 93.2 to 95.3%. Therefore, gramineae forage was considered as the dominant plant in this experiment.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 was observed in forage dry matter yield between the two harvesting frequency treatments (two times at 9.8 ton/ha and three times at 8.6 ton/ha). However, forage dry matter yield in the two times of harvesting frequency tended to be greater than that in the three times of harvesting frequency. Significantly (p<0.05) higher forage dry matter yield in the standard fertilization level group than the lower fertilization level group (9.8 ton/ha vs. 8.7 ton/ha) was observ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 in forage crude protein concentration between the two harvesting frequency treatment groups, although the concentration in the group with three times of harvesting frequency tended to be higher. In contrast, crude fiber concentration in the group with two times of harvesting frequency tended to be higher,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rude protein, ether extract, crude fiber, and organic matter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with different fertilization level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group with two times of harvesting frequency with conventional fertilization level might be proper for obtaining better forage productivity for Alpine grassland at 800 m altitud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태, "산지개발지역과 비개발지역 표토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환경과학회 21 (21): 1389-1394, 2012

      2 성경일, "고랭지 표고 600m에서 예취횟수와 시비수준이 목초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5 (25): 137-143, 2005

      3 정연규, "新開墾 및 旣耕作 草地土壤간 牧草의 生産性과 무기양분 함량 비교 III. 인산 시용에 따른 土壤特性, 牧草의 초기생육, 收量 및 무기양분 함량 변화"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3 (23): 13-22, 2003

      4 Wan Bang Yook, "Studies on the Mixture combination in rermanent Pasture I.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and cutting management on the botanical composotion" 9 (9): 6-76, 1989

      5 Yeun Kyu Jung, "Soil Characteristics and Fertilizer Applications in Korean Hilly Pasture" 12 (12): 83-93, 1992

      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Mountain Agricultural Technology Development" 51-67, 2000

      7 Hye Ran Lee, "Local Climate Characteristics of Pyeongchang․Daegwallyeong Areas" 186-187, 2006

      8 Kim, D. A., "Effects of Slope Orientation and Altitude on the Forage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Alpine Pasture" 11 (11): 236-243, 1991

      9 XU Shi-xiao, "Altitude Impact on Vitro Digestibility of Gramineous Herbage Grown in Tibetan Plateau" 10 (10): 124-127, 2002

      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lpine Pastur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1 김원태, "산지개발지역과 비개발지역 표토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환경과학회 21 (21): 1389-1394, 2012

      2 성경일, "고랭지 표고 600m에서 예취횟수와 시비수준이 목초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5 (25): 137-143, 2005

      3 정연규, "新開墾 및 旣耕作 草地土壤간 牧草의 生産性과 무기양분 함량 비교 III. 인산 시용에 따른 土壤特性, 牧草의 초기생육, 收量 및 무기양분 함량 변화"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3 (23): 13-22, 2003

      4 Wan Bang Yook, "Studies on the Mixture combination in rermanent Pasture I. Effects of nitrogen fertilization and cutting management on the botanical composotion" 9 (9): 6-76, 1989

      5 Yeun Kyu Jung, "Soil Characteristics and Fertilizer Applications in Korean Hilly Pasture" 12 (12): 83-93, 1992

      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Mountain Agricultural Technology Development" 51-67, 2000

      7 Hye Ran Lee, "Local Climate Characteristics of Pyeongchang․Daegwallyeong Areas" 186-187, 2006

      8 Kim, D. A., "Effects of Slope Orientation and Altitude on the Forage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of Alpine Pasture" 11 (11): 236-243, 1991

      9 XU Shi-xiao, "Altitude Impact on Vitro Digestibility of Gramineous Herbage Grown in Tibetan Plateau" 10 (10): 124-127, 2002

      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lpine Pastur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7-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초지학회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3 0.5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