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이즐즈 형제(Maysles Brothers)의 〈회색 정원(Grey Gardens)〉(1976)과 아메리칸 다이렉트 시네마(American Direct Cinema)의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75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메이즐즈 형제(데이빗 메이즐즈와 알버트 메이즐즈)는 1960, 70년대의 아메리칸 다이렉트 시네마를 대표하는 감독들이다. 이들은 1962년부터 데이빗 메이즐즈가 갑작스런 죽음을 맞이한 1987년까지 13편의 영화를 만들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후기 대표작에 속하는 〈회색정원〉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본 논문은 〈회색 정원〉의 영화적 특징을 크게 두 가지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첫째는 〈회색 정원〉의 서사 방식과 영화적 특징을 ‘무대로서의 회색 정원’과 ‘인물 중심의 내러티브’, 그리고 ‘청자/대화자로서의 감독’이라는 시각에서 〈회색 정원〉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본 논문은 〈회색 정원〉에 나타난 다이렉트 시네마 방식과 비(非) 다이렉트 시네마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회색 정원〉은 전체적으로 다이렉트 시네마 방식으로 만들어졌지만 비선형적인 편집 방식, 감독의 잦은 출현과 제작과정을 드러내는 영화방식 등은 초기의 다이렉트 시네마 및 〈회색 정원〉 이전의 메이즐즈 형제 감독의 작품들과 매우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회색 정원〉의 영화적 방식과 함께 자기성찰적 요소 및 〈회색 정원〉에 대한 비판과 관객의 반응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메이즐즈 형제(데이빗 메이즐즈와 알버트 메이즐즈)는 1960, 70년대의 아메리칸 다이렉트 시네마를 대표하는 감독들이다. 이들은 1962년부터 데이빗 메이즐즈가 갑작스런 죽음을 맞이한 1987년...

      메이즐즈 형제(데이빗 메이즐즈와 알버트 메이즐즈)는 1960, 70년대의 아메리칸 다이렉트 시네마를 대표하는 감독들이다. 이들은 1962년부터 데이빗 메이즐즈가 갑작스런 죽음을 맞이한 1987년까지 13편의 영화를 만들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후기 대표작에 속하는 〈회색정원〉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본 논문은 〈회색 정원〉의 영화적 특징을 크게 두 가지 시각에서 고찰하였다. 첫째는 〈회색 정원〉의 서사 방식과 영화적 특징을 ‘무대로서의 회색 정원’과 ‘인물 중심의 내러티브’, 그리고 ‘청자/대화자로서의 감독’이라는 시각에서 〈회색 정원〉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본 논문은 〈회색 정원〉에 나타난 다이렉트 시네마 방식과 비(非) 다이렉트 시네마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회색 정원〉은 전체적으로 다이렉트 시네마 방식으로 만들어졌지만 비선형적인 편집 방식, 감독의 잦은 출현과 제작과정을 드러내는 영화방식 등은 초기의 다이렉트 시네마 및 〈회색 정원〉 이전의 메이즐즈 형제 감독의 작품들과 매우 다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회색 정원〉의 영화적 방식과 함께 자기성찰적 요소 및 〈회색 정원〉에 대한 비판과 관객의 반응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ysles Brothers(David Maysles and Albert Maysles) are prominent documentary filmmakers and used an approach to American direct cinema style which involved spontaneous observation of naturally occurring events in the 1960s and 1970s. They collaborated thirteen major works from 1962 to David’s sudden death in 1987. Among them, this paper focuses on 〈Grey Gardens〉(1976) which was made in the latter stage of direct cinema and Brothers’ filmmaking careers.
      The paper firstly analyzes the grey garden, two heroines(“Big Edie” and “Little Edie”), filmmakers/camera in terms of cinematic space, performers and audience respectively. And then the paper explains how the brothers blended unique amalgam of direct cinema mode and non-direct cinema styles, which are the non-linear and character-driven narrative, and frequent presence of filmmakers and self-reflexivity.
      번역하기

      The Maysles Brothers(David Maysles and Albert Maysles) are prominent documentary filmmakers and used an approach to American direct cinema style which involved spontaneous observation of naturally occurring events in the 1960s and 1970s. They collabor...

      The Maysles Brothers(David Maysles and Albert Maysles) are prominent documentary filmmakers and used an approach to American direct cinema style which involved spontaneous observation of naturally occurring events in the 1960s and 1970s. They collaborated thirteen major works from 1962 to David’s sudden death in 1987. Among them, this paper focuses on 〈Grey Gardens〉(1976) which was made in the latter stage of direct cinema and Brothers’ filmmaking careers.
      The paper firstly analyzes the grey garden, two heroines(“Big Edie” and “Little Edie”), filmmakers/camera in terms of cinematic space, performers and audience respectively. And then the paper explains how the brothers blended unique amalgam of direct cinema mode and non-direct cinema styles, which are the non-linear and character-driven narrative, and frequent presence of filmmakers and self-reflexiv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회색 정원〉의 서사 방식과 영화적 특징
      • 3. 다이렉트 시네마와 〈회색 정원〉
      • 4. 나오는 말
      • 국문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회색 정원〉의 서사 방식과 영화적 특징
      • 3. 다이렉트 시네마와 〈회색 정원〉
      • 4.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기중, "아메리칸 다이렉트 시네마의 출현과 <에비선거(Primary)>(1961)" 2 : 5-28, 2015

      2 Naficy, Hamid, "Truthful Witness’: An Interview with Albert Maysles" 6 (6): 155-179, 1981

      3 Ruby, Jay, "The Image Mirrored: Reflexiviy and the Documentary Film" 29 (29): 3-11, 1977

      4 Vogels, Jonathan B, "The Direct Cinema of David and Albert Maysle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05

      5 Robson, Kenneth J., "The Crystal Formation: Narrative Structure in Grey Gardens" 22 (22): 42-53, 1983

      6 Pryluck, Calvin, "Seeking to Take the Longest Journey: A Conversation with Albert Maysles" 28 (28): 9-16, 1976

      7 Nichols, Bill, "Representing Reality: Issues and Concepts in Documentary" Indiana University Press 1991

      8 Maysles, Sarah, "Grey Gardens" Free News Projects 2009

      9 Ruby, Jay, "Exposing Yourself : Reflexivity, Anthropology, and Film" 30 (30): 153-179, 1980

      10 Davidson, David, "Direct Cinema and Modernism: The Long Journey to GREY GARDENS" 33 (33): 3-13, 1981

      1 이기중, "아메리칸 다이렉트 시네마의 출현과 <에비선거(Primary)>(1961)" 2 : 5-28, 2015

      2 Naficy, Hamid, "Truthful Witness’: An Interview with Albert Maysles" 6 (6): 155-179, 1981

      3 Ruby, Jay, "The Image Mirrored: Reflexiviy and the Documentary Film" 29 (29): 3-11, 1977

      4 Vogels, Jonathan B, "The Direct Cinema of David and Albert Maysle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05

      5 Robson, Kenneth J., "The Crystal Formation: Narrative Structure in Grey Gardens" 22 (22): 42-53, 1983

      6 Pryluck, Calvin, "Seeking to Take the Longest Journey: A Conversation with Albert Maysles" 28 (28): 9-16, 1976

      7 Nichols, Bill, "Representing Reality: Issues and Concepts in Documentary" Indiana University Press 1991

      8 Maysles, Sarah, "Grey Gardens" Free News Projects 2009

      9 Ruby, Jay, "Exposing Yourself : Reflexivity, Anthropology, and Film" 30 (30): 153-179, 1980

      10 Davidson, David, "Direct Cinema and Modernism: The Long Journey to GREY GARDENS" 33 (33): 3-13, 1981

      11 Myerhoff, Barbara, "Crack in the Mirror: Reflexive Perspective in Anthropolog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2

      12 Mamber, Stephen, "Cinema Verite in America : Studies in Uncontrolled Documentary" Mit Press 1976

      13 McElhaney, Joe, "Albert Maysle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9

      14 Rhodes, John David, ""Concentrated Ground”: Grey Gardens and the Cinema of the Domestic" 47 (47): 83-105,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9-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Fisak) ->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영화연구
      외국어명 :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1.0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