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성소비자의 가치추구와 패션의식에 따른 의류구매행동 =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the Values Pursuit and Fashion Consciousness of Male Consum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96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male consumer's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the values pursuit and the fashion consciousness.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cross-tabulation analysi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1. Male consumer's values was made of 2 factors. Also, fashion consciousness was classified into 5 factors and 4 groups, which are comprised in brand consciousness group, trend and impulse buying consciousness group, style and price consciousness group, fashion indifference group.2. Brand consciousness is the primary factor in all values factors. Especially, there were highly relationships between values of stable society and trend consciousness. Individual pleasure values is related to the style consciousness.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ashion consciousness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s variables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s.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male consumer's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the values pursuit and the fashion consciousness.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multipl...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male consumer's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the values pursuit and the fashion consciousness.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cross-tabulation analysi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1. Male consumer's values was made of 2 factors. Also, fashion consciousness was classified into 5 factors and 4 groups, which are comprised in brand consciousness group, trend and impulse buying consciousness group, style and price consciousness group, fashion indifference group.2. Brand consciousness is the primary factor in all values factors. Especially, there were highly relationships between values of stable society and trend consciousness. Individual pleasure values is related to the style consciousness.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ashion consciousness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s variables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변화하고 있는 남성소비자의 가치추구와 패션의식에 따른 의류구매행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1.패션의식 요인으로는 상표의식이, 가치추구는 사회적 안정 가치추구가 주요요인이었고, 패션의식을 유형화하여 상표충성집단, 유행/충동구매의식집단, 스타일/가격의식집단, 패션무관심 집단의 4유형으로 분류되었다. 2.가치추구의 모든 요인에서는 상표의식이 나타났고, 특히 사회적 안정 가치추구안정 가치추구는 유행의식과, 개인적 쾌락 가치추구는 스타일의식과 상관이 있었다. 3.패션의식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구매행동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상표충성집단은 30대, 40대의 기혼자 분포가, 유행/충동구매의식집단에서는 20대, 미혼, 대학재학의 학생분포가, 스타일/가격 의식집단은 30대, 기혼의 판매 서비스직이, 패션 무관심집단은 50대, 미혼, 전문직이 분포되는 특성을 보였다. 구매행동 변인에서도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 상표를 중시하거나 패션에 무관심할수록 실용적인 목적에서 옷이 필요하다고 느끼며 유행이나 스타일을 중시하는 사람은 새로운 분위기, 이미지의 옷을 볼 때 구입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변화하고 있는 남성소비자의 가치추구와 패션의식에 따른 의류구매행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1.패션의식 요인으로는 상표의식이, 가치추구는 사회적 안정 가치추구가 ...

      본 연구는 변화하고 있는 남성소비자의 가치추구와 패션의식에 따른 의류구매행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1.패션의식 요인으로는 상표의식이, 가치추구는 사회적 안정 가치추구가 주요요인이었고, 패션의식을 유형화하여 상표충성집단, 유행/충동구매의식집단, 스타일/가격의식집단, 패션무관심 집단의 4유형으로 분류되었다. 2.가치추구의 모든 요인에서는 상표의식이 나타났고, 특히 사회적 안정 가치추구안정 가치추구는 유행의식과, 개인적 쾌락 가치추구는 스타일의식과 상관이 있었다. 3.패션의식유형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구매행동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상표충성집단은 30대, 40대의 기혼자 분포가, 유행/충동구매의식집단에서는 20대, 미혼, 대학재학의 학생분포가, 스타일/가격 의식집단은 30대, 기혼의 판매 서비스직이, 패션 무관심집단은 50대, 미혼, 전문직이 분포되는 특성을 보였다. 구매행동 변인에서도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여 상표를 중시하거나 패션에 무관심할수록 실용적인 목적에서 옷이 필요하다고 느끼며 유행이나 스타일을 중시하는 사람은 새로운 분위기, 이미지의 옷을 볼 때 구입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실, "청년기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점포속성 중요도가 패션점포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식학회 54 (54): 53-68, 2004

      2 최경호,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 한국자료분석학회 5 (5): 877-888, 2003

      3 박은주, "직장남성의 의복행동과 지각향성 및 직업만족도와의 상관연구 white-collar를 중심으로" 27-34, 1994

      4 김원, "중년층 여성의 패션의식에 따른 신규 상표 포지셔닝 전략"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1995

      5 최경호, "자료공개의 통계적 관리" 한국자료분석학회 5 (5): 127-135, 2003

      6 김민정, "의류쇼핑성향에 따른 남성소비자의 정장구매행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7 임숙자, "여대생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의복행동변인과 사회심리 변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8 박은순, "신세대의 패션의식에 따른 상표 포지셔닝 연구" 44 (44): 201-213, 1999

      9 유희, "소비자의 가치의식과 의류제품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5

      10 박광희, "소비자의 가치와 의복 쇼핑성향과의 관계 연구" 11 (11): 49-58, 2000

      1 이은실, "청년기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점포속성 중요도가 패션점포 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식학회 54 (54): 53-68, 2004

      2 최경호,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 한국자료분석학회 5 (5): 877-888, 2003

      3 박은주, "직장남성의 의복행동과 지각향성 및 직업만족도와의 상관연구 white-collar를 중심으로" 27-34, 1994

      4 김원, "중년층 여성의 패션의식에 따른 신규 상표 포지셔닝 전략"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1995

      5 최경호, "자료공개의 통계적 관리" 한국자료분석학회 5 (5): 127-135, 2003

      6 김민정, "의류쇼핑성향에 따른 남성소비자의 정장구매행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7 임숙자, "여대생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의복행동변인과 사회심리 변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2

      8 박은순, "신세대의 패션의식에 따른 상표 포지셔닝 연구" 44 (44): 201-213, 1999

      9 유희, "소비자의 가치의식과 의류제품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5

      10 박광희, "소비자의 가치와 의복 쇼핑성향과의 관계 연구" 11 (11): 49-58, 2000

      11 자료출처 http, "소비자라이프스타일 및 가치관" 2003

      12 신사임,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남성캐주얼 웨어의 트렌드 선호도 분석 및 상품기획 방향의 모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3 임경복, "세대별 가치관과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 19) (, 19)): 615-627, 1995

      14 구자명, "성인여성의 가치의식과 의복쇼핑성향 및 의복만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15 강혜원, "성인남자의 자아개념과 의복행위와의 상관연구 - 의복만족도 유행을 중심으로" 1-8, 1982

      16 고애란, "성인남자의 연령 및 사회 경제적 지위가 의복행동과의 상관연구" 1-10, 1982

      17 이선화, "성인 남자의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가치관과 사회경제적 배경을 중심으로-" 1984

      18 김선희, "새로운 소비자 집단으로서 미씨 의 가치관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30대 여성을 중심으로" 6, : 371-391, 1995

      19 김규곤, "비모수 통계를 위한 한글형 통계분석 시스템의 연구개발" Vol. 3, (Vol. 3,): 457-476, 2001

      20 최수현, "미혼여성의 가치관과 의복쇼핑성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21 김인순, "라이프스타일특성에 따른 신사복 선호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 거주 직장남성을 대상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0

      22 윤미라, "남성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과 선호점포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거주 20-30대 남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23 김주희, "남성소비자의 의류쇼핑성향에 따른 패션의식 및 쇼핑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7 (7): 533-548, 2005

      24 이지훈, "남성복 소비자의 구매행동 및 점포선택에 관한 실증적 연구"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2001

      25 박소민, "남성 정장 캐주얼 트렌드의 소비자선호도 및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류 상품 기획의 방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26 박민정, "남녀 대학생의 의복가격지각과 의복 쇼핑성향 및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1

      27 Shim, "The Hierarchical Influence of Personal Values of Mall Shopping Attitude and Behavior Journal of Retailing" 139-160, 1988

      28 최정선, "N세대의 패션가치관이 인터넷 쇼핑몰 구매결정중요도와 패션디자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26 (26): 39-49, 2002

      29 자료출처 http, "2001 남성소비자의 패션의식" 한국패션협회 2001

      30 노현지, "20-30대 남성 소비자의 의복구매행동수준에 따른 쇼핑성향과 정보원활용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