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방형 BIM 기반 IFC 모델을 이용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Visualization Tool Using the Open BIM based IFC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110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LIT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uthoriz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in 2013. It became a legal evidence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Although it has a little advantage to utilize as service level tha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laser scan or measurement, it has a lot of problems such as consuming many resources, requiring additional progresses for inputting Object Information. In conclusion, it is inefficient to utilize for the maintenance and domestic AEC/FM fie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operating IFC model which based on open BIM and to improve availability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with data visualization. The open-sources of IFC Exporter, a inner program of Revit (Autodesk Inc), is used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Directs 3D Library is also operated to visualize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ter-operate between XML format and the object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 as well. For example COBie linkage in facility management, construction of geo-database using air-photogrammetry of UAV (Unmaned Areal Vehicle),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military operations and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evacuation. The method that is purposed in this study has outstanding advantages such as conformance with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high level of interoperability as indoor spatial information objects based on IFC, convenience of editing information, light level of data and simplifying progress of producing information.
      번역하기

      MOLIT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uthoriz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in 2013. It became a legal evidence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Although it has a little advantage ...

      MOLIT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uthoriz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in 2013. It became a legal evidence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Although it has a little advantage to utilize as service level tha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laser scan or measurement, it has a lot of problems such as consuming many resources, requiring additional progresses for inputting Object Information. In conclusion, it is inefficient to utilize for the maintenance and domestic AEC/FM fie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operating IFC model which based on open BIM and to improve availability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with data visualization. The open-sources of IFC Exporter, a inner program of Revit (Autodesk Inc), is used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Directs 3D Library is also operated to visualize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ter-operate between XML format and the object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 as well. For example COBie linkage in facility management, construction of geo-database using air-photogrammetry of UAV (Unmaned Areal Vehicle),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military operations and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evacuation. The method that is purposed in this study has outstanding advantages such as conformance with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high level of interoperability as indoor spatial information objects based on IFC, convenience of editing information, light level of data and simplifying progress of producing inform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3년 국토교통부는 부가가치와 활용도가 높은 실내공간정보를 국가 핵심 공간정보로 구축 관리하기 위하여 ‘기본공간정보’로 추가 지정하였으며, 이에 전국의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와 계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측량/촬영 및 레이저스캐닝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할 경우 실내공간의 매핑으로 시각적 서비스차원의 활용은 유리하지만 시간적, 인적, 물적 자원의 소비가 크고 속성정보의 입력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가공을 필요로 하는 등 유지관리 측면과 국내 AEC/FM 분야 정보의 활용이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BIM 기반의 IFC 모델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시각화 기술과 연계하여 이해와 표현이 쉬운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실내공간정보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시각화 도구는 Autodesk사의 Revit 내부 프로그램인 IFC Exporter의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였으며 실내공간정보의 시각화를 위해서는 Direct3D Library를 사용하였다. 생성된 실내공간정보 객체는 XML 포맷과 상호호환이 가능하며 시설물 유지관리 분야의 COBie 연계, 항공촬영 혹은 UAV를 활용한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대규모 군사작전 시뮬레이션, 재해/재난 발생 시 대규모 피난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은 국가의 공간정보정책방향에 부합하고 기존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생성함으로써 정보생산의 단계가 간편하다. 또한, IFC 기반의 실내공간정보 객체로써 상호운용성이 높고 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며 데이터의 경량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번역하기

      2013년 국토교통부는 부가가치와 활용도가 높은 실내공간정보를 국가 핵심 공간정보로 구축 관리하기 위하여 ‘기본공간정보’로 추가 지정하였으며, 이에 전국의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고...

      2013년 국토교통부는 부가가치와 활용도가 높은 실내공간정보를 국가 핵심 공간정보로 구축 관리하기 위하여 ‘기본공간정보’로 추가 지정하였으며, 이에 전국의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와 계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측량/촬영 및 레이저스캐닝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할 경우 실내공간의 매핑으로 시각적 서비스차원의 활용은 유리하지만 시간적, 인적, 물적 자원의 소비가 크고 속성정보의 입력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가공을 필요로 하는 등 유지관리 측면과 국내 AEC/FM 분야 정보의 활용이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BIM 기반의 IFC 모델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시각화 기술과 연계하여 이해와 표현이 쉬운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실내공간정보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시각화 도구는 Autodesk사의 Revit 내부 프로그램인 IFC Exporter의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였으며 실내공간정보의 시각화를 위해서는 Direct3D Library를 사용하였다. 생성된 실내공간정보 객체는 XML 포맷과 상호호환이 가능하며 시설물 유지관리 분야의 COBie 연계, 항공촬영 혹은 UAV를 활용한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대규모 군사작전 시뮬레이션, 재해/재난 발생 시 대규모 피난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은 국가의 공간정보정책방향에 부합하고 기존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생성함으로써 정보생산의 단계가 간편하다. 또한, IFC 기반의 실내공간정보 객체로써 상호운용성이 높고 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며 데이터의 경량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철, "한계상태 검토에 초점을 둔 합성보와 합성기둥의 IFC-기반 부재설계를 위한 IDM" 대한건축학회 30 (30): 13-20, 2014

      2 최준호,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피난 시뮬레이션 모델의 신뢰성 평가에 관한 연구 - 현장실험 vs. Simulex/buildingEXODUS/Pathfinder/GongEgress -" 대한건축학회 31 (31): 269-276, 2015

      3 박동현, "지형공간정보체계 기반의 토목 - BIM DB구축 우선순위 선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3 (23): 73-79, 2015

      4 박승화, "정보수준에 따른 개방형BIM기반의 건축정보관리 체계" 대한건축학회 30 (30): 41-48, 2014

      5 김지은, "웹기반 GIS 플랫폼 상 가시화 처리를 위한 대용량 BIM 데이터의 경량화 알고리즘 제시" 한국공간정보학회 23 (23): 41-48, 2015

      6 원지선,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BIM 데이터 입력기준 개발방안: 건축 기계설비를 중심으로" 대한설비공학회 25 (25): 216-224, 2013

      7 신주호, "공간정보 기반 지능형 방범 실증지구 개념 정립 및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22 (22): 45-54, 2014

      8 김이두, "건물상세정보를 포함한 3-D GIS용 캠퍼스 모델의 구축"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15-26, 2011

      9 강태욱, "건물 시설물 관리 관점에서 GIS기반 대용량 BIM 형상 객체 표현을 위한 경량 BIM 형상 포맷 구조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21 (21): 79-87, 2013

      10 강태욱, "IFC에서 CityGML로 속성 맵핑을 위한 메타 데이터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 30 (30): 559-565, 2012

      1 이재철, "한계상태 검토에 초점을 둔 합성보와 합성기둥의 IFC-기반 부재설계를 위한 IDM" 대한건축학회 30 (30): 13-20, 2014

      2 최준호,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피난 시뮬레이션 모델의 신뢰성 평가에 관한 연구 - 현장실험 vs. Simulex/buildingEXODUS/Pathfinder/GongEgress -" 대한건축학회 31 (31): 269-276, 2015

      3 박동현, "지형공간정보체계 기반의 토목 - BIM DB구축 우선순위 선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23 (23): 73-79, 2015

      4 박승화, "정보수준에 따른 개방형BIM기반의 건축정보관리 체계" 대한건축학회 30 (30): 41-48, 2014

      5 김지은, "웹기반 GIS 플랫폼 상 가시화 처리를 위한 대용량 BIM 데이터의 경량화 알고리즘 제시" 한국공간정보학회 23 (23): 41-48, 2015

      6 원지선,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BIM 데이터 입력기준 개발방안: 건축 기계설비를 중심으로" 대한설비공학회 25 (25): 216-224, 2013

      7 신주호, "공간정보 기반 지능형 방범 실증지구 개념 정립 및 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22 (22): 45-54, 2014

      8 김이두, "건물상세정보를 포함한 3-D GIS용 캠퍼스 모델의 구축" 한국도시설계학회 12 (12): 15-26, 2011

      9 강태욱, "건물 시설물 관리 관점에서 GIS기반 대용량 BIM 형상 객체 표현을 위한 경량 BIM 형상 포맷 구조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21 (21): 79-87, 2013

      10 강태욱, "IFC에서 CityGML로 속성 맵핑을 위한 메타 데이터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 30 (30): 559-565, 2012

      11 김지은, "GIS 기반 BIM 데이터의 효과적 가시화를 위한 공간인덱싱 기법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5333-5341, 2014

      12 Sung, M. W, "Development of BIM-based Information Management Model for Efficient Building Maintenance" 137-140, 2011

      13 강태욱, "BIM과 GIS간 정보상호운용을 위한 외부 BIM 참조 모델 제안" 한국공간정보학회 20 (20): 91-98, 2012

      14 강태욱, "BIM 수행성과 평가도구의 개발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21 (21): 53-62, 2013

      15 김지은, "BIM 기반 도시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 요구사항 도출 및 프레임워크 구축"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97-406, 2014

      16 Ryu, J. R., "An Analysis Study on BIM-GIS Information Data System for Convergence Development Direction" 362-364,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9-01-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 -> 대한공간정보학회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8-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KCI등재
      2016-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7-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간정보학회 논문지 -> 한국공간정보학회지 KCI등재
      2010-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GIS학회 -> 한국공간정보학회
      영문명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ssociation Of Korea ->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KSIS)
      KCI등재
      2010-05-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GIS학회지 -> 한국공간정보학회 논문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ssociation of Korea -> 미등록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1 0.992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