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朝鮮時代 重層木造建築의 轉角部 架構法의 형식과 구조적 특성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lti-storied timber buildings need complex and professional technology to build up multi-stories compared with single-storied building. Especially, the corner part where beam and purlin meet should be treated importantly. The lintel structure of c...

      Multi-storied timber buildings need complex and professional technology to build up multi-stories compared with single-storied building. Especially, the corner part where beam and purlin meet should be treated importantly.
      The lintel structure of corner can be classified into 4 types: Guit-Bo, Guijabi-Bo, Mu-Ju, Guigo-Ju. 4 types of corner structure are different in the size and the form of corner part, and the diminishing rate according to the structure method.
      Guit-Bo type, which was mainly used in the temple buildings, is the structure to erect the corner column on the beam which laid on the lower bracket sets. Guijabi-Bo type has a restriction like Guit-Bo when it is used in the main temple; however when it is used in gate pavilion, it takes an advantage to be free from the size and the shape of corner, because it is laid between Jugan-Po(Bracket Sets Between Columns). Guigo-Ju type is the unique type of Chosun which began to be made with establishment of Chosun Dynasty. This type has an structural advantage, thus it is used in the large building. Mu-Ju type is a coupling method without colum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전각부 가구 형식
      • 3. 구조특성 비교 분석
      • 4. 종합 고찰
      • Abstract
      • 1. 서론
      • 2. 전각부 가구 형식
      • 3. 구조특성 비교 분석
      • 4. 종합 고찰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韓永愚, "화성성역의궤(상,하)" 경기문화재단 2005

      2 "조선의 절안내" 조선문화보존사 2003

      3 김덕문, "조선시대 전통목조건축의 통주형 중층체계" 충북대학교 1997

      4 김봉건, "전통 중층목조건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4

      5 배병선, "우리나라 목조건축의 가구형식과 결구법" 36 (36): 1992

      6 "역주 보림사 중창기" 장흥문화원 2001

      7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도서출판 동녘 2007

      8 김도경, "송 [영조법식] <대목작제도>주해. in: 건축사" 1995

      9 "북한문화재해설집Ⅲ"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10 노현균, "경운궁 중화전 중층가구 복원계획 연구" 명지대학교 2001

      1 韓永愚, "화성성역의궤(상,하)" 경기문화재단 2005

      2 "조선의 절안내" 조선문화보존사 2003

      3 김덕문, "조선시대 전통목조건축의 통주형 중층체계" 충북대학교 1997

      4 김봉건, "전통 중층목조건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4

      5 배병선, "우리나라 목조건축의 가구형식과 결구법" 36 (36): 1992

      6 "역주 보림사 중창기" 장흥문화원 2001

      7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도서출판 동녘 2007

      8 김도경, "송 [영조법식] <대목작제도>주해. in: 건축사" 1995

      9 "북한문화재해설집Ⅲ"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10 노현균, "경운궁 중화전 중층가구 복원계획 연구" 명지대학교 2001

      11 신응수, "경복궁 근정전" 현암사 2005

      12 "興仁之門:精密實測調査報告書" 서울특별시 종로구 2006

      13 "法住寺 大雄殿 實測․修理報告書" 문화재청 2005

      14 張先得, "明清北京城垣和城門" 河北敎育出版社 2003

      15 "昌慶宮"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9

      16 "昌德宮 仁政殿: 實測調査報告書" 문화재관리국 1998

      17 "崇禮門:精密實測調査報告書" 서울특별시 중구 2006

      18 "勤政門 修理 報告書" 문화재청 2001

      19 "勤政殿: 補修工事 및 實測調査報告書" 문화재청 2003

      20 "勤政殿: 實測調査報告書" 문화재청 2000

      21 "中和殿營建都監儀軌" 서울大學校 奎章閣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