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이 정치와 종교의 일치화를 추구하면서, 종교를 일상적인 삶 속에 완전히 동화시켜 생활의 구체적인 지침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그러므로 정교(政敎)를 엄격히 분리하고 있는 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18893
-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끊임없이 정치와 종교의 일치화를 추구하면서, 종교를 일상적인 삶 속에 완전히 동화시켜 생활의 구체적인 지침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그러므로 정교(政敎)를 엄격히 분리하고 있는 서...
끊임없이 정치와 종교의 일치화를 추구하면서, 종교를 일상적인 삶 속에 완전히 동화시켜 생활의 구체적인 지침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그러므로 정교(政敎)를 엄격히 분리하고 있는 서구적인 사고 기준에서 이슬람을 바라볼 때 느끼게 되는 이질감이나 답답함은 이런 면에서 보면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 매우 전근대적이고 호전적인 성격에다 자신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무모한 종교라는 선입견도 이런 배경에서 생겨나게 된다. 그러나 이슬람은 앞선 일신교의 불합리성과 집권층의 지배 이데올로기로 변질된 기존 이념을 일소하고 창시됨으로써 선험적인 우월감을 신자들에게 심어 주었고, 현재도 가장 역동적인 모습으로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이슬람은 글로벌화 된 세계를 읽고 해결하는 열쇠의 하나로 인식되어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이슬람에 관한 편견과 오해가 일반적이다. 이는 우리가 이슬람 세계를 접할 때 국내에 관련 학문이 축적되어 있지 못한 관계로 인해 서구를 통해 이슬람 종교와 이슬람 사회의 사정을 접해왔기 때문이다.
21세기에는 타종교 및 타문화 이해와 대화가 더욱더 증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슬람 문화권과의 대화와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이슬람 사상의 기초인 윤리관에서 신론과 인간론 그리고 양자의 관계성을 논한 계시와 이성의 관계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슬람은 정교일치인 관계로 이슬람 윤리관에 나타나는 신과 인간 그리고 양자의 관계가 사회체제 구성의 가장 기초적인 요소이며 이슬람 사상과 문화 이해에 필수사항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슬람지역 각 대학이나 연구 기관에서 조차 현대 세계에 맞는 윤리관을 정립하기 위해 이 주제에 관한 많은 연구를 하고 있는 것만을 봐도 이 연구의 필요성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윤리관을 3년에 걸쳐 신론과 인간론 그리고 양자의 관계성을 논한 계시와 이성의 관계 연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1년차 논문 이슬람 윤리관-인간론을 중심으로- 은 완성하여 학진 등재지에 게재하였으며 2년차 논문은 양이 많아 두 편으로 나누어 완성하였으며 (이슬람 윤리관-신의 유일성을 중심으로-, 이슬람 윤리관-신의 정의와 의지를 중심으로-) 학진 등재지에 게재하였다.
3년차 논문인 이슬람 윤리관-계시와 이성의 관계를 중심으로-은 게재 예정 중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Ⅰ. 연구계획 1. 연구 목적 1.1 연구의 중요성 1.2 윤리관 소개와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 방법 및 추진 전략 3.1. 연구방법 및 추진전략 3.2. 진행방법 Ⅲ. 2...
Ⅰ. 연구계획
1. 연구 목적
1.1 연구의 중요성
1.2 윤리관 소개와 연구의 필요성
1.3 연구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 방법 및 추진 전략
3.1. 연구방법 및 추진전략
3.2. 진행방법
Ⅲ. 2차년도 연구계획
1.연구의 목적
2.연구의 내용,범위 및 방법
3.학문․사회발전에의 기여 및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4.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