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고려사 소재 외교문서를 개괄한 것이다. 아울러 형식적 양상과 수사학적 분석의 틀을 제시하려는 시론이다. 고려왕조에서 발송한 외교문서는 모두 204건이고, 고려왕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25551
2010
-
외교문서 ; 수사학 ; 고려사 ; 설득 ; 논거 ; 논증 형식 ; 표현 수단 ; 이성 ; 감성 ; diplomatic documents ; rhetoric ; Koryo History ; persuasion ; argument ; argumentation ; expressive means ; rationality ; sensitivity
810
KCI등재
학술저널
157-177(2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고려사 소재 외교문서를 개괄한 것이다. 아울러 형식적 양상과 수사학적 분석의 틀을 제시하려는 시론이다. 고려왕조에서 발송한 외교문서는 모두 204건이고, 고려왕조...
본고는 고려사 소재 외교문서를 개괄한 것이다. 아울러 형식적 양상과 수사학적 분석의 틀을 제시하려는 시론이다. 고려왕조에서 발송한 외교문서는 모두 204건이고, 고려왕조에서 받은 것은 289건이다.
고려왕조에서 대부분 중국의 여러 왕조로 외교문서를 발송했다. 그러나 일본국에 보낸 문서가 3건 나타난다. 고려왕조에서 받은 문서도 대부분은 중국 왕조들의 것이지만, 일본과 태국에서 보낸 것도 있었다.
고려왕조에서 발송한 문서는 ‘표(表)’, ‘서(書)’, ‘주(奏)’, ‘첩(牒)’, ‘자(咨)’, ‘기타’, ‘전(箋)’, ‘신(申)’, ‘장(狀)’의 형식을 띤다. 고려왕조에서 받은 문서는 ‘조(詔)’, ‘첩(牒)’, ‘칙(勅)’, ‘책(冊)’, ‘서(書)’, ‘자(咨)’, ‘문(文)’, ‘록(錄)’, ‘명(命)’, ‘관고(官告)’, ‘제(制)’, ‘책(策)’, ‘관자(關子)’, ‘고신(告身)’, ‘주(奏)’, ‘표(表)’의 형식을 띤다.
외교문서를 분석할 수 있는 수사학적 틀로 제시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교문서의 유형이다. 그것은 ‘칭찬’, ‘권유’, ‘변호’로 대별할 수 있는데, 외교문서에서 사용되는 논거를 보여준다. 둘째 외교문서에서 설득에 영향을 미치는 문채적 특징이 있다. 이는 문서에 나타난 표현의 방법과 관련되는데 외교에서 설득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이성적 의사소통과 감성적 의사소통이다. 이성적 의사소통에서는 논거와 논증 형식이 중요하고, 감성적 의사소통에서는 ‘호감’의 획득이 중요하다. 물론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이 두 방식의 조화로움이다. 넷째, 외교문서의 구조, 즉 문장 구성방식이다. 문서의 구성 형식은 문학적인 아름다움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득의 효율성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survey the diplomatic documents in the Koryo History and to suggest a frame for a rhetorical analysis of those documents. The number of diplomatic documents that Koryo dynasty had sent to neighboring countries are 204 items and Koryo...
This paper is to survey the diplomatic documents in the Koryo History and to suggest a frame for a rhetorical analysis of those documents. The number of diplomatic documents that Koryo dynasty had sent to neighboring countries are 204 items and Koryo had been recieved 289 items from them.
The Koryo dynasty sent mostly documents to Chinese dynasties, but there were three items to send to Japan. Also the documents that Koryo dynasty was received are mainly those of Chinese dynasties, but there were three items of other countries: two of Japan and one of Thailand.
There are the genres of ‘表’, ‘書’, ‘奏’, ‘牒’, ‘咨’, ‘箋’, ‘申’, ‘狀’ and ‘the rest’ in the diplomatic documents that Koryo dynasty send to. There are the genres of ‘詔’, ‘牒’, ‘勅’, ‘冊’, ‘書’, ‘咨’, ‘文’, ‘錄’, ‘命’, ‘官告’, ‘制’, ‘策’, ‘關子’, ‘告身’, ‘奏’, and ‘表’ in what Koryo dynasty was received from.
The rhetorical frameworks to be able to analyze documents are as follows. Frist, it is a types of the documents. This types are categorized as three kinds: praise, invitation, and defense. This three types show an argument in documents. Second, it is expressive means contributing to persuasion shown in documents. Third, it is a method of rational and sensitive communications. In the former, argument and argumentation are very important and in the latter it is very important to get a favorable impression. Undoubtedly, a harmony of the two factors of rational and sensitive communications is the most important things for good documents. Finally, it is a structure of document contributing to persuasion. A structure of the documents is related not only to beauty of a literature but also to effective persuas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국사편찬위원회 편집부, "한국사 15" 국사편찬위원회 1995
2 송병우, "표문의 설득 수단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5
3 유협, "문심조룡(文心雕龍)" 민음사 2002
4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도서출판 민족문화 2008
1 국사편찬위원회 편집부, "한국사 15" 국사편찬위원회 1995
2 송병우, "표문의 설득 수단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5
3 유협, "문심조룡(文心雕龍)" 민음사 2002
4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도서출판 민족문화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 | 1.236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