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중도입국 청소년 공교육진입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blem of entering public education for multicultural youth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8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experiences of youth who went on to public education and factors for adapting to public education this study believes that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preparatory schools by revealing the factors of their impact on entering public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the factors of their experiences in preliminary schools and how their experiences in preliminary schools affect public education adaptation. Until now, a proper status survey has not been conducted in Korea. because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accurate statistics due to the diverse status of children from multicurtural families. Through cooperation from government ministr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 government should conduct a nationwide survey on the status of youth and make accurate statistics. The expansion of multicultural pre-schools is needed to help multicurtural youth enter public education.
      번역하기

      Based on the experiences of youth who went on to public education and factors for adapting to public education this study believes that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preparatory schools by revealing the factors of their impac...

      Based on the experiences of youth who went on to public education and factors for adapting to public education this study believes that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preparatory schools by revealing the factors of their impact on entering public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the factors of their experiences in preliminary schools and how their experiences in preliminary schools affect public education adaptation. Until now, a proper status survey has not been conducted in Korea. because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accurate statistics due to the diverse status of children from multicurtural families. Through cooperation from government ministr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the government should conduct a nationwide survey on the status of youth and make accurate statistics. The expansion of multicultural pre-schools is needed to help multicurtural youth enter public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자순, "청소년 여가활동과 정서조절의 관계 연구" 가천대학교 2015

      2 좌동훈, "중도입국청소년의 출신 국적과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97-126, 2014

      3 양계민, "중도입국청소년의 심리ㆍ사회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95-224, 2012

      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소, "중도입국청소년 실태 및 자립지원방안 연구" 2016

      5 선은정, "중도입국자녀의 공교육 진입 관련 다문화코디네이터의 현장 경험연구"

      6 김성직, "중도입국자녀를 위한 공공정책의 방향과 대안"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 대학원 2013

      7 이소라,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8 조혜영, "중도입국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과정 및 적응지원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311-335, 2012

      9 김민지, "중도입국 청소년의 정규학교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다문화 예비 학교의 역할을 중심으로"

      10 류방란, "중도입국 청소년의 교육 기회와 적응 실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29-50, 2012

      1 박자순, "청소년 여가활동과 정서조절의 관계 연구" 가천대학교 2015

      2 좌동훈, "중도입국청소년의 출신 국적과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97-126, 2014

      3 양계민, "중도입국청소년의 심리ㆍ사회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 (19): 195-224, 2012

      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소, "중도입국청소년 실태 및 자립지원방안 연구" 2016

      5 선은정, "중도입국자녀의 공교육 진입 관련 다문화코디네이터의 현장 경험연구"

      6 김성직, "중도입국자녀를 위한 공공정책의 방향과 대안"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 대학원 2013

      7 이소라,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업 문식성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8 조혜영, "중도입국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과정 및 적응지원 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311-335, 2012

      9 김민지, "중도입국 청소년의 정규학교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다문화 예비 학교의 역할을 중심으로"

      10 류방란, "중도입국 청소년의 교육 기회와 적응 실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29-50, 2012

      11 최영권,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 : 정규과정 진입을 위한 한국어 교육 원리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12 홍종명, "중도입국 청소년 한국어 학습 동기 연구 -중국인 학습자의 자기결정성 동기(self-determination motivation)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60 : 421-446, 2014

      13 여성가족부, "제4차 청소년정책(수정·보완) 기본 계획" 2011

      14 이기숙, "문화다양성과 가족생활교육" 신라대학교 여성문제 연구소 19 : 211-242, 2008

      15 무지개청소년센터, "무지개청소년센터 활동 보고서" 2011

      16 이병철, "다문화가족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3 (63): 131-154, 2011

      17 조옥이, "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자녀에 대한 한국어문화 교육의 방안과 내용- 교육 사례 예시를 통한 문제 제기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6 : 217-238, 2011

      18 전경숙, "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자녀 초기적응 지원방안 연구"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2

      19 성상환, "다문화가정 동반·중도입국 자녀 교육 수요 및 지원방안연구"

      20 김홍기, "국내 중도입국 자녀의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5

      21 Brown, H. D.,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earson Education 2007

      22 교육부, "2018년도 다문화 학생 통계"

      23 여성가족부, "2018년 다문화 가족 통계 편람"

      24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도 다문화가정 학생 현황" 교육과학기술부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7-3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교문화연구소 -> 다문화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for cross-cultural studies -> Institute for multicultural studies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