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rive components that librarians think preferentially necessary and realistically important when applying the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to the library working environments. It was p...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rive components that librarians think preferentially necessary and realistically important when applying the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to the library working environments. It was p...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rive components that librarians think preferentially necessary and realistically important when applying the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to the library working environments. It was possible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ability unit and its element which are the components of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First, ability units of ‘User Information Services’, ‘Reading and Culture Programs’ were higher in importance and utilization at the same time. Ability uni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al Research Perform’, ‘Library and Information Cur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were lower in importance and utilization when we evaluate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ability unit and its element which are the components of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Second, components of ‘Reading and Culture Programs’, ‘User Information Service’, ‘Library and Information Collection’ were higher in the order, and compon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ur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al Research Perform’ were found lower in demands as the desirable level and the current level appear less common when we analyzed the demands on the duty components utilizing Borich requirements analysis model. Third, six ability units of ‘Reading and Culture Programs’, ‘User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and Information Collec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Marketing’, ‘Library and Information Preserv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Use Analysis’ were derived as priority components when we analyzed the priority of the duty component (ability unit) utiliz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 구성요소인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를 도서관 실무에 적용했을 때 현장 사...
본 연구는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 구성요소인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를 도서관 실무에 적용했을 때 현장 사서들이 실질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첫째,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의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한 결과, ‘이용자 정보서비스’,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동시에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구성요소는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 수준이 공통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어 요구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의 우선순위 분석 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문헌정보 서비스 마케팅’, ‘문헌정보 보존’, ‘문헌정보 이용 분석’의 6개 능력단위가 최우선순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주호, "한국폴리텍대학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 요구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83-105, 2013
2 김동연,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22-46, 2013
3 국립중앙도서관, "직무분석을 통한 전문사서제도 개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2007
4 정제영, "중등 신임교사의 직무 역량 요구도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373-396, 2014
5 차성종,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0 (50): 457-491, 2016
6 이화진,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비서 직무 NCS 중요도 분석" 한국비서학회 24 (24): 29-52, 2015
7 이향숙, "작업치료사 핵심직무 분석과 경력과 치료 분야에 따른 직무 차이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 19 (19): 1-14, 2011
8 최정임,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천 가이드" 학지사 2009
9 정진현, "유⋅초등학교 교사의 공학기술문화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161-184, 2013
10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 165-187, 2009
1 박주호, "한국폴리텍대학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산업체의 교육 요구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2 (32): 83-105, 2013
2 김동연,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 13 (13): 22-46, 2013
3 국립중앙도서관, "직무분석을 통한 전문사서제도 개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2007
4 정제영, "중등 신임교사의 직무 역량 요구도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373-396, 2014
5 차성종,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의 문헌정보학 현장실습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0 (50): 457-491, 2016
6 이화진,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비서 직무 NCS 중요도 분석" 한국비서학회 24 (24): 29-52, 2015
7 이향숙, "작업치료사 핵심직무 분석과 경력과 치료 분야에 따른 직무 차이 비교" 대한작업치료학회 19 (19): 1-14, 2011
8 최정임,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천 가이드" 학지사 2009
9 정진현, "유⋅초등학교 교사의 공학기술문화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161-184, 2013
10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 165-187, 2009
11 안상란, "사이버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요구도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375-400, 2015
12 윤관식, "민간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의 역할과 직무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149-163, 2010
13 권선영,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육과정 적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6 (46): 141-169, 2015
14 차성종,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의 현장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학제별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9 (49): 355-379, 2015
15 한국산업인력공단, "국가직무능력표준"
16 김수경, "공과대학 교수를 위한 공학교육 연수프로그램 개발 교육요구도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17 Zarafshani, K., "What Can a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Tell Us about In-Service Training Needs of Faculty in a College of Agriculture? The Case of Iran" 14 (14): 347-357, 2008
18 Mckillip, J., "Needs Analysis: Tools for the Human Services and Education" Sage Publications 1987
19 박정근, "NCS기반 세무와 회계·감사 직무의능력단위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29 (29): 79-103, 2015
20 교육부,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개발, 운영 및 평가, 질 관리"
21 Bishop, B. W., "Job Analyses of Emerging Information Professions : A Survey Validation of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s Map and Geospatial Information Round Table(MAGIRT)Core Competencies to Inform Geographic Information Librarianship(GIL)Curriculum" 85 (85): 64-84, 2015
22 Mink, O. G.,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1991
23 Bronstein, J., "An Exploration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al Skills and Personal Competencies : An Israeli Perspective" 37 (37): 130-138, 2015
24 Borich, G.,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31 (31): 39-42, 1980
25 한국산업인력공단 NCS센터, "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2015
26 고용노동부,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 표준 및 활용 패키지" 고용노동부 2014
문헌정보학과 학생의 직장으로서의 도서관․정보센터 이미지 분석
이용자 관점의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요소와 속성 및 상대적 중요도 분석
RDA 도입을 위한 정보조직 교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8-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9 | 0.59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67 | 0.952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