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 천황제의 리저널리즘 = The Regionalism of the Modern Japanese Emperor Syste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Second World War, Japan symbolically maintained the Emperor system through the constitution given by America during the period of American occupation(1945-1952).
      Consequently, during the 50 years of postwar period, Japan established citizen’s democracy.
      America exempted Emperor Hirohito from facing Far East War Crime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Emperor System is made symbolic. America also stripped Hirohito of political power and specified that renunciation of war and democratic sovereignty be made part of the new constitution
      Though outwardly absolute ultra-imperialism was gone,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Japanese peoples’ recognition of the Emperor’s authority as portrayed in myths and in the sanctity which people invested the Emperor system.
      This was evident when Emperor Hirohito fell ill(1988) and the entire nation went to prayer for the Emperor’s complete recovery. The Japanese people clearly still revered the Emperor in the form of a heteronomous compulsion power disguised as autonomous behavior.
      This paper focused on the formational process of the Japanese Symbolic Emperor System and its relation with the Japanese and the Emperor. So the maintenance of the Emperor System by what is called the constitution of peace of Japan does not mean the rupture between the Absolute Imperialism and the Symbolic Emperor System, but in fact indicates its continuity by becoming immanent in its extension.
      번역하기

      After the Second World War, Japan symbolically maintained the Emperor system through the constitution given by America during the period of American occupation(1945-1952). Consequently, during the 50 years of postwar period, Japan established citizen...

      After the Second World War, Japan symbolically maintained the Emperor system through the constitution given by America during the period of American occupation(1945-1952).
      Consequently, during the 50 years of postwar period, Japan established citizen’s democracy.
      America exempted Emperor Hirohito from facing Far East War Crimes,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Emperor System is made symbolic. America also stripped Hirohito of political power and specified that renunciation of war and democratic sovereignty be made part of the new constitution
      Though outwardly absolute ultra-imperialism was gone,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Japanese peoples’ recognition of the Emperor’s authority as portrayed in myths and in the sanctity which people invested the Emperor system.
      This was evident when Emperor Hirohito fell ill(1988) and the entire nation went to prayer for the Emperor’s complete recovery. The Japanese people clearly still revered the Emperor in the form of a heteronomous compulsion power disguised as autonomous behavior.
      This paper focused on the formational process of the Japanese Symbolic Emperor System and its relation with the Japanese and the Emperor. So the maintenance of the Emperor System by what is called the constitution of peace of Japan does not mean the rupture between the Absolute Imperialism and the Symbolic Emperor System, but in fact indicates its continuity by becoming immanent in its exten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은 미국의 점령통치(1948-1952)를 통해 부여된 헌법에 의해 상징천황제로 소위 ‘국체(國體)로서의 천황제 유지를 달성하게 된다. 따라서 일본의 전후 50년은 상징천황제 하에서 시민민주주의를 구현하는 시대였다고 볼 수 있다. 상징천황제를 조건으로 미국은 천황을 전쟁범죄자 소추로부터 면제하였으며, 천황의 정치권력을 박탈하고 국민주권과 일본의 전쟁포기를 헌법에 명시하였다. 외면상 근대 일본의 절대주의 천황제와의 단절을 규정하였으나, 일본인의 잠재 의식화된 국민의식 속에는 여전히 천황제 신화와 신성성이 자리 잡고 있어 천황의 권위에 대한 인식은 변함이 없었던 것이다.
      쇼와천황 히로히토의 와병(1988)을 계기로 일어난 전국적인 자숙(自肅)과 완쾌기원(完快祈願)은 자율(自律)을 가장한 타율적 강제행위들이 천황 신앙의 주술적 속박으로 일본인에게 여전히 뿌리 깊이 남아 있음을 증명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전후 상징천황제 성립의 과정과 일본 국민과 천황과의 관련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소위 평화헌법에 의한 천황제의 유지가 절대주의 천황제로부터의 단절이 아니라 연속성의 연장선상에서 내재화되어 갔음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대의 상징천황제하의 일본은, 천황제 신화를 내세워 민족적 우월성을 주장했던 근대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아시아 혹은 세계 속의 일본이 아니라 일본 속의 일본으로 특수화하는 편향성을 보이고 있는 특이한 리저널리즘의 지역인 것이다.
      번역하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은 미국의 점령통치(1948-1952)를 통해 부여된 헌법에 의해 상징천황제로 소위 ‘국체(國體)로서의 천황제 유지를 달성하게 된다. 따라서 일본의 전후 50년은 상징천황...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은 미국의 점령통치(1948-1952)를 통해 부여된 헌법에 의해 상징천황제로 소위 ‘국체(國體)로서의 천황제 유지를 달성하게 된다. 따라서 일본의 전후 50년은 상징천황제 하에서 시민민주주의를 구현하는 시대였다고 볼 수 있다. 상징천황제를 조건으로 미국은 천황을 전쟁범죄자 소추로부터 면제하였으며, 천황의 정치권력을 박탈하고 국민주권과 일본의 전쟁포기를 헌법에 명시하였다. 외면상 근대 일본의 절대주의 천황제와의 단절을 규정하였으나, 일본인의 잠재 의식화된 국민의식 속에는 여전히 천황제 신화와 신성성이 자리 잡고 있어 천황의 권위에 대한 인식은 변함이 없었던 것이다.
      쇼와천황 히로히토의 와병(1988)을 계기로 일어난 전국적인 자숙(自肅)과 완쾌기원(完快祈願)은 자율(自律)을 가장한 타율적 강제행위들이 천황 신앙의 주술적 속박으로 일본인에게 여전히 뿌리 깊이 남아 있음을 증명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전후 상징천황제 성립의 과정과 일본 국민과 천황과의 관련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소위 평화헌법에 의한 천황제의 유지가 절대주의 천황제로부터의 단절이 아니라 연속성의 연장선상에서 내재화되어 갔음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대의 상징천황제하의 일본은, 천황제 신화를 내세워 민족적 우월성을 주장했던 근대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아시아 혹은 세계 속의 일본이 아니라 일본 속의 일본으로 특수화하는 편향성을 보이고 있는 특이한 리저널리즘의 지역인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죽어가는 천황의 나라에서 In the Realm of a Dying Emperor" 창작과 비평사 2002

      2 "일본의 영토 분쟁과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인하대학교 출판부 2003

      3 "일본 망언의 계보" 1996

      4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3

      5 "사회계약론,Du Contrat social"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6 "사죄와 망언 사이에서" 창작과 비평사 1998

      7 "라이샤워의 ‘괴뢰천황제’ 구상" 실천문학편집위원회 61 (61): 360-380, 2001

      8 "木戶幸一日記" 東京大學出版會 1966

      9 "日本外交年表竝主要文書" 原書房 1988

      10 "戰爭責任戰後責任問題の水域" 朝日新聞社朝日選書 3-18, 1995

      1 "죽어가는 천황의 나라에서 In the Realm of a Dying Emperor" 창작과 비평사 2002

      2 "일본의 영토 분쟁과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 인하대학교 출판부 2003

      3 "일본 망언의 계보" 1996

      4 "오리엔탈리즘" 교보문고 2003

      5 "사회계약론,Du Contrat social"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6 "사죄와 망언 사이에서" 창작과 비평사 1998

      7 "라이샤워의 ‘괴뢰천황제’ 구상" 실천문학편집위원회 61 (61): 360-380, 2001

      8 "木戶幸一日記" 東京大學出版會 1966

      9 "日本外交年表竝主要文書" 原書房 1988

      10 "戰爭責任戰後責任問題の水域" 朝日新聞社朝日選書 3-18, 1995

      11 "天皇天皇制の史" 明石書店 1989

      12 "天皇制の責任と後責任" 木書店 1990

      13 "天皇と日本人の課題" 洋泉社 2003

      14 "倂合の由來と朝鮮の現狀" 朝鮮印刷株式會社 1934

      15 "侍從長の回想" 講談社 1961

      16 "世界大百科事典" 學園出版公社 1994

      17 "His Rendezvous with History" 195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7 0.67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