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행정권의 제한으로서의 법률 그리고 합헌적 행정권 : 로렌츠 폰 슈타인(Lorenz von Stein)의 법치국가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87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9세기 독일에서 논의된 입법권에 의해 제한되는 행정권이라는 의미의 법치국가론을 입법권을 행사하는 국민대표체의 분석을 통해 비판하고 행정입법의 근거를 제시한 로렌츠 폰 슈타인의 법치국가론을 대상으로 한다. 국민대표체의 입법 기능과 함께 정부의 내무행정이 근대 시민적 산업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슈타인의 논리는 크게 두 가지를 전제한다. 하나는 프랑스혁명 이후 요구된 정치적ㆍ법적 자유와 함께 “인격적 자유”를 위한 개인의 자립성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자유론이고, 다른 하나는 당대 독일에서 입법권을 담당할 국민대표체가 국가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를 대표하는 ‘비역사적 국민대표체’라는 점이다. 국가의 대표가 아니라 사회의 대표인 비역사적 국민대표체는 입법을 통해 이익투쟁을 조정하는 과제를 담당하고, 국가의 대표로서 정부는 행정을 통해 개인의 인격적 자유 실현을 지원한다. 국민대표체와 정부는 각각의 과제 수행을 위해 법률과 행정명령을 제정하는 병렬적인 관계에 있으며, 행정권은 입법권으로부터 일정한 자율성을 갖는다. 입법권을 벗어난 행정권의 한계이자 토대는 국가가 개인의 인격적 자유 실현을 지원해야 한다는 “국가이념”이다. 국민대표체가 정부 행정권을 제한해야 한다는 법치 원칙은 특정 속성을 가진 ‘역사적 국민대표체’를 전제로 하는 것이며, 비역사적 국민대표체가 존재하는 헌정체제에서 행정권의 한계는 국가권력을 포괄하는 합헌성이 된다는 슈타인의 법치국가론은 근대 헌정국가 수립과정에서 공동체의 이념을 구성해낼 역량이 있는 국가기관이 반드시 국민대표체가 아닐 경우 입법권력이 최고권력의 지위를 가질 수 없으므로 그에 따라 법치의 형태도 달라진다고 주장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19세기 독일에서 논의된 입법권에 의해 제한되는 행정권이라는 의미의 법치국가론을 입법권을 행사하는 국민대표체의 분석을 통해 비판하고 행정입법의 근거를 제시한 로렌츠 폰...

      이 연구는 19세기 독일에서 논의된 입법권에 의해 제한되는 행정권이라는 의미의 법치국가론을 입법권을 행사하는 국민대표체의 분석을 통해 비판하고 행정입법의 근거를 제시한 로렌츠 폰 슈타인의 법치국가론을 대상으로 한다. 국민대표체의 입법 기능과 함께 정부의 내무행정이 근대 시민적 산업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슈타인의 논리는 크게 두 가지를 전제한다. 하나는 프랑스혁명 이후 요구된 정치적ㆍ법적 자유와 함께 “인격적 자유”를 위한 개인의 자립성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자유론이고, 다른 하나는 당대 독일에서 입법권을 담당할 국민대표체가 국가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를 대표하는 ‘비역사적 국민대표체’라는 점이다. 국가의 대표가 아니라 사회의 대표인 비역사적 국민대표체는 입법을 통해 이익투쟁을 조정하는 과제를 담당하고, 국가의 대표로서 정부는 행정을 통해 개인의 인격적 자유 실현을 지원한다. 국민대표체와 정부는 각각의 과제 수행을 위해 법률과 행정명령을 제정하는 병렬적인 관계에 있으며, 행정권은 입법권으로부터 일정한 자율성을 갖는다. 입법권을 벗어난 행정권의 한계이자 토대는 국가가 개인의 인격적 자유 실현을 지원해야 한다는 “국가이념”이다. 국민대표체가 정부 행정권을 제한해야 한다는 법치 원칙은 특정 속성을 가진 ‘역사적 국민대표체’를 전제로 하는 것이며, 비역사적 국민대표체가 존재하는 헌정체제에서 행정권의 한계는 국가권력을 포괄하는 합헌성이 된다는 슈타인의 법치국가론은 근대 헌정국가 수립과정에서 공동체의 이념을 구성해낼 역량이 있는 국가기관이 반드시 국민대표체가 아닐 경우 입법권력이 최고권력의 지위를 가질 수 없으므로 그에 따라 법치의 형태도 달라진다고 주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views the 19th century national law scholar (Staatsrechtslehrer) Lorenz von Stein’s theory, which recognizes administrative legislation as well as parliamentary legislation based on a clear distinction between state and society. Stein’s postulation that the internal administration by a government is as necessary as the legislative function of a parliamentary representative body in addressing issues arising within a modern civil industrial society was largely grounded on two premises. First was the understanding that the parliamentary representative body exercising legislative authority in Germany at that time did not represent the state but rather society. Second was the theory of liberty that “personal liberty (persönliche Freiheit),” or independence of a person for one’s self-perfection, is as important as the political and legal freedoms that had been acquired since the French Revolution. The parliamentary representative body, as the representative of society, mediates conflicts over interests through legislation while the government,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state, supports the realization of personal liberty through public administration. The parliamentary representative body and the government enacting legislation and administrative orders, respectively, are in a parallel relationship, and administrative authority is autonomous from legislative authority to a certain extent. The foundation and limitation of administrative authority is the “idea of the state (Staatsidee)” that a state must support the realization of individual personal liberty. However, Stein argued that maintaining autonomy in public administration is difficult in a community that lacks the ability to philosophically and culturally construct and politically build through the system of democracy the idea of the state upon which such autonomy is based.
      번역하기

      This study reviews the 19th century national law scholar (Staatsrechtslehrer) Lorenz von Stein’s theory, which recognizes administrative legislation as well as parliamentary legislation based on a clear distinction between state and society. Stein...

      This study reviews the 19th century national law scholar (Staatsrechtslehrer) Lorenz von Stein’s theory, which recognizes administrative legislation as well as parliamentary legislation based on a clear distinction between state and society. Stein’s postulation that the internal administration by a government is as necessary as the legislative function of a parliamentary representative body in addressing issues arising within a modern civil industrial society was largely grounded on two premises. First was the understanding that the parliamentary representative body exercising legislative authority in Germany at that time did not represent the state but rather society. Second was the theory of liberty that “personal liberty (persönliche Freiheit),” or independence of a person for one’s self-perfection, is as important as the political and legal freedoms that had been acquired since the French Revolution. The parliamentary representative body, as the representative of society, mediates conflicts over interests through legislation while the government,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state, supports the realization of personal liberty through public administration. The parliamentary representative body and the government enacting legislation and administrative orders, respectively, are in a parallel relationship, and administrative authority is autonomous from legislative authority to a certain extent. The foundation and limitation of administrative authority is the “idea of the state (Staatsidee)” that a state must support the realization of individual personal liberty. However, Stein argued that maintaining autonomy in public administration is difficult in a community that lacks the ability to philosophically and culturally construct and politically build through the system of democracy the idea of the state upon which such autonomy is ba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문제제기 : 법치국가의 재정의
      • Ⅱ. 윤리적 국가와 인격적 자유
      • Ⅲ. 입법기관으로서의 비역사적 국민대표체
      • Ⅳ. 결론 : 입법권과 합헌적 행정권에 의한 법치
      • 논문요약
      • Ⅰ. 문제제기 : 법치국가의 재정의
      • Ⅱ. 윤리적 국가와 인격적 자유
      • Ⅲ. 입법기관으로서의 비역사적 국민대표체
      • Ⅳ. 결론 : 입법권과 합헌적 행정권에 의한 법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icey, Albert Venn, "헌법학 입문" 경세원 1993

      2 김운태, "행정학요론" 민중서관 1959

      3 정인흥, "행정학" 박영사 1960

      4 오향미, "프리드리히 슈탈의 법치국가론: 정치적 자유에 대한 시민적 자유의 우선성" 한국법철학회 22 (22): 155-184, 2019

      5 오향미, "정치적‘대표representation’개념과 대의제: 독일 입헌군주정의‘대표’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3 (43): 109-128, 2009

      6 Stein, Lorenz von, "Zur preußischen Verfassungsfrage" Duncker & Humblot 2002

      7 Blasius, Dirk, "Zeitdiagnosen: Carl Schmitt und Lorenz von Stein" 43 (43): 23-34, 2004

      8 Grawert, Rolf, "Staat und Gesellschaft. Studien über Lorenz von Stein" Duncker & Humblot 245-271, 1978

      9 Hartmann, Klaus, "Staat und Gesellschaft. Studien über Lorenz von Stein" Duncker & Humblot 65-95, 1978

      10 Schnur, Roman, "Staat und Gesellschaft : Studien űber Lorenz von Stein" Duncker & Humblot 1978

      1 Dicey, Albert Venn, "헌법학 입문" 경세원 1993

      2 김운태, "행정학요론" 민중서관 1959

      3 정인흥, "행정학" 박영사 1960

      4 오향미, "프리드리히 슈탈의 법치국가론: 정치적 자유에 대한 시민적 자유의 우선성" 한국법철학회 22 (22): 155-184, 2019

      5 오향미, "정치적‘대표representation’개념과 대의제: 독일 입헌군주정의‘대표’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3 (43): 109-128, 2009

      6 Stein, Lorenz von, "Zur preußischen Verfassungsfrage" Duncker & Humblot 2002

      7 Blasius, Dirk, "Zeitdiagnosen: Carl Schmitt und Lorenz von Stein" 43 (43): 23-34, 2004

      8 Grawert, Rolf, "Staat und Gesellschaft. Studien über Lorenz von Stein" Duncker & Humblot 245-271, 1978

      9 Hartmann, Klaus, "Staat und Gesellschaft. Studien über Lorenz von Stein" Duncker & Humblot 65-95, 1978

      10 Schnur, Roman, "Staat und Gesellschaft : Studien űber Lorenz von Stein" Duncker & Humblot 1978

      11 Böckenförde, Ernst-Wolfgang, "Recht, Staat, Freiheit. Studien zur Rechtsphilosophie, Staatstheorie und Verfassungsgeschichte" Suhrkamp 170-208, 1963

      12 Böckenförde, Ernst-Wolfgang, "Recht, Staat, Freiheit" Suhrkamp 143-169, 1991

      13 Böckenförde, Ernst-Wolfgang, "Recht, Staat, Freiheit" Suhrkamp 273-305, 1991

      14 Waszek, Norbert, "Pipers Handbuch der politischen Ideen. Bd. 4. Neuzeit. Von der Französischen Revolution bis zum europäischen Nationalismus" Piper 310-316, 1986

      15 박응격, "Lorenz von Stein의 학문적 생애와 행정사상" 29 (29): 1401-1412, 1995

      16 신율, "Lorenz von Stein의 사상에 관한 연구. Lorenz von Stein의 사회국가이론과 행정철학의 독자성" 29 (29): 1257-1273, 1995

      17 강철구, "Lorenz von Stein의 국가이론과 그 성격" 73 : 85-122, 1977

      18 Stein Lorenz von, "Lorenz von Steins “Bemerkungen über Verfassung und Verwaltung” von 1889: zu den Verfassungsarbeiten in Japan" P. Lang 1992

      19 Brauneder, Wilhelm, "Lorenz von Steins “Bemerkungen über Verfassung und Verwaltung” von 1889: zu den Verfassungsarbeiten in Japan" P. Lang 1992

      20 Blasius, Dirk, "Lorenz von Steins Lehre vom Königtum der sozialen Reform und ihre Verfassungspolitischen Gundlagen" 33 : 33-52, 1971

      21 Schmitt, Carl, "Lorenz von Stein, Zur preußischen Verfassungsfrage" Duncker & Humblot 1940

      22 Blasius, Dirk, "Lorenz von Stein und Preussen" 212 : 339-362, 1971

      23 Bluntschli, Johann Caspar, "Lehre vom modernen Staat. 3. Teil. Politik als Wissenschaft" Elibron Classics 2006

      24 Stein, Lorenz von, "Handbuch der Verwaltungslehre und des Verwaltungsrechts mit Vergleichung der Literatur und Gesetzgebung von Frankreich, England und Deutschland" Siebeck 1870

      25 Schliesky, Utz, "Handbuch der Verwaltungslehre und des Verwaltungsrechts mit Vergleichung der Literatur und Gesetzgebung von Frankreich, England und Deutschland" Siebeck 2010

      26 Stein, Lorenz von, "Geschichte der sozialen Bewegung in Frankreich von 1789 bis auf unsere Tage. 1. Bd" WBG 1959

      27 Karpen, Ulrich, "Die geschichtliche Entwicklung des Liberalen Rechtsstaates. Vom Vormärz bis zum Grundgesetz" Hase & Kohler 1985

      28 Stein, Lorenz von, "Die Verwaltungslehre, 1. Bd. Vollziehende Gewalt" Cotta’schen Buchhandlung 1869

      29 Stahl, Friedrich Julius, "Die Philosophie des Rechts. Bd. 2. Rchts- und Staatslehre auf der Grundlage christlicher Weltanschauung. 2. Abt. Die Staatslehre und die Prinzipien des Staatsrechts" Mohr 1878

      30 Grimm, Dieter, "Deutsche Verfassungsgeschichte 1776-1866. Vom Beginn des modernen Verfassungsstaats bis zur Auflösung des Deutschen Bundes" Suhrkamp 1988

      31 Böckenförde, Ernst-Wolfgang, "Der Staat als sittlicher Staat" Duncker & Humblot 1978

      32 Gneist, Rudolf von, "Der Rechtsstaat und die Verwaltungsgerichte in Deutschland" Springer 1879

      33 Pankoke, Eckart, "Blasius, Dirk, Eckart Pankoke, 1977. Lorenz von Stein" WBG 77-179,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8 0.9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8 1.03 1.653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