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출소자 사회적응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0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출소자의 사회적응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회적응척도를 개발하는 것 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출소자의 사회적응은 이들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개인적 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을 포함하여 다면적으로 측정될 필요가 있다. 이에, 출소자와 의 심층인터뷰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출소자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요인을 분노대응, 회 복탄력성, 가족관계, 낙인인식, 사회적 지지, 자존감으로 구성하고, 이를 측정하는 도구 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문항들을 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타당화가 입증된 척도 를 바탕으로 84개의 예비 1차 문항을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사회적응척도는 54문항 12개의 하위요인(부정적 분 노대응, 긍정적 분노대응,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 의존성, 믿음, 예측성, 내재낙인, 관계 낙인, 사회적 지지, 자존감)과 6개의 중범주(분노대응, 회복탄력성, 가족관계, 낙인인식, 사회적 지지, 자존감)로 구성하였다. 사회적응척도의 타당화를 검증하기 위해 구성타당 도,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척도의 정책적· 실천적 제언과 후속연구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출소자의 사회적응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회적응척도를 개발하는 것 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출소자의 사회적응은 이들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개인적 요인과 사회·환...

      본 연구는 출소자의 사회적응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 사회적응척도를 개발하는 것 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출소자의 사회적응은 이들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개인적 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을 포함하여 다면적으로 측정될 필요가 있다. 이에, 출소자와 의 심층인터뷰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출소자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요인을 분노대응, 회 복탄력성, 가족관계, 낙인인식, 사회적 지지, 자존감으로 구성하고, 이를 측정하는 도구 를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문항들을 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타당화가 입증된 척도 를 바탕으로 84개의 예비 1차 문항을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사회적응척도는 54문항 12개의 하위요인(부정적 분 노대응, 긍정적 분노대응,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 의존성, 믿음, 예측성, 내재낙인, 관계 낙인, 사회적 지지, 자존감)과 6개의 중범주(분노대응, 회복탄력성, 가족관계, 낙인인식, 사회적 지지, 자존감)로 구성하였다. 사회적응척도의 타당화를 검증하기 위해 구성타당 도,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척도의 정책적· 실천적 제언과 후속연구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social adjustment scale to measure social adjustment level of released convicts. Social adjustment of released convicts needs to be measured in multi-dimensions including personal factors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consideration of their special circumsta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and prior studies, we try to configure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adjustment of released convicts which are anger response, resilience, family relationship, self-stigma,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order to construct the social adjustment scale. To construct the scale, 84 preliminary primary items are selected based on the validated scales in the previous study.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 that the final social adjustment scale consists of 54 sub-factors(negative anger response, positive anger response, control, positivity, sociality, dependency, faith, predictability, inherent stigma, related stigma,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nd 6 high-factors(anger response, resilience, family support, stigma perceptio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are verified for the scale’s validation. Finally, this study gives the practical suggestions by utilizing the scale and the proposal for follow-up studies and limit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social adjustment scale to measure social adjustment level of released convicts. Social adjustment of released convicts needs to be measured in multi-dimensions including personal factors and soc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social adjustment scale to measure social adjustment level of released convicts. Social adjustment of released convicts needs to be measured in multi-dimensions including personal factors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consideration of their special circumsta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and prior studies, we try to configure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adjustment of released convicts which are anger response, resilience, family relationship, self-stigma,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order to construct the social adjustment scale. To construct the scale, 84 preliminary primary items are selected based on the validated scales in the previous study.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 that the final social adjustment scale consists of 54 sub-factors(negative anger response, positive anger response, control, positivity, sociality, dependency, faith, predictability, inherent stigma, related stigma,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nd 6 high-factors(anger response, resilience, family support, stigma perceptio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are verified for the scale’s validation. Finally, this study gives the practical suggestions by utilizing the scale and the proposal for follow-up studies and limit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문제 및 방법
      • Ⅳ. 연구결과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문제 및 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우열,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박달현, "행형의 목적으로서 재사회화이념에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학회 19 (19): 253-276, 2007

      3 최관, "출소자의 취업경험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낙인, 차별, 편견, 인권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정포럼 9 (9): 145-174, 2015

      4 장완영, "출소자의 지역사회적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5 이신영, "출소자의 재범방지를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갱생보호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38 : 139-161, 2008

      6 이인곤, "출소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법무(보호)복지사업에 관한 고찰 -출소자 가족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57) : 137-160, 2015

      7 현문정, "출소자의 가족믿음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존감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범죄학회 13 (13): 5-26, 2019

      8 이동훈, "출소자의 가정복원 과정에 관한 교정전문가의 인식"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 (20): 449-480, 2015

      9 배임호,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갱생보호사업의 실태와 발전방향" 한국교정학회 60 : 113-134, 2013

      10 오봉욱, "지역사회 통합과 범죄피해 두려움: 사회통합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47) : 47-69, 2017

      1 신우열,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박달현, "행형의 목적으로서 재사회화이념에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학회 19 (19): 253-276, 2007

      3 최관, "출소자의 취업경험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낙인, 차별, 편견, 인권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정포럼 9 (9): 145-174, 2015

      4 장완영, "출소자의 지역사회적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5 이신영, "출소자의 재범방지를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갱생보호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교정학회 38 : 139-161, 2008

      6 이인곤, "출소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법무(보호)복지사업에 관한 고찰 -출소자 가족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법학회 (57) : 137-160, 2015

      7 현문정, "출소자의 가족믿음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존감의 매개효과 검증" 대한범죄학회 13 (13): 5-26, 2019

      8 이동훈, "출소자의 가정복원 과정에 관한 교정전문가의 인식"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 (20): 449-480, 2015

      9 배임호, "출소자 재범방지를 위한 갱생보호사업의 실태와 발전방향" 한국교정학회 60 : 113-134, 2013

      10 오봉욱, "지역사회 통합과 범죄피해 두려움: 사회통합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정복지학회 (47) : 47-69, 2017

      11 장희숙, "재범요인과 범죄유형별 특성: 직업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남성 교도소 수형자 대상" 한국교정학회 39 : 163-190, 2008

      12 김정현, "재범방지 전략으로서 가족관계회복의 필요성 : 회복탄력성과 공격성의 이중매개모형"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9 (29): 117-148, 2018

      13 최영신, "우리나라 수형자 사회복귀과정의 단계와 지원 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997-1018, 2009

      14 김인숙, "여성출소자들의 재사회화에 관한 연구" 2002

      15 윤정일, "신 교육의 이해" 학지사 2002

      16 임봉기, "수용자의 출소 후 사회복귀경험에 관한 연구 :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17 정영승, "수용자의 재범방지에 관한 연구 : 사회복귀제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18 오재돌, "수용자 직업훈련과 출소자 취업연계에 관한 소고" 아시아교정포럼 4 (4): 23-34, 2010

      19 최옥채, "상습범죄인의 출소 후 삶에 관한 질적 연구-교정자원봉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정학회 22 : 2004

      20 통계청, "사회 조사 보고서" 2018

      21 고경봉, "분노대응 척도의 개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4 (44): 477-488, 2005

      22 최경하, "보호대상자의 심리건강척도 개발" 한국교정복지학회 (49) : 195-230, 2017

      23 김학성,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의 지역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3

      24 박지선, "범죄자의 동종 전과 유무에 따른 강도 범죄의 특성" 한국교정학회 27 (27): 113-133, 2017

      25 법무부, "범죄백서" 법무연수원 2019

      26 박성수, "마약류 수용자의 처우 프로그램" 505-520, 2009

      27 한수연, "남성 수형자와 일반인의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한국건강심리학회 18 (18): 763-781, 2013

      28 공정식, "낙인에 대한 출소자의 인식이 대인관계에서 신뢰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57) : 57-84, 2018

      29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30 교정본부, "교정시설수용현황 통계자료"

      31 공정식, "공단 합동결혼지원 대상자 가족들의 현황 및 실태조사"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8

      32 이동훈, "공단 심리상담 및 가족희망사업에 대한 사업평가"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7

      33 이자희, "갱생보호대상자의 재사회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34 홍봉선, "出所者 福祉增進과 更生保護事業의 活性化 方案" 한국교정학회 14 : 143-174, 2002

      35 Rempel, J. K., "Trust in close relationships" 49 (49): 95-108, 1985

      36 Funkenstein, D. H., "The direction of anger during a laboratory stress-inducing situation" 16 (16): 404-417, 1954

      37 Luthar S. S.,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71 : 543-562, 2000

      38 Averill, J. R., "Studies on anger and aggression: implications for theories of emotion" 38 (38): 1145-1205, 1983

      39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40 Reisig, M. D., "Social capital among women offenders" 18 (18): 167-187, 2002

      41 Garmezy, 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sychopat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7-534, 1990

      42 Berg, M. T., "Reentry and the ties that bind: An examination of social ties, employment, and recidivism" 28 (28): 382-410, 2011

      43 Phillips, S. K., "Offenders’ Perceptions of Stigma: Importance and Measurement" Drexel University 2016

      44 Spielberger, C. D., "Measuring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18 (18): 207-232, 1995

      45 Shaw, C. R., "Juvenile Delinquency and Urban Area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2

      46 Clear, T. R., "Incarceration and the community: The problem of removing and returning offenders" 47 (47): 335-351, 2001

      47 Rettinger, L. J., "General risk and need, gender specificity, and the recidivism of female offenders" 37 (37): 29-46, 2010

      48 Hu, L. T.,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6 (6): 1-55, 1999

      49 배병렬, "Amos 24 구조방정식모델링" 청람 2017

      50 DeWall, C. N., "Alone and without purpose: Life loses meaning following social exclusion" 45 (45): 686-694, 2009

      51 Berkowitz, L., "Aggression: A social psychological analysis" 1962

      52 Tucker, L. R.,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38 (38): 1-10, 1973

      53 McNeill, F., "A desistance paradigm for offender management" 6 (6): 39-62, 2006

      54 이광자, "21세기의 사회학" 학지사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KCI등재후보
      2009-03-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0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