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웅, "현대국가정보학" 박영사 2015
2 합동참모본부, "합동정보"
3 합동참모본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 합동참모본부 1998
4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5 유성룡, "징비록" 형설출판사 2013
6 허지은, "조선후기 왜관에서의 倭學譯官의 정보수집" 일본사학회 (36) : 63-96, 2012
7 오종록, "조선후기 양계의 군사제도와 국방" 국학자료원 2014
8 민현구, "조선초기의 군사제도와 정치"
9 김구진, "조선전기 대 여진관계와 여진사회의 실태" (13) : 41-49, 1983
10 김종수, "조선의 왕권과 숙종초기 도체찰사부"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8) : 161-202, 2016
1 전웅, "현대국가정보학" 박영사 2015
2 합동참모본부, "합동정보"
3 합동참모본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 합동참모본부 1998
4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5 유성룡, "징비록" 형설출판사 2013
6 허지은, "조선후기 왜관에서의 倭學譯官의 정보수집" 일본사학회 (36) : 63-96, 2012
7 오종록, "조선후기 양계의 군사제도와 국방" 국학자료원 2014
8 민현구, "조선초기의 군사제도와 정치"
9 김구진, "조선전기 대 여진관계와 여진사회의 실태" (13) : 41-49, 1983
10 김종수, "조선의 왕권과 숙종초기 도체찰사부"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8) : 161-202, 2016
11 "조선왕조실록"
12 신한식, "조선 후기 군사제도에 관한 연구-갑오개혁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1988
13 이규철, "조선 초기(태조대~세종대)의 대외정보 수집활동"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14 이경식, "전투력 요소로 본 이순신의 전투준비태세와 초기전투 승리요인"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8) : 105-160, 2016
15 양우천, "전쟁과 정보활동"
16 이순신, "임진일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9
17 윤경하, "임진왜란 직전 조선의 전쟁정보에 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1
18 김기선, "오랑캐(兀良哈)의 어원과 민속학적 고찰" (11) : 217-232, 2001
19 강재철, "오랑캐(兀良哈)語源說話 硏究" 비교민속학회 22 : 2002
20 안명로, "연기신편"
21 한우근, "역주 경국대전 주석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22 한우근, "역주 경국대전 번역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23 한효순, "신기비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1
24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승정원일기"
25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비변사등록"
26 이상정, "병학지남연의(Ⅲ)" 국방부 군사연구소 1997
27 세조어제, "병장설·진법"
28 장황, "백전기법"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5
29 정약용, "민보의·민보집설"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9
30 한국법제연구원, "대전회통 연구-병전편"
31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대명률직해"
32 서정순, "군사정보 누설의 문제점과 보호방안" 한국국가정보학회 13 (13): 73-120, 2020
33 국방부 군사연구소, "국토개척사"
34 최평길, "국가정보학" 박영사 2012
35 한명기, "광해군" 역사비평사 2000
36 정신남, "明淸時代 朝鮮의 중국정보 수집-‘新聞類 소식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18
37 한보람, "1880년대 조선정부의 개화정책을 위한 국제정보수집 - 漢城旬報의 관련기사 분석 -" 진단학회 (100) : 109-164,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