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일본 공공철학 담론의 의의 - 김태창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13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2천년대 초입을 전후로 하여 일본에 일기 시작한 공공철학 붐의 문화론적 의의를 고찰하는 글이다. 이때 본고는 특히 998년 4월 사사키 다케시(佐々木毅) 전 동경 대총장 및 주식회사 ...

      본고는 2천년대 초입을 전후로 하여 일본에 일기 시작한 공공철학 붐의 문화론적 의의를 고찰하는 글이다. 이때 본고는 특히 998년 4월 사사키 다케시(佐々木毅) 전 동경 대총장 및 주식회사 펠리시모의 대표 야자키 카츠히코(矢崎勝彦)와 함께 <공공철학 교 토포럼>을 창시하여 현재까지 일본 국내외의 2천여 명이 넘는 일급 전문학자들을 끌어 들여 공공철학 붐을 불러일으킨 김태창이라는 인물에 주목하고자 한다. 그는 <교토포럼>을 통해 지금까지 사상사뿐만 아니라, 시민사회, 국가, 경제, 중간집단, 과학기술, 지 구환경, 자치, 법률, 도시, 리더십론, 종교, 지식인, 조직, 경영, 건강, 의료, 세대간 관계, 자기론, 매스미디어, 언어, 교육, 비교사상, 각 나라별 공사문제, 고도정보화사회, 세대계 승 문제, 성차 문제 등 모든 분야에 걸쳐 동아시아발 공공철학과 관련하여 학제간 토론 을 주도해 오면서, 그 세 가지 이념형적 목표로 활사개공(活私開公), 공사공매(公私共 媒), 행복공창(幸福共創)을 주창하고 있다. 본고는 이와 같은 김태창의 공공철학 담론에 대해 일본문화론으로서의 공공철학, 한류로서의 공공철학, 동아시아 담론으로서의 공공 철학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면서 궁극적으로 그것이 “무한의 저쪽에서 일치하는 평행선의 사유”를 지향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al meaning of Public Philosophy in contemporary Japan. In so doing, I will pay special attention to Kim Taechang, who has been leading the various discourses on Public Philosophy since inauguration of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ltural meaning of Public Philosophy in contemporary Japan. In so doing, I will pay special attention to Kim Taechang, who has been leading the various discourses on Public Philosophy since inauguration of “Kyoto Forum” with Sasaki Takeshi, ex-president of Tokyo University in 1998. Kim Taechang maintains “empowering public minds and actions of peoples by animating each individual”(活私開公), “bridging public and private”(公私共媒), and “making happiness together”(幸福共創) as the three ideals of East-Asian Public Philosophy. As a result, this paper will analyze Kim Taechang's discourses on Public Philosophy from the standpoints of “Nihonjinron”, “Korean Wave”, and “East-Asia”, noticing the so-called “thought of parallel” which may seek for the ultimate harmony among the opposit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들어가는 말 : 김태창은 누구인가
      • Ⅰ. <공공철학 교토포럼> : 왜 일본인가?
      • Ⅱ. 김태창의 공공철학 비전
      • Ⅲ. 공공철학 담론의 일본적 의의
      • 들어가는 말 : 김태창은 누구인가
      • Ⅰ. <공공철학 교토포럼> : 왜 일본인가?
      • Ⅱ. 김태창의 공공철학 비전
      • Ⅲ. 공공철학 담론의 일본적 의의
      • 1. 영성적 지식인으로서의 김태창 : 스피리추얼리티 담론
      • 2. 일본 담론 : 부정적 일본문화론의 전략적 복권
      • 3. 한국 담론 : 한류로서의 공공철학
      • 4. 동아시아 담론으로서의 공공철학
      • 나오는 말 : 무한한 평행선 너머
      • <참고문헌>
      • <국문요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구라 키조, "金泰昌과 동아시아의 미래" 32 : 2013

      2 김태창, "한국에서 공공하는 철학을 함께 이야기하다" 31 : 2013

      3 시마조노 스스무, "포스트모던의 신종교" 한국가족복지연구소 2010

      4 정인재, "제86회 공공철학 교토포럼 ‘실심실학’" (창간) : 2011

      5 이나가키 히사카즈, "일본에 있어서의 공공철학" 8 : 2007

      6 아오키 다모쓰, "일본문화론의 변용" 소화 2000

      7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1996

      8 김태창, "실천적 공공지(公共知=良識)를 지향하여: 동아시아로부터 시동하는 공공철학으로의 전환시도" 29 : 2013

      9 정지욱, "실심실학" 동방의 빛 2010

      10 박규태, "스사노오 신화해석의 문제: 한반도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종교문제연구소 (19) : 29-64, 2010

      1 오구라 키조, "金泰昌과 동아시아의 미래" 32 : 2013

      2 김태창, "한국에서 공공하는 철학을 함께 이야기하다" 31 : 2013

      3 시마조노 스스무, "포스트모던의 신종교" 한국가족복지연구소 2010

      4 정인재, "제86회 공공철학 교토포럼 ‘실심실학’" (창간) : 2011

      5 이나가키 히사카즈, "일본에 있어서의 공공철학" 8 : 2007

      6 아오키 다모쓰, "일본문화론의 변용" 소화 2000

      7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한길사 1996

      8 김태창, "실천적 공공지(公共知=良識)를 지향하여: 동아시아로부터 시동하는 공공철학으로의 전환시도" 29 : 2013

      9 정지욱, "실심실학" 동방의 빛 2010

      10 박규태, "스사노오 신화해석의 문제: 한반도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종교문제연구소 (19) : 29-64, 2010

      11 카타오카 류, "새로운 출발을 위하여" 36 : 2013

      12 김태창, "상생과 화해의 공공철학: 중국과의 對話共働開新" 도서출판 동방의빛 2010

      13 김봉진, "동아시아에서의 생명공동태와 공공하는 철학" 35 : 2013

      14 김봉진, "김태창의 공공하는 철학과 일본" 36 : 2013

      15 야마모토 쿄시, "김태창을 이야기함으로써 오늘의 일본을 본다: 동아시아가 열어가는 공공세계" 33 : 2013

      16 모리오카 마사요시, "김태창 선생을 이야기하다: 타자와의 사이(間)를 연 사람" 36 : 2013

      17 김태창, "기타가와 사키코 교수의 서거를 애도함" 34 : 2013

      18 박규태, "교토와 도래인: 하타씨(秦氏)와 신사(神社)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소 (45) : 247-292, 2009

      19 김태창, "공공하는 철학을 통해서 한살림운동의 뜻을 생각한다" 32 : 2013

      20 김태창, "공공하는 철학으로서의 한사상: 원효 최제우 김범부를 생각한다" 위덕대아시아 태평양연구소 10 : 2011

      21 오가와 하루히사, "공공하는 철학과 실심실학" 35 : 2013

      22 김태창, "공공하는 철학과 사회관계자본" 30 : 2013

      23 김태창, "공공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문화연구소 2007

      24 성현창, "공공철학이란 무엇인가" 이학사 2011

      25 김봉진, "공공철학의 지평" 철학문화연구소 74 : 2007

      26 정인재, "공공철학은 일본과 중국,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 철학문화연구소 74 : 2007

      27 최재목, "공공철학과의 인연과 소회" 36 : 2013

      28 이명한, "공공철학과 공공철학 보급에 대한 반성적 고찰" 한국양명학회 (28) : 389-421, 2011

      29 "공공철학 교토포럼>홈페이지"

      30 박규태, "고대 오사카의 백제계 신사와 사원연구" 종교문화비평학회 20 (20): 183-220, 2011

      31 박규태, "고대 교토의 한반도계 신사와 사원 연구 ─잊혀진 한류의 원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3 : 151-192, 2010

      32 김태창, "韓사상·韓철학과 공공윤리(학·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26) : 167-190, 2011

      33 今田高俊, "都市から考える公共性" 東京大學出版會 2004

      34 島薗進, "精神世界のゆくえ:現代世界と新靈性運動" 東京堂出版 1996

      35 金泰昌, "欧米における公と私" 東京大學出版會 2002

      36 佐々木毅金泰昌編, "日本における公と私" 東京大學出版會 2002

      37 金泰昌, "國家と人間と公共性" 東京大學出版會 2002

      38 山脇直司, "公共哲學とは何か" 千葉大學 1 (1): 2004

      39 金泰昌, "公と私の社會科學" 東京大學出版會 2001

      40 金泰昌, "公と私の思想史" 東京大學出版會 2001

      41 島薗進, "スピリチュアリティの興隆: 新靈性文化とその周邊" 岩波書店 2007

      42 김태창, "‘한’과 ‘야마토’: 그 사이의 상극 상반 상척에서 상화 상생 상복으로" 17 : 2012

      43 김태창, "‘포스트 경제국가’를 지향하는 구조개혁을 새로운 공공성의 시점에서 생각한다" 23 : 2012

      44 카타오카 류, "‘제재기복’의 공공철학에 참여하여" 17 : 2012

      45 박규태, "‘일본교’와 ‘스피리추얼리티’: 현대일본인의 ‘정신’세계를 종교의 저울에 담아본다"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5 : 2011

      46 김태창, "‘生命’과 ‘立志’를 주축으로 경영을 다시 생각한다(Ⅱ)" 23 : 2012

      47 김태창, "‘生命’과 ‘立志’를 주축으로 경영을 다시 생각한다" (22) : 2012

      48 야규 마코토, "‘公共哲學’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試論 -중앙대학 이명한 교수의 비판적 견해에 대한 반론을 포함해서" 한국윤리교육학회 (25) : 31-48, 2011

      49 "<공공철학 네트워크>홈페이지"

      50 山脇直司, "21世紀公共哲學の地平" 東京大學出版會 2002

      51 山脇直司, "21世紀公共哲學の地平" 東京大學出版會 2002

      52 김태창, "(일본에서 일본인들에게 들려준 한삶과 한마음과 한얼의) 공공철학 이야기"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2

      53 야규 마코토, "(일본에서 일본인들에게 들려준 한삶과 한마음과 한얼의) 공공철학 이야기" 모시는사람들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9 0.4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