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자치제 출범 전후의 투자적 지출의지역총생산과의 연관관계와 산출효과 비교분석-광역자치단체 간의 비교- = A Comparative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Investment Expenditure and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and Output Effects of Investment Expenditure Before and After Launching of Local Autonomy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7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parative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investmentalexpenditure of local finance and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and output effects ofinvestmental expenditure for six metropolitan cities and nine provinces in Korea from1985 to 201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cal finance is influenced rather more bypolitical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after the reestablishment of the localautonomy system. Concerning long-run output effects of gross regional domesticproduct of investment expenditure, both regions overall had a significant deviation byregion and expenditure item, whereas output effects of education/culture/tourism,industries/SMEs(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transportation /national land/regionaldevelopment sectors dropped much in metropolitan cities but relatively small decreasedor rose in provinces. It demonstrated that economic power balance between bothregions has been controlled more evenly with the decreased deviation of productivity inpublic investment expenditure between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parative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investmentalexpenditure of local finance and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and output effects ofinvestmental expenditure for six metropolitan cities and nine provinces in Korea ...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mparative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investmentalexpenditure of local finance and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and output effects ofinvestmental expenditure for six metropolitan cities and nine provinces in Korea from1985 to 2011.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cal finance is influenced rather more bypolitical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after the reestablishment of the localautonomy system. Concerning long-run output effects of gross regional domesticproduct of investment expenditure, both regions overall had a significant deviation byregion and expenditure item, whereas output effects of education/culture/tourism,industries/SMEs(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transportation /national land/regionaldevelopment sectors dropped much in metropolitan cities but relatively small decreasedor rose in provinces. It demonstrated that economic power balance between bothregions has been controlled more evenly with the decreased deviation of productivity inpublic investment expenditure between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85~2011년간의 기간 중에 한국의 광역시와 도를 대상으로 하여, 지방자치제 재출범 전후의 지역재정의 투자적 지출의 지역총생산에 대한 연관관계와 산출효과를 비교분석해 본 것이다. 지방자치제 출범 후 지방재정은 중앙정부재원 의존도가 커지는 가운데 투자적 지출과 지역총생산의 관계는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되었다. 투자적 지출의 산출효과는 다 같이 감소한 농림수산비를 제외하면, 광역시에서는 많이 감소, 도에서는 그보다 약간 작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앙정부의 이전재원이 출범 전에 비해 비교적 형평성 있게 배분되면서, 도에서의 투자효율이 높아진 반면, 광역시에서의 투자적 지출은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음을 보여 준다. 전체적으로는 지방자치제 출범 후 투자적 지출의 산출효과는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지방자치제 재출범 후 광역시와 도의 지역간 경제적 불균등이 다소간 해소된 반면, 투자적 지출의 산출 효율성이 감소된 것에 대해서는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본고는 1985~2011년간의 기간 중에 한국의 광역시와 도를 대상으로 하여, 지방자치제 재출범 전후의 지역재정의 투자적 지출의 지역총생산에 대한 연관관계와 산출효과를 비교분석해 본 것이...

      본고는 1985~2011년간의 기간 중에 한국의 광역시와 도를 대상으로 하여, 지방자치제 재출범 전후의 지역재정의 투자적 지출의 지역총생산에 대한 연관관계와 산출효과를 비교분석해 본 것이다. 지방자치제 출범 후 지방재정은 중앙정부재원 의존도가 커지는 가운데 투자적 지출과 지역총생산의 관계는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되었다. 투자적 지출의 산출효과는 다 같이 감소한 농림수산비를 제외하면, 광역시에서는 많이 감소, 도에서는 그보다 약간 작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앙정부의 이전재원이 출범 전에 비해 비교적 형평성 있게 배분되면서, 도에서의 투자효율이 높아진 반면, 광역시에서의 투자적 지출은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었음을 보여 준다. 전체적으로는 지방자치제 출범 후 투자적 지출의 산출효과는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지방자치제 재출범 후 광역시와 도의 지역간 경제적 불균등이 다소간 해소된 반면, 투자적 지출의 산출 효율성이 감소된 것에 대해서는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병기, "지역경제의 성장과 지방재정의 효율성 관점에서 평가한 지방 투자적 지출 분석" 한국지방재정학회 12 (12): 1-32, 2007

      2 임상수, "지방정부지출의 문제점 및 개선과제 -지출의 4대 불균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세연구원 2011

      3 류춘호, "지방정부의 재정구조와 재정위험에 관한 연구" 2011

      4 정용석, "지방재정의 투자적 지출과 지역총생산 간의 연관성: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1-24, 2013

      5 행정자치부, "지방재정연감"

      6 조동근, "지방재정 지출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원도 18개 시·군을 중심으로" 7 (7): 147-171, 2005

      7 박기백, "지방자치단체의 세입 및 재정지출에 관한 연구-지방정부 재정운용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조세연구원 2005

      8 김성순, "지방 재정과 지역 경제성장과의 관계 분석" 한국재정학회 6 (6): 27-56, 2013

      9 김성순, "정부지출의 부문별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재정학회 8 : 1993

      10 윤석완, "정부보조금의 생산효율성과 배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재정학회 12 (12): 29-57, 2007

      1 오병기, "지역경제의 성장과 지방재정의 효율성 관점에서 평가한 지방 투자적 지출 분석" 한국지방재정학회 12 (12): 1-32, 2007

      2 임상수, "지방정부지출의 문제점 및 개선과제 -지출의 4대 불균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세연구원 2011

      3 류춘호, "지방정부의 재정구조와 재정위험에 관한 연구" 2011

      4 정용석, "지방재정의 투자적 지출과 지역총생산 간의 연관성: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1-24, 2013

      5 행정자치부, "지방재정연감"

      6 조동근, "지방재정 지출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원도 18개 시·군을 중심으로" 7 (7): 147-171, 2005

      7 박기백, "지방자치단체의 세입 및 재정지출에 관한 연구-지방정부 재정운용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조세연구원 2005

      8 김성순, "지방 재정과 지역 경제성장과의 관계 분석" 한국재정학회 6 (6): 27-56, 2013

      9 김성순, "정부지출의 부문별 경제적 효과 분석" 한국재정학회 8 : 1993

      10 윤석완, "정부보조금의 생산효율성과 배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재정학회 12 (12): 29-57, 2007

      11 김용선, "재정지출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 6 (6): 2000

      12 고영선, "재정지출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2004

      13 이지순, "재정지출과 경제성장에 관한 실증적 연구" 30 (30): 1991

      14 조동근, "재정지출 확대는 장기적으로 성장잠재력을 잠식한다" 자유기업원 2009

      15 조경엽, "재정지출 분석과 개선방향" 한국경제연구원 2008

      16 김성순, "재정정책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VAR Approach-" 한국재정정책학회 11 (11): 255-280, 2009

      17 김성태, "우리나라 지역경제성장과 지방재정" 한국지방세연구원 2012

      18 김종구, "우리나라 지방자치제하 지방재정지출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친 영향" 국제지역학회 12 (12): 143-164, 2008

      19 오병기, "동태적 패널 분석을 이용한 광역자치단체 투자적 지출의 지역경제 성과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6 (26): 137-160, 2012

      20 김태영, "도시재정지출의 효과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74-75, 2000

      21 최천운, "대형국책사업을 통한 건설투자의 경기부양효과 분석" 서울연구원 13 (13): 45-60, 2012

      22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3 이지순, "공공지출과 경제활동" 서울대경제연구소 27 (27): 535-594, 1988

      24 황규선, "경제성장과 지역경제력 불평등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쿠즈네츠 가설의 검정" 통계청 8 (8): 91-110, 2003

      25 近藤春生, "公的支出の地域経済への効果" 財務省財務総合政策研究所 10 (10): 2010

      26 財務省, "公共投資の雇用・民間投資誘発効果のパネルVAR分析. 公共投資の将来規模に 関する研究会 報告書" 財務省 建設物価調査会総合研究所 2010

      27 林正義, "公共投資の地域経済効果―VARを用いた地域間相互作用に係わる実証分析, In 我が国の財政の現状と課題に関する総合評価" 2004

      28 Pedroni. P., "Panel cointegration: asymptotic and finite sample properties of pooled time series tests with an application to the PPP hypothesis" 20 : 597-625, 2004

      29 Oates, Wallace E., "On the Evolution of Fiscal Federalism : Theory and Institutions" 61 : 313-334, 2008

      30 Ihori. T., "Japan’s Fiscal Policies in the 1990s" 26 : 325-338, 2003

      31 Ramaswamy. R, "Japan's Stagnant Nineties: A Vector Autoregression Retrospective" 47 (47): 259-277, 2000

      32 Arpaia, A., "Government expenditure and economic growth in the EU:long-run tendencies and short-term adjustment" (300) : 2008

      33 김종희, "GRDP(지역내 총생산) 추정을 통한 지역 간 경제력 격차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207-235, 2010

      34 Futagami.K, "Dynamic Analysis of an endigenous Growth Model with Public Capital" 95 (95): 607-625, 1993

      35 Pedroni. P., "Critical values for cointegration tests in heterogeneous panels with multiple regressors" (Special) : 653-670, 1999

      36 Pesaran. M. H., "Bounds Testing Approaches to the Analysis of Level Relationships" 16 (16): 289-326,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7 1.024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