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겸재 정선(1676~1759)과 그의 진경산수화, 어떻게 볼 것인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3105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examines various issues in understanding the life and art of Jeong Seon who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re are many articles and books exploring who he was and what he did. Ch’oe Wan-Su has argued that Jeong Seon was a literati painter although it is recorded that he worked at the Bureau of Painting and created paintings for commercial purposes. Ch’oe has further argued that Jeong should be revered as a sage-painter, the most eminent painter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Jeong was born into a poor, undistinguished yangban family. Extreme poverty in his youth led him to pursue his career as a painter. That he worked at the Bureau of Painting and he painted commercially-motivated landscapes for patrons and clients indicates that Jeong was not a literati painter. Ch’oe and other scholars have argued that Jeong was influenced by the idea that Joseon Korea was the true inheritor of Chinese civilization after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They, however, have offered no clear evidence for proving this assertation. They have also claimed that the age of Jeong Seon should be properly called that of “true-view scenery.” This periodization is extremely subjective and even arbitrary. Careful examination of Jeong’s life and social status and his paintings will play a key role in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his artistic achievement.
      번역하기

      This essay examines various issues in understanding the life and art of Jeong Seon who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re are many articles and books exploring who he was and what h...

      This essay examines various issues in understanding the life and art of Jeong Seon who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re are many articles and books exploring who he was and what he did. Ch’oe Wan-Su has argued that Jeong Seon was a literati painter although it is recorded that he worked at the Bureau of Painting and created paintings for commercial purposes. Ch’oe has further argued that Jeong should be revered as a sage-painter, the most eminent painter in the history of Korean painting. Jeong was born into a poor, undistinguished yangban family. Extreme poverty in his youth led him to pursue his career as a painter. That he worked at the Bureau of Painting and he painted commercially-motivated landscapes for patrons and clients indicates that Jeong was not a literati painter. Ch’oe and other scholars have argued that Jeong was influenced by the idea that Joseon Korea was the true inheritor of Chinese civilization after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They, however, have offered no clear evidence for proving this assertation. They have also claimed that the age of Jeong Seon should be properly called that of “true-view scenery.” This periodization is extremely subjective and even arbitrary. Careful examination of Jeong’s life and social status and his paintings will play a key role in enhancing our understanding of his artistic achiev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정선의 신분
      • Ⅲ. 정선 진경산수화의 연원
      • Ⅳ. 진경시대론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정선의 신분
      • Ⅲ. 정선 진경산수화의 연원
      • Ⅳ. 진경시대론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중희, "한・중・일의 초기 서양화 도입 비교론" 얼과알 2003

      2 안휘준, "한국회화사" 일지사 1980

      3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4 최강현, "한국기행문학연구" 일지사 1982

      5 안휘준, "한국 회화사 연구" 시공사 2000

      6 안휘준, "한국 풍속화의 발달, In 한국 그림의 전통" 사회평론 2012

      7 안휘준, "한국 남종산수화의 변천, In 한국 그림의 전통" 사회평론 2012

      8 이태호, "풍속화 2" 대원사 1996

      9 이태호, "풍속화 1" 대원사 1995

      10 변영섭, "표암 강세황 회화 연구" 일지사 1988

      1 이중희, "한・중・일의 초기 서양화 도입 비교론" 얼과알 2003

      2 안휘준, "한국회화사" 일지사 1980

      3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4 최강현, "한국기행문학연구" 일지사 1982

      5 안휘준, "한국 회화사 연구" 시공사 2000

      6 안휘준, "한국 풍속화의 발달, In 한국 그림의 전통" 사회평론 2012

      7 안휘준, "한국 남종산수화의 변천, In 한국 그림의 전통" 사회평론 2012

      8 이태호, "풍속화 2" 대원사 1996

      9 이태호, "풍속화 1" 대원사 1995

      10 변영섭, "표암 강세황 회화 연구" 일지사 1988

      11 안휘준, "청출어람의 한국미술" 사회평론 2010

      12 변영섭, "진경산수화의 대가 鄭敾" 한국미술연구소 5 : 1997

      13 홍선표, "진경산수화 연구시각의 비판적 검토―진경산수는 조선중화주의의 산물인가, In 가나아트 34"

      14 유홍준, "조영석의 『관아재고』: 한 사대부 화가의 진보적 회화관, In 가나아트 23" 가나아트갤러리 1997

      15 한정희, "조선후기 회화에 미친 중국의 영향, In 한국과 중국의 회화" 학고재 1999

      16 강관식, "조선후기 지식인의 회화 경험과 인식: 『이재난고』를 통해 본 황윤석의 회화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In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17 고연희,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연구 - 鄭敾과 農淵 그룹을 중심으로 -" 일지사 2001

      18 최완수, "조선왕조의 문화절정기, 진경시대, In 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1" 돌베개 1998

      19 안휘준, "조선시대의 화원, In 한국 회화사 연구" 시공사 2000

      20 이성미, "조선시대 그림속의 서양화법" 대원사 2000

      21 홍선표, "정선의 작가적 생애, In 겸재 정선" 겸재정선기념관 2009

      22 이경화, "정선의 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楓嶽圖帖)―1711년 금강산 여행과 진경산수화풍의 형성―" 겸재정선기념관 2012

      23 장진성,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및 작화방식" 동악미술사학회 (11) : 221-236, 2010

      24 민길홍, "정선의 고사인물화, In 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1" 사회평론 2006

      25 장진성, "정선과 수응화(酬應畵), In 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1" 사회평론 2006

      26 안휘준, "이녕과 고려의 회화, In 한국회화사연구" 시공사 2000

      27 안휘준, "옛 궁궐 그림" 대원사 1997

      28 소재영, "여행과 체험의 문학" 민족문화문고 간행회 1987

      29 정병모, "솔거와 그 시대"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5 : 2002

      30 이성미, "서평: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전 2권 최완수 외 돌베개, 1998" 한국미술사학회 227 : 2000

      31 허영환, "서울의 古地圖" 삼성출판사 1989

      32 박은순, "사의(寫意)와 진경(眞境)의 경계를 넘어서: 謙齋 鄭敾 新考, In 겸재 정선" 겸재정선기념관 2009

      33 이태호, "문인화가들의 기행사경, In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학고재 1996

      34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 일지사 1999

      35 박은순, "금강산도 연구" 일지사 1997

      36 안휘준, "관아재고의 회화사적 의의, In 觀我齋稿"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4

      37 겸재정선기념관, "겸재정선"

      38 이원복, "겸재 정선의 화훼영모도: 화훼영모에 있어 그의 위상과 화경(畵境)" 겸재정선기념관 2011

      39 박은순,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서양화법" 겸재정선기념관 2012

      40 박은순, "겸재 정선 연구의 쟁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월간미술 297 : 2009

      41 최완수, "겸재 정선 1" 현암사 2009

      42 안휘준, "개정신판 안견과 몽유도원도" 사회평론 2009

      43 안휘준, "風俗畵" 중앙일보사 1996

      44 이찬, "韓國의 古地圖" 汎友社 1991

      45 홍선표, "鄭敾의 '倣古參今' - 조선후기 倣古산수화와 實景산수화의 相補性" 한국미술사학회 257 (257): 187-203, 2008

      46 김원용, "鄭敾/山水畵風의 眞髓, In 韓國의 人間像 5" 新丘文化社 1965

      47 姜世晃, "豹菴遺稿"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48 최완수, "謙齋眞景山水畵考"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9 : 1985

      49 이동주, "謙齋一派의 眞景山水, In 月刊 亞細亞 4월호" 월간아세아사 1969

      50 강관식, "謙齋 鄭敾의 天文學 兼敎授 出仕와 <金剛全圖>의 天文易學的 解釋" 미술사학연구회 (27) : 137-194, 2006

      51 강관식, "謙齋 鄭敾의 仕宦 經歷과 哀歡" 미술사학연구회 (29) : 137-194, 2007

      52 최완수, "謙齋 鄭敾, In 謙齋 鄭敾" 국립중앙박물관 1992

      53 안휘준, "謙齋 鄭敾(1676 -1759)의 瀟湘八景圖" 한국미술연구소 (20) : 7-48, 2005

      54 최완수, "謙齋 鄭敾 眞景山水" 汎友社 1993

      55 최순우, "謙齋 鄭敾" 1 : 1971

      56 국립중앙박물관, "謙齋 鄭敾"

      57 趙榮祏, "觀我齋稿"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4

      58 이은하, "觀我齋 趙榮석의 繪畵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45) : 117-155, 2005

      59 강관식, "觀我齋 趙榮祏畵學考 下, In 美術資料 45" 국립중앙박물관 1990

      60 강관식, "觀我齋 趙榮祏畵學 上, In 美術資料 44" 국립중앙박물관 1989

      61 국사편찬위원회, "英祖實錄, In 朝鮮王朝實錄43" 국사편찬위원회 1970

      62 최순우, "絵畵, In 韓國美術全集 12" 同和出版公社 1973

      63 최완수, "眞景時代의 文化" 한국민족미술연구소 50 : 1996

      64 박은순, "眞景山水畵 硏究에 대한 비판적 검토 ―眞景文化?眞景時代論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28 : 71-129, 2007

      65 안휘준, "率居 : 그의 身分, 活動年代, 畵風" 한국미술사학회 274 (274): 5-29, 2012

      66 吳世昌, "槿域書畵徵" 啓明俱樂部 1928

      67 金祖淳, "楓皐集" 보경문화사 1986

      68 한영우, "朝鮮時代 中人의 身分・階級的 性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 : 1988

      69 장진성, "愛情의 誤謬: 鄭敾에 대한 평가와 서술의 문제" 한국미술연구소 (33) : 47-73, 2011

      70 유준영, "Inaugural Dissertation zur Erlangung des Doktorgrades der Philsophischen Fakulät der Universität zu Kőln, In Inaugural Dissertation zur Erlangung des Doktorgrades der Philsophischen Fakulät der Universität zu Kőln" Kőln 1976

      71 진재교, "18세기 文藝 공간에서의 眞景과 眞景畵의 추이―문예의 소통과 겸재의 영향을 중심으로―" 겸재정선기념관 2012

      72 韓正熙, "17·18세기 동아시아의 實景山水畵의 성행과 그 의미" 한국미술사학회 237 : 2003

      73 허영환, "(정도 600년) 서울 지도" 범우사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5 1.505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