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중희, "한・중・일의 초기 서양화 도입 비교론" 얼과알 2003
2 안휘준, "한국회화사" 일지사 1980
3 정병모, "한국의 풍속화" 한길아트 2000
4 최강현, "한국기행문학연구" 일지사 1982
5 안휘준, "한국 회화사 연구" 시공사 2000
6 안휘준, "한국 풍속화의 발달, In 한국 그림의 전통" 사회평론 2012
7 안휘준, "한국 남종산수화의 변천, In 한국 그림의 전통" 사회평론 2012
8 이태호, "풍속화 2" 대원사 1996
9 이태호, "풍속화 1" 대원사 1995
10 변영섭, "표암 강세황 회화 연구" 일지사 1988
11 안휘준, "청출어람의 한국미술" 사회평론 2010
12 변영섭, "진경산수화의 대가 鄭敾" 한국미술연구소 5 : 1997
13 홍선표, "진경산수화 연구시각의 비판적 검토―진경산수는 조선중화주의의 산물인가, In 가나아트 34"
14 유홍준, "조영석의 『관아재고』: 한 사대부 화가의 진보적 회화관, In 가나아트 23" 가나아트갤러리 1997
15 한정희, "조선후기 회화에 미친 중국의 영향, In 한국과 중국의 회화" 학고재 1999
16 강관식, "조선후기 지식인의 회화 경험과 인식: 『이재난고』를 통해 본 황윤석의 회화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In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지식인의 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17 고연희,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연구 - 鄭敾과 農淵 그룹을 중심으로 -" 일지사 2001
18 최완수, "조선왕조의 문화절정기, 진경시대, In 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1" 돌베개 1998
19 안휘준, "조선시대의 화원, In 한국 회화사 연구" 시공사 2000
20 이성미, "조선시대 그림속의 서양화법" 대원사 2000
21 홍선표, "정선의 작가적 생애, In 겸재 정선" 겸재정선기념관 2009
22 이경화, "정선의 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楓嶽圖帖)―1711년 금강산 여행과 진경산수화풍의 형성―" 겸재정선기념관 2012
23 장진성,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및 작화방식" 동악미술사학회 (11) : 221-236, 2010
24 민길홍, "정선의 고사인물화, In 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1" 사회평론 2006
25 장진성, "정선과 수응화(酬應畵), In 항산 안휘준 교수 정년퇴임 기념 논문집: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1" 사회평론 2006
26 안휘준, "이녕과 고려의 회화, In 한국회화사연구" 시공사 2000
27 안휘준, "옛 궁궐 그림" 대원사 1997
28 소재영, "여행과 체험의 문학" 민족문화문고 간행회 1987
29 정병모, "솔거와 그 시대"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5 : 2002
30 이성미, "서평: 『우리 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전 2권 최완수 외 돌베개, 1998" 한국미술사학회 227 : 2000
31 허영환, "서울의 古地圖" 삼성출판사 1989
32 박은순, "사의(寫意)와 진경(眞境)의 경계를 넘어서: 謙齋 鄭敾 新考, In 겸재 정선" 겸재정선기념관 2009
33 이태호, "문인화가들의 기행사경, In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학고재 1996
34 진준현, "단원 김홍도 연구" 일지사 1999
35 박은순, "금강산도 연구" 일지사 1997
36 안휘준, "관아재고의 회화사적 의의, In 觀我齋稿"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4
37 겸재정선기념관, "겸재정선"
38 이원복, "겸재 정선의 화훼영모도: 화훼영모에 있어 그의 위상과 화경(畵境)" 겸재정선기념관 2011
39 박은순,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서양화법" 겸재정선기념관 2012
40 박은순, "겸재 정선 연구의 쟁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월간미술 297 : 2009
41 최완수, "겸재 정선 1" 현암사 2009
42 안휘준, "개정신판 안견과 몽유도원도" 사회평론 2009
43 안휘준, "風俗畵" 중앙일보사 1996
44 이찬, "韓國의 古地圖" 汎友社 1991
45 홍선표, "鄭敾의 '倣古參今' - 조선후기 倣古산수화와 實景산수화의 相補性" 한국미술사학회 257 (257): 187-203, 2008
46 김원용, "鄭敾/山水畵風의 眞髓, In 韓國의 人間像 5" 新丘文化社 1965
47 姜世晃, "豹菴遺稿"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48 최완수, "謙齋眞景山水畵考" 한국민족미술연구소 29 : 1985
49 이동주, "謙齋一派의 眞景山水, In 月刊 亞細亞 4월호" 월간아세아사 1969
50 강관식, "謙齋 鄭敾의 天文學 兼敎授 出仕와 <金剛全圖>의 天文易學的 解釋" 미술사학연구회 (27) : 137-194, 2006
51 강관식, "謙齋 鄭敾의 仕宦 經歷과 哀歡" 미술사학연구회 (29) : 137-194, 2007
52 최완수, "謙齋 鄭敾, In 謙齋 鄭敾" 국립중앙박물관 1992
53 안휘준, "謙齋 鄭敾(1676 -1759)의 瀟湘八景圖" 한국미술연구소 (20) : 7-48, 2005
54 최완수, "謙齋 鄭敾 眞景山水" 汎友社 1993
55 최순우, "謙齋 鄭敾" 1 : 1971
56 국립중앙박물관, "謙齋 鄭敾"
57 趙榮祏, "觀我齋稿"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4
58 이은하, "觀我齋 趙榮석의 繪畵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45) : 117-155, 2005
59 강관식, "觀我齋 趙榮祏畵學考 下, In 美術資料 45" 국립중앙박물관 1990
60 강관식, "觀我齋 趙榮祏畵學 上, In 美術資料 44" 국립중앙박물관 1989
61 국사편찬위원회, "英祖實錄, In 朝鮮王朝實錄43" 국사편찬위원회 1970
62 최순우, "絵畵, In 韓國美術全集 12" 同和出版公社 1973
63 최완수, "眞景時代의 文化" 한국민족미술연구소 50 : 1996
64 박은순, "眞景山水畵 硏究에 대한 비판적 검토 ―眞景文化?眞景時代論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28 : 71-129, 2007
65 안휘준, "率居 : 그의 身分, 活動年代, 畵風" 한국미술사학회 274 (274): 5-29, 2012
66 吳世昌, "槿域書畵徵" 啓明俱樂部 1928
67 金祖淳, "楓皐集" 보경문화사 1986
68 한영우, "朝鮮時代 中人의 身分・階級的 性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9 : 1988
69 장진성, "愛情의 誤謬: 鄭敾에 대한 평가와 서술의 문제" 한국미술연구소 (33) : 47-73, 2011
70 유준영, "Inaugural Dissertation zur Erlangung des Doktorgrades der Philsophischen Fakulät der Universität zu Kőln, In Inaugural Dissertation zur Erlangung des Doktorgrades der Philsophischen Fakulät der Universität zu Kőln" Kőln 1976
71 진재교, "18세기 文藝 공간에서의 眞景과 眞景畵의 추이―문예의 소통과 겸재의 영향을 중심으로―" 겸재정선기념관 2012
72 韓正熙, "17·18세기 동아시아의 實景山水畵의 성행과 그 의미" 한국미술사학회 237 : 2003
73 허영환, "(정도 600년) 서울 지도" 범우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