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계획 중장기 발전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 담당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25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중장기 발전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 담당공무원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간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FGI를 병행하였다.
      조사결과에 근거해 다음과 같은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계획의 내용과 성격을 변화시켜야 한다. 기초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은 지역사업 중심으로 수립되어야 하며, 광역 시·도 지역복지계획은 ‘지원계획’으로 변경되어, 기초자치단체의 복지계획의 수립·실행·평가를 지원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법적 근거 강화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실행·평가의 주체로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지역사회복지계획(연차별 시행계획) 수립매뉴얼이 쉽게 만들어져야 한다. 다섯째,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을 둘러싼 일선환경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지역사회복지계획 평가의 적절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중장기 발전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 담당공무원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간사를 대상으로 설...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중장기 발전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 담당공무원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간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FGI를 병행하였다.
      조사결과에 근거해 다음과 같은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계획의 내용과 성격을 변화시켜야 한다. 기초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은 지역사업 중심으로 수립되어야 하며, 광역 시·도 지역복지계획은 ‘지원계획’으로 변경되어, 기초자치단체의 복지계획의 수립·실행·평가를 지원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법적 근거 강화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실행·평가의 주체로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지역사회복지계획(연차별 시행계획) 수립매뉴얼이 쉽게 만들어져야 한다. 다섯째,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을 둘러싼 일선환경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지역사회복지계획 평가의 적절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 of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For accomplishing the purpose of research, it conducted the questionnaire and FGI with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ning officials and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secretaries.
      It was to suggest the following development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contents and character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should be changed.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s of city, county and ward should be established centering around local businesses, metropolitan and provincial welfare plans should be changed into "support plan" and establishing, performing and evaluating the local governments" welfare programs should be supported. Second, legal foundat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methods of activating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as the subject of establishing, performing and evaluating community welfare programs should be easy. Fourth, the security of term for establishing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and timing adjustment are required. Fifth, (annual performance plans)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ning manual should be diversified. Sixth, general environment related to the annual performance plan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Finally, appropriateness of evaluating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s should be secur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 of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For accomplishing the purpose of research, it conducted the questionnaire and FGI with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ning officials and community social wel...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 of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For accomplishing the purpose of research, it conducted the questionnaire and FGI with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ning officials and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secretaries.
      It was to suggest the following development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contents and character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should be changed.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s of city, county and ward should be established centering around local businesses, metropolitan and provincial welfare plans should be changed into "support plan" and establishing, performing and evaluating the local governments" welfare programs should be supported. Second, legal foundat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methods of activating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as the subject of establishing, performing and evaluating community welfare programs should be easy. Fourth, the security of term for establishing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and timing adjustment are required. Fifth, (annual performance plans)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ning manual should be diversified. Sixth, general environment related to the annual performance plan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Finally, appropriateness of evaluating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s should be secu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Ⅲ. 연구 방법
      • Ⅳ. 조사결과
      •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Ⅲ. 연구 방법
      • Ⅳ. 조사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정부, "한국지역사회복지계획의 발전전략연구" 19 : 77-96, 2006

      2 김종숙, "한국과 외국의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정책비교" 경기복지재단 2009

      3 함철호,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2011

      4 이재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평가 실태와 과제" 2009

      5 김헌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을 위한 정부의 평가기준에 관한 고찰" 20 : 43-63, 2006

      6 박용권,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과정 및 실천과제" 45-75, 2011

      7 박태영,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과 실천, 그 성과와 과제" 2007

      8 한국지역사회복지연구소, "지역사회복지계획론" 양서원 2008

      9 함철호, "지역사회복지계획 중장기 발전방향 연구" 보건복지부․광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10 정효정,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의 과제와 방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1) : 139-163, 2009

      1 송정부, "한국지역사회복지계획의 발전전략연구" 19 : 77-96, 2006

      2 김종숙, "한국과 외국의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정책비교" 경기복지재단 2009

      3 함철호,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 2011

      4 이재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평가 실태와 과제" 2009

      5 김헌진,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을 위한 정부의 평가기준에 관한 고찰" 20 : 43-63, 2006

      6 박용권,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과정 및 실천과제" 45-75, 2011

      7 박태영,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과 실천, 그 성과와 과제" 2007

      8 한국지역사회복지연구소, "지역사회복지계획론" 양서원 2008

      9 함철호, "지역사회복지계획 중장기 발전방향 연구" 보건복지부․광주대학교 산학협력단 2012

      10 정효정,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의 과제와 방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1) : 139-163, 2009

      11 배은석,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복지수요·공급력에 따른 유형화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12 박태영,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사회개발연구원 7 : 2001

      13 박정란,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방법에 관한 연구" 15 : 23-44, 2004

      14 안혜영,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현황 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보건복지가족부․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2007

      15 강대선, "지역사회복지계획 논리구성의 타당성과 질 강화-경주시 지역사회복지계획 사례중심-"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155-181, 2012

      16 이재완, "지역복지환경변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의 과제" 19 : 97-116, 2006

      17 大橋謙策, "지역복지계획의 이론과 실천" 학지사 2003

      18 김영종, "지역복지계획 수립에 관한 표준안 및 컨설팅 개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08

      19 강혜규,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계획 수립의 과제와 활성화 방안" 75 : 75-83, 2003

      20 류기형, "중소도시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과정에서 주민참여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 양산시와 일본 타카하마시(高兵市)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9 (9): 117-147, 2007

      21 이영철, "제1기 지역사회복지계획(2007-2010) 보고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4) : 1-22, 2010

      22 김영종, "일본의 지역복지 : 정책 및 방법" 학지사 2012

      23 데보라 패짓,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 나남 2001

      24 류기형, "부산광역시 지역사회복지계획의 현황과 발전 방안" 15 : 45-75, 2004

      25 박태영, "도농복합형 자방자치단체의 지역복지계획 수립방향에 관한 연구: 평택시 사회복지종합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19 : 137-165, 2006

      26 Chris Clark, "Planning and Costing Community Care"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996

      27 Malcolm Payne, "Linkages: effective networking in social care" Whiting and Birch Ltd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3 1.68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