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코미디 영화의 세 가지 존재 방식 = 50년대 코미디 영화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49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omedy films from 1956 to 1961 and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some modes of comedy films. The motivation for this comparative analysis is to try to define the meanings and the functions of comedy constituted in post-war mo...

      This study examines the comedy films from 1956 to 1961 and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some modes of comedy films. The motivation for this comparative analysis is to try to define the meanings and the functions of comedy constituted in post-war modernization era. The ultimate objective is a fin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modernity of Korean cinema.
      The popularity of the comedy is unique in post-war era. Post-war comedy films are above all based on a reality that is limited both spatially and temporally. That complicity may focus on.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 specific generic form within the context of a cultural history. Through an analysis of form of postwar comedy film, it appears in three formal characteristics through which laugh is embodied.: 1) a form of comedy of manners 2) a form of conversation or controversy 3) a form fo satire.
      Like any other comedy, post-war Korean comedy is an inherently ambivalent one. Post-war comedy films are both subersive and conservative, both offensive and inoffensive, both serious and ridiculous. Comedy is a good example of the various ways in which this ambivalence does and does not become represented within a specific culture. Our aim in this paper is to examine comedy film as an 'in-between space'. We do not think of comedy film as maintaining or subverting certain culturally and nationally specific values, but rather take it as an imaginary space in relation to which people in post-war Korea try to make sense of their cultural ambivalence. In general, the function of post-war film may in expert maintenenance of the ambivalence of this culturally and historically distinctive symbiosis of conservatism and subver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풍속의 기록
      • 3. 대화의 개방성
      • 4. 세태풍자 코미디와 개성적 인물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풍속의 기록
      • 3. 대화의 개방성
      • 4. 세태풍자 코미디와 개성적 인물
      • 5. 맺음말
      • 참고 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성과 현대문화" 2001.

      2 "한국영화의 복고,남성,멜로" 2002년

      3 "한국영화사 강의" 소도 2002.

      4 "한국영화가 재현하는 성의 정치학」" 2004년

      5 "텔레비전과 현대비평" 1994.

      6 "우리 안의 파시즘" 삼인 2000.

      7 "스크린 밖의 한국영화사" 인물과 사상사 2002.

      8 "소설을 통해 본 인권의 현장」 창작과 비평" 1977년여름호.

      9 "문학의 노동화와 노동의 문학화」" 1983.

      10 "노동시장과 노사관계의 변모」 ,한국현대사와 사회변동" 문학과 지성사 1997.

      1 "현대성과 현대문화" 2001.

      2 "한국영화의 복고,남성,멜로" 2002년

      3 "한국영화사 강의" 소도 2002.

      4 "한국영화가 재현하는 성의 정치학」" 2004년

      5 "텔레비전과 현대비평" 1994.

      6 "우리 안의 파시즘" 삼인 2000.

      7 "스크린 밖의 한국영화사" 인물과 사상사 2002.

      8 "소설을 통해 본 인권의 현장」 창작과 비평" 1977년여름호.

      9 "문학의 노동화와 노동의 문학화」" 1983.

      10 "노동시장과 노사관계의 변모」 ,한국현대사와 사회변동" 문학과 지성사 1997.

      11 "남성중심적 영화의 역설 분열하는 남성 정체성」"

      12 "김정아 옮김 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문학동네 2004.

      13 "Immigrant Women in the Land of Dollars" 1985.

      14 "1970년대 체제이행기의 남북한 비교영화사" 영화진흥위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9-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Film Studies Association Of Korea (Fisak) -> Korean Cinema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영화연구
      외국어명 :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1.0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