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다시마, 청매실, 동충하초 및 키토산이 첨가된 멸치액젓의 저장 중 품질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59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비자의 기호 및 상품성을 높이고 다시마, 청매실, 동충하초, 키토산의 여러 성분과 영양 및 기능성이 향상된 저염 멸치액젓을 개발하고자, 5년간 숙성시킨 멸치액젓(식염 26%)에 끓인 물로 염 농도를 14 및 17%으로 조정한 후 다시마, 청매실, 동충하초, 키토산을 첨가하여 150일 동안 후 숙성하면서 나타나는 제품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장기간 동안에 pH는 서서히 감소하였고, 아미노질소 및 휘발성 염기질소량은 저장 50일째까지 증가하였다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으며, TBA 값은 저장 50일째까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다. 생균수를 비롯한 젖산균, 단백질분해균 및 곰팡이 균은 후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다소 일정한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다시마, 청매실, 동충하초 및 키토산 첨가에 따른 제품 열화현상은 저장 150일째까지는 나타나지 않아서, 저염 멸치액젓으로 상품화의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숙성 150일부터는 관능적으로 다소 감소함을 볼 수 있어서 유통기한에 대한 실험과 제조된 저염 멸치액젓에 대한 기능성 검증에 대한 실험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번역하기

      소비자의 기호 및 상품성을 높이고 다시마, 청매실, 동충하초, 키토산의 여러 성분과 영양 및 기능성이 향상된 저염 멸치액젓을 개발하고자, 5년간 숙성시킨 멸치액젓(식염 26%)에 끓인 물로 ...

      소비자의 기호 및 상품성을 높이고 다시마, 청매실, 동충하초, 키토산의 여러 성분과 영양 및 기능성이 향상된 저염 멸치액젓을 개발하고자, 5년간 숙성시킨 멸치액젓(식염 26%)에 끓인 물로 염 농도를 14 및 17%으로 조정한 후 다시마, 청매실, 동충하초, 키토산을 첨가하여 150일 동안 후 숙성하면서 나타나는 제품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저장기간 동안에 pH는 서서히 감소하였고, 아미노질소 및 휘발성 염기질소량은 저장 50일째까지 증가하였다가,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으며, TBA 값은 저장 50일째까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다. 생균수를 비롯한 젖산균, 단백질분해균 및 곰팡이 균은 후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다소 일정한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다시마, 청매실, 동충하초 및 키토산 첨가에 따른 제품 열화현상은 저장 150일째까지는 나타나지 않아서, 저염 멸치액젓으로 상품화의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숙성 150일부터는 관능적으로 다소 감소함을 볼 수 있어서 유통기한에 대한 실험과 제조된 저염 멸치액젓에 대한 기능성 검증에 대한 실험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ish sauce is one of the most popular fermented fish products over the world. But it is usually manufactured with high salt concentration (>25%) and long periods of elabo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fish sauce, the functional anchovy sauces with low salt concentrations (14 and 17%) were manufactured by adding sea tangle (Kjellamaniealla crassifolia), ume (Prunus mume Sieb. et Zucc), tochukaso (Paecilomyces japonica), and chitosan. On 50 days of storage, pH of all treatments decreased to 5.1, while the amount of lactic acid increased continuously as storage period increased. The amounts of VBN, amino-N, and TBA were highest on 50 days of storage and then kept constantly or decreased a little thereafter. The numbers of total viable cell, lactic acid bacteria, proteolytic bacteria, and fungi increased very slowly as storage period increased.
      번역하기

      Fish sauce is one of the most popular fermented fish products over the world. But it is usually manufactured with high salt concentration (>25%) and long periods of elabo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fish sauce, the functional anch...

      Fish sauce is one of the most popular fermented fish products over the world. But it is usually manufactured with high salt concentration (>25%) and long periods of elabor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fish sauce, the functional anchovy sauces with low salt concentrations (14 and 17%) were manufactured by adding sea tangle (Kjellamaniealla crassifolia), ume (Prunus mume Sieb. et Zucc), tochukaso (Paecilomyces japonica), and chitosan. On 50 days of storage, pH of all treatments decreased to 5.1, while the amount of lactic acid increased continuously as storage period increased. The amounts of VBN, amino-N, and TBA were highest on 50 days of storage and then kept constantly or decreased a little thereafter. The numbers of total viable cell, lactic acid bacteria, proteolytic bacteria, and fungi increased very slowly as storage period increa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양수산통계연보 품종별 수산가공품 생산량" 해양수산부 2003

      2 "inhibitory activity of hetero-chitooligosaccharides prepared from partially different deacetylated chitosans" Angiotensin Ⅰ converting enzyme 4930-4934, 2003

      3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sterilized salt- fermented anchovy sauce" 1038-1044, 1996

      4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foods The taste compound of low salt fermented sardine" 140-145, 1983

      5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foods" 206-211, 1985

      6 "Studies on the prediction of the shelf-life of kochujang through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nalyse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588-594, 1997

      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theast asian salt-fermented fish sauces" 98-102, 2000

      8 "Propert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ed with sugaring ume puree" Food Ind and Nutr 9 58-65, 2004

      9 "Processing and taste compounds of fish sauces from filefish scrap" 326-335, 1988

      10 "Preparation of imitation sauce from enzymatic hydrolysate of cod skin gelatin" 470-475, 1993

      1 "해양수산통계연보 품종별 수산가공품 생산량" 해양수산부 2003

      2 "inhibitory activity of hetero-chitooligosaccharides prepared from partially different deacetylated chitosans" Angiotensin Ⅰ converting enzyme 4930-4934, 2003

      3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sterilized salt- fermented anchovy sauce" 1038-1044, 1996

      4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foods The taste compound of low salt fermented sardine" 140-145, 1983

      5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foods" 206-211, 1985

      6 "Studies on the prediction of the shelf-life of kochujang through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nalyse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588-594, 1997

      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theast asian salt-fermented fish sauces" 98-102, 2000

      8 "Propert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 added with sugaring ume puree" Food Ind and Nutr 9 58-65, 2004

      9 "Processing and taste compounds of fish sauces from filefish scrap" 326-335, 1988

      10 "Preparation of imitation sauce from enzymatic hydrolysate of cod skin gelatin" 470-475, 1993

      11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OAC -31, 1995

      12 "Microdiffusion analysis and volumetric error" Croby Lookwood and Son Ltd 1950

      13 "Microbioloical and enzymological studies on the flavor components of sea food pickles" 1-6, 1969

      14 "Microbioloical and enzymological studies on the flavor components of sea food pickles" 1-6, 1969

      15 "Korea Food Drug & Administration Seoul" 2000

      16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fucoidans from Laminaria rerigiosa and Undaria pinnatifida in Korea" 227-236, 1995

      17 "Iodine distribution in blades of several Laminarias grown in the same sea area" 58 1373-1379, 1992

      18 "Effect of chitosan on drained solution and quality of soybean curd" J Chitin Chitosan 7 201-207, 2002

      19 "Comparative chemical compositions of four kinds of Tochukaso" Dh SW 15-22, 2004

      20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 of mune fruits during maturation" 481-487, 1999

      21 "Antitumor activity of chitosan oligosaccharides produced in an ultrafiltration membrain reactor system" 503-507, 2002

      22 "Antitumer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595-600, 1989

      23 "Antimicrobial effect of chitooligosaccharides produced by bioreactor" Carbohydrate Polymers 71-76, 2001

      24 "A distillatio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n malonaldehyde in rancid food" 44-48, 196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