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표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차종별 속도제한 및 통행제한 기준을 작성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강풍지역에 방풍벽을 시험 설치하여 그 효과...
본 연구의 목표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차종별 속도제한 및 통행제한 기준을 작성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강풍지역에 방풍벽을 시험 설치하여 그 효과를 보는 것이다. 첫 번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횡풍에 의한 사고유형을 분석하여 사고 위험도를 정의한다. 횡풍 작용 시 주행차량의 이탈 및 전도 현상에 대한 역학적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주행경로 이탈거리를 산정 및 전도 판정 방법을 개발 제시하였다. 차량의 동역학적 특성추정 실험 및 풍동실험을 통하여 측정된 자료를 개발된 모델에 적용하여 차종별로 풍속별 위험주행 속도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새로운 '차량통행제한기준(안)'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 횡풍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한 성산1교에 방풍시설을 설치하였다. 이를 위해서 팽창메탈형태의 방풍벽의 형식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풍동실험 및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방풍벽의 공극률에 따른 방풍효과 및 방풍벽에 작용하는 풍하중을 명확히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1km 정도의 방풍벽을 성산1교에 성공적으로 시험설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