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구조물의 대형화와 단면성능의 구조적 장점 때문에 원형강관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원형강관의 사용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30417
김우범 (공주대학교) ; 신경재 (경북대학교) ; 최형화 (공주대학교) ; Kim, Woo-Bum ; Shin, Kyung-Jae ; Choi, Hyung-Hwa
2011
Korean
거셋플레이트-원형강관 접합부 ; 극한변형 ; 극한내력
KCI등재
학술저널
523-533(1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에 구조물의 대형화와 단면성능의 구조적 장점 때문에 원형강관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원형강관의 사용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
최근에 구조물의 대형화와 단면성능의 구조적 장점 때문에 원형강관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원형강관의 사용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원형강관-거셋플레이트 접합부의 극한강도의 판단은 매우 복잡한 국부변형과, 실험 및 유한요소해석 결과의 하중변위곡선 상에서 최대강도가 일관성 있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간단하지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과 유한요소해석을 바탕으로 극한변형에 의한 극한내력을 도출하고 기존 접합부 내력식과 비교하여 거셋플레이트-원형강관 접합부에 적합한 내력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mand for the circular hollow section (CHS) has been increasing due to its structural advantage in long-span structures and high-rise buildings.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on the CHS structure, though. The behavior of the gusset plate CHS jo...
The demand for the circular hollow section (CHS) has been increasing due to its structural advantage in long-span structures and high-rise buildings. There are not enough researches on the CHS structure, though. The behavior of the gusset plate CHS joint, to predict the ultimate strength, is not easy to predict because the load deflection curve does not show consistency. Therefore, in this study, experiment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FEA)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ultimate strength according to the proposed ultimate deformation limit. Finally, a reasonable ultimate strength formula was proposed through comparisons with other design guides.
참고문헌 (Reference)
1 대한건축학회, "국토해양부고시 건축구조기준 및 해설" 기문당 2009
2 日本建築學會, "鋼管構造設計施工指針·同解說" 日本建築學會 2002
3 Lu, L. H, "Ultimate deformation criteria for uniplanar connections between I-beams and RHS columns under in-plane bending" 73-80, 1994
4 AWS, "Structural Welding Code for steel/Ansi/AwsD1. 1-9413th Edition" AWS 1994
5 AISC, "Steel Construction Manual, 13th Edition"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2005
6 Ariyoshi, M, "Load-deformation relationships for gusset-plate to CHS tube joints under Compression loads" 10 (10): 292-300, 2000
7 Wardenier,J, "Hollow Section Joints" Delft University Press 1982
8 Packer, J. A, "Design Guide for Hollow Structural Section Connections" Canadi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CISC) 1992
9 Wardenier, J., "Design Guide for Circular Hollow Section (CHS) Joints under Predominantly Static Loading, 2nd Edition" CIDECT 2008
10 Lu, L. H., "Deformation limit for the ultimate strength of hollow section joint" 341-347, 1994
1 대한건축학회, "국토해양부고시 건축구조기준 및 해설" 기문당 2009
2 日本建築學會, "鋼管構造設計施工指針·同解說" 日本建築學會 2002
3 Lu, L. H, "Ultimate deformation criteria for uniplanar connections between I-beams and RHS columns under in-plane bending" 73-80, 1994
4 AWS, "Structural Welding Code for steel/Ansi/AwsD1. 1-9413th Edition" AWS 1994
5 AISC, "Steel Construction Manual, 13th Edition"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2005
6 Ariyoshi, M, "Load-deformation relationships for gusset-plate to CHS tube joints under Compression loads" 10 (10): 292-300, 2000
7 Wardenier,J, "Hollow Section Joints" Delft University Press 1982
8 Packer, J. A, "Design Guide for Hollow Structural Section Connections" Canadi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CISC) 1992
9 Wardenier, J., "Design Guide for Circular Hollow Section (CHS) Joints under Predominantly Static Loading, 2nd Edition" CIDECT 2008
10 Lu, L. H., "Deformation limit for the ultimate strength of hollow section joint" 341-347, 1994
11 Lee, S. H., "Behavior of gusset plate-to-tube joints using 600MPa high-strength steel" 2011
12 Hibbitt, K, "ABAQUS/Standard user’s manual, Version 5. 8" Pawtucke 1998
명시적 호장법을 이용한 공간프레임의 반강접 탄소성 후좌굴 해석
무보강 상·하부 ㄱ형강 접합부의 소성휨모멘트 저항능력 예측을 위한 실험 및 해석적 연구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강박스거더교의 개략공사비 산정 및 검증
실데이터 분석을 통한 지역난방 열배관의 피로안전성 평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59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