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기간을 생애추기사건과 노동시장조건의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009년 여성부의 의뢰를 받아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경력단절여성 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597075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3-72(20쪽)
6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기간을 생애추기사건과 노동시장조건의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009년 여성부의 의뢰를 받아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경력단절여성 재...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기간을 생애추기사건과 노동시장조건의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009년 여성부의 의뢰를 받아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실태조사」 자료와 다항로짓 방법론을 이용하여, 경력단절여성들의 단절기간을 단기, 중기, 중장기, 그리고 장기로 분류하여 인구학적 변인, 인적자원수준, 생애주기사건, 그러고 노동시장조건이 경력단절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재취업의 조건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적성과 육아병행에 적합한 일자리 확보를 지적하였다. 또한 여성의 연령이 낮을수록, 인적자원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노동시장에서의 임금수준이 높을수록 여성들은 장기간 경력단절(60개월 이상)보다는 단기(12개월 미만)의 경력단절을 경험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자녀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자녀양육으로 인해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이 차별로 인해 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에 비해 재취업시기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기나 초등학교 연령의 자녀를 문 여성들은 장기적인 경력단절을 경험할 확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여성근로자들의 지속적인 노동시장 참여를 위해서 일가족양립의 제도와 문화조성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동시에, 자녀양육 이외의 차별적 경험이 장기간의 경력단절을 이끄는 요인으로 나타난 바, 이에 대한 개선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life course events and labor market conditions on the duration of career interruption among Korean women. The data were drawn from ‘A Survey on the Women’s Employment Interruption in Korea’ conducted by the Kor...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life course events and labor market conditions on the duration of career interruption among Korean women. The data were drawn from ‘A Survey on the Women’s Employment Interruption in Korea’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in 2009( currently the Korea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is study categorizes the duration of career interruption into three categories: (1) short term interruption(less than 12months), (2) short-medium term interruptio(12-35 months), (3) intermediate term interruption(36-59 months), (4) long term interruption(longer than 36 months), and then analyzes how demographic factors, labor market condition, and life events shape the timing of re-entry into the labor market among women.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jobs that are conducive to combining market work and mother’s role expedite women’s return to the labor market. Further, the younger, higher the level of human capital, and higher monthly wages that women earned before leaving the labor market, women are likely to experience short-term interruption(less than 12 months) rather than long-term interruption(longer than 60 months). Women who left from the labor market to care for kids are also likely to return to the labor market. However, women who have preschoolers are likely to experience long-term career interrup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role of family supportive culture at the workplace in order for women to continue their employment while intensive family formation period. Furthermore, the finding that the discriminatory practices against women, in particular mother workers at the workplace lead women to exit from the market work calls for attention to establish family friendly workplac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수미,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회 19 (19): 43-80, 2003
2 박경숙,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 -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한국인구학회 26 (26): 63-90, 2003
3 김지경,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연속성 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 42 (42): 91-104, 2004
4 민현주, "여성취업의 두 갈래길 : 상위와 하위 수준 일자리 진입 결정 요인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78) : 223-255, 2008
5 민현주, "엄마의 취업과 자녀터울에 관한 동태적 분석" 한국사회학회 41 (41): 106-126, 2007
6 조혜선, "기혼여성의 고용형태 결정요인" 36 (36): 145-169, 2002
7 오은진, "교육수준에 따른 여성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와 취업선택 결정 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12): 141-162, 2009
8 오은진,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실태조사" 여성부 2009
9 Lee,Y.J, "Women,Work,and Marriage in Three East Asian Labor Markets:The Cases of Taiwan,Japan,and South Korea In Women's Working Lives in East Asia" Stanford 96-124, 2001
10 Rosenfeld,R.A, "Women's Work Histories" 22 (22): 199-222, 1996
1 박수미,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여성학회 19 (19): 43-80, 2003
2 박경숙,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 -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한국인구학회 26 (26): 63-90, 2003
3 김지경,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연속성 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 42 (42): 91-104, 2004
4 민현주, "여성취업의 두 갈래길 : 상위와 하위 수준 일자리 진입 결정 요인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78) : 223-255, 2008
5 민현주, "엄마의 취업과 자녀터울에 관한 동태적 분석" 한국사회학회 41 (41): 106-126, 2007
6 조혜선, "기혼여성의 고용형태 결정요인" 36 (36): 145-169, 2002
7 오은진, "교육수준에 따른 여성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와 취업선택 결정 요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12): 141-162, 2009
8 오은진, "경력단절여성 재취업 실태조사" 여성부 2009
9 Lee,Y.J, "Women,Work,and Marriage in Three East Asian Labor Markets:The Cases of Taiwan,Japan,and South Korea In Women's Working Lives in East Asia" Stanford 96-124, 2001
10 Rosenfeld,R.A, "Women's Work Histories" 22 (22): 199-222, 1996
11 Oppenheimer,V.K, "Women's Employment and the Gain to Marriage:The Specialization and Trading Model" 23 : 431-453, 1997
12 Desai,S, "Women's Employment During Pregnancy and After the First Birth: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Work Commitment" 56 (56): 551-566, 1991
13 Lee,S.H, "Women's Education,Work,and Marriage in South Korea In Women's Working Lives in East Asia" Stanford University 204-232, 2001
14 Floge,L, "Tokenism Reconsidered:Male Nurses and Female Physicians in a Hospital Setting" 64 (64): 925-947, 1986
15 Bielby,W.T, "Sex Segregation Within Occupations" 76 (76): 43-47, 1986
16 Polachek,S.W, "Occupational Self-Selection:A Human Capital Approach to Sex Differences in Occupational Structure" 63 (63): 60-69, 1981
17 Polachek,S.W, "Occupational Segregation:A Defense of Human Capital Predictions" 20 (20): 437-440, 1985
18 Brinton,M.C, "Married Women‘s Labor in East Asian Economics InWomen's Working Lives in East Asia" Stanford University Press 1-37, 2001
19 Lee,Y, "Married Women's Employment in Rapidly Industrializing Societies:Examples from East Asia" 100 (100): 1099-1130, 1995
20 Reskin,B.F, "Labor Markets as Queues:A Structural Approach to Changing Occupational Sex Composition In Micro-macro Linkages in Sociology" Sage Publications 170-192, 1991
21 Glass,J.L, "Job Quits and Job Changes:The Effects of Young Women's Work Conditions and Family Factors" 2 (2): 228-240, 1988
22 Klerman,Jacob Alex, "Job Continuity among New Mothers" 36 (36): 145-155, 1999
23 Becker,G.S, "Human Capital,Effort,and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n A Treatise on the 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24 Glass,J.L, "Gender,Parenthood,and Job-Family Comparability" 98 (98): 131-151, 1992
25 Brewster,K.L,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in Industrialized Nations" 26 : 271-296, 2000
26 Glass,J.L, "Family Responsive Policies and Employee Retention Following Childbirth" 76 (76): 401-435, 1998
27 Felmlee,D.H, "Causes and Consequences of Women's Employment Discontinuity" 22 (22): 167-187, 1995
28 Becker,G.S, "ATreatise on the 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Differential Effects of Educational Attainment on Chronic Diseases with Age
이주노동자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의 효과 분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4 | 1.34 | 1.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6 | 2.07 | 2.564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