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고전시가에 대한 자리매김을 모색하기 위해 전환기 중학생인 중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통해 고전시가 다시 쓰기 수업을 진행한 결과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10659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77-385(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고전시가에 대한 자리매김을 모색하기 위해 전환기 중학생인 중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통해 고전시가 다시 쓰기 수업을 진행한 결과이다. ...
이 연구는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고전시가에 대한 자리매김을 모색하기 위해 전환기 중학생인 중학교 1학년생을 대상으로 자유학기제를 통해 고전시가 다시 쓰기 수업을 진행한 결과이다. 수업 결과 첫째, 학습자들은 작품 읽기의 초점이 정서를 유발하는 대상에 있는지, 화자의 정서에 있는지에 따라 ‘다시 쓰기’의 방향이 달라졌는데, 주로 고대가요와 관련해서 이런 양상이 두드러졌다. 둘째, 학습자들은 원시(原詩)의 형식을 고려하여 ‘다시 쓰기’를 하였는데, 10구체 향가 작품들을 다시 쓰기하면서 3단 구조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내용을 전개하고 정서를 객관화할 수 있는 형식을 통해 자신의 상황에 대한 정서의 몰입과 해소를 경험했다. 셋째, 문학적 의미에서 음악적 요소를 관련지어 재해석하였는데, 이는 고려가요의 여음구와 관련하여 두드러지게 나타나 내용과 형식을 연계하여 이해하려는 노력이 보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고전시가에 대한 어려움보다는 자신의 삶에 적용하면서 고전시가를 이해하고 자신과의 관계 맺기를 시도할 뿐만 아니라 갈래별 이해 및 갈래의 핵심요소가 무엇인지를 다시 쓰기를 통해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의 삶에서 고전시가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학습기회가 주어진다면 문학 작품에 대한 수용 능력을 신장할 수 있어 향후 일반학기와의 연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a position on Korean classical poetry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free semester system was adopted to give opportunity for in-depth learning on one subject. With the study materials fromKorean classical po...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a position on Korean classical poetry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 free semester system was adopted to give opportunity for in-depth learning on one subject. With the study materials fromKorean classical poetry class in the free semester at S middle school, the researcher analyzed how learners perceive Korean classical poetry. First, in the genre of ‘ancient songs’, the direction of re-writing has changed depending on the subject of interest in the content. Second, re-writing was performed in the style of ‘Hyang-ga’. Third, in the genre of ‘Goryeo songs’, learners reinterpreted musical elements in the literary sense.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showed how the learners were interested in Korean classical poetry in education. If the learners are given enough opportunity to learn,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capacity for acceptance of literary works and this will also help relate them to education in general semesters in the fu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순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에 관한 학생들의 기대와 지각"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355-376, 2007
2 최미원, "초·중학교 전환기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에 대한 종단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75-900, 2018
3 고영화, "청소년기 향가 감상과 자아 형성에 대한 연구 -<慕竹旨郞歌>와 <讚耆婆郞歌>를 중심으로-" 한국시가학회 26 : 493-516, 2009
4 김우리,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333-352, 2014
5 강갑준, "중학교 신입생들의 전환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33-170, 2018
6 신철균, "자유학기제의 확장을 위한 자유학기와 일반학기의 연계 원리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93-414, 2018
7 황병익, "역사와 문학 기반 향가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국시가학회 45 : 115-174, 2018
8 권오경, "신라 향가의 공감 유형과 의미" 택민국학연구원 (19) : 121-142, 2017
9 정소연, "서사 향유 현상으로서의 고전소설과 온라인게임의 문학사적 의미" 한국문학교육학회 (46) : 27-52, 2015
10 손태도, "고전문학의 향유방식과 교육; 과거, 현재, 미래"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7) : 5-45, 2018
1 유순화,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에 관한 학생들의 기대와 지각" 한국초등교육학회 20 (20): 355-376, 2007
2 최미원, "초·중학교 전환기 삶의 만족도 변화양상에 대한 종단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75-900, 2018
3 고영화, "청소년기 향가 감상과 자아 형성에 대한 연구 -<慕竹旨郞歌>와 <讚耆婆郞歌>를 중심으로-" 한국시가학회 26 : 493-516, 2009
4 김우리,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333-352, 2014
5 강갑준, "중학교 신입생들의 전환기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6 (36): 133-170, 2018
6 신철균, "자유학기제의 확장을 위한 자유학기와 일반학기의 연계 원리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93-414, 2018
7 황병익, "역사와 문학 기반 향가 연구의 회고와 전망" 한국시가학회 45 : 115-174, 2018
8 권오경, "신라 향가의 공감 유형과 의미" 택민국학연구원 (19) : 121-142, 2017
9 정소연, "서사 향유 현상으로서의 고전소설과 온라인게임의 문학사적 의미" 한국문학교육학회 (46) : 27-52, 2015
10 손태도, "고전문학의 향유방식과 교육; 과거, 현재, 미래"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7) : 5-45, 2018
11 임혜림, "가정 및 학교 내 대인관계와 아동의 행복감 간 구조적 관계- 학교급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145-170, 2018
12 De Bono, E., "The use of lateral thinking" Seowon 1995
13 Cho, H. J., "The study on a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Hankookmunhwasa 2011
14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Assisting student transition into middle school"
15 Ko, J. H., "An inquiry on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Somyungbooks 2013
16 Statistics Korea, "2018 Juvenile statistics"
17 Ministry of Education, "2015 revision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간학문적 연구절차를 적용한 지속가능발전 문제해결 수업의 설계와 대학교 교양수업에의 적용 효과
무용전공 고등학교 초임체육교사의 교직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교사와 학생의 수학적 주목하기 차이에 관한 설명적 사례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3-0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 | 1.17 | 1.432 | 0.29 |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통합사회의 이해 및 지도방법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