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말한 것처럼 본고에서 주로 다룰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판단된다. 우선 이 한글 편지의 주인공과 이 편지 자료가 시간적으로 언제 이루어졌는가 하는 문제, 이 한글 편지의 언어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8441
200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앞에서 말한 것처럼 본고에서 주로 다룰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판단된다. 우선 이 한글 편지의 주인공과 이 편지 자료가 시간적으로 언제 이루어졌는가 하는 문제, 이 한글 편지의 언어가 ...
앞에서 말한 것처럼 본고에서 주로 다룰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판단된다. 우선 이 한글 편지의 주인공과 이 편지 자료가 시간적으로 언제 이루어졌는가 하는 문제, 이 한글 편지의 언어가 토대로 하는 지역방언적 성격 문제 등을 밝히는 일과 이들 자료를 활자로 전사(轉寫)하여 자료를 확정하는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 다룰 내용 중 이 자료의 생성 연대와 배경이 되는 지역방언의 성격을 밝히는 작업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이 자료에 대한 서지학적 접근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자료의 경우, 편지 주인이 처음으로 필사한 내용이 아니라 그 후손이 다시 옮겨 적어 책으로 묶은 것이므로 일종의 등사본(謄寫本)에 해당하는 자료이다. 이처럼 이 자료의 분명한 성격을 밝히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이 문중의 족보와 가계도를 바탕으로 이 자료의 성격을 밝히는 작업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이들 가문을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고 족보와 가계도를 참고하여 편지의 주인공과 이들 편지 자료의 생성 시기를 객관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면 자연히 이 한글 편지 자료가 배경으로 하는 지역방언 문제는 자연히 해결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외형적 서지 문제도 다룰 것이며 이를 통해서도 이 자료의 성격 규명을 위해서 노력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 자료를 확정하기 위한 작업으로 이 자료의 외형적 서지 특히, 필사자의 문자형의 특징과 국어학적 특징을 고려하여 이 자료를 정확히 활자로 옮기는데 힘을 쏟고자 한다. 이 과정에는 무엇보다 환경에 따른 필사된 글자의 자형을 파악하고 이를 확정하는 일이 중요하며 국어학적 맥락 속에서 이를 파악하는 작업도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이 자료를 국어학계에 소개하고 이 자료의 연구를 통해 국어사 연구에 도움을 주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