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4차 산업혁명 = A Study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View of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125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mong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as a preliminary study to explore the future special educational should continue forward in this new perio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117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in Korea. The major results were presented as follow.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have a positive effects on the special education, However,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is was low. Moreover, Special teachers learned about 4th Industrial Revolution mainly through TV and media, recognized the needs for expert education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pecia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necessary for special education but was not realistically prepared. Special teachers said that programs for speci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conclus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pecial teachers and in providing basic evidence to support special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mong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as a preliminary study to explore the future special educational should continue forward in this new perio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 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mong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as a preliminary study to explore the future special educational should continue forward in this new period.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117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in Korea. The major results were presented as follow. special educationa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have a positive effects on the special education, However,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is was low. Moreover, Special teachers learned about 4th Industrial Revolution mainly through TV and media, recognized the needs for expert education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pecia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necessary for special education but was not realistically prepared. Special teachers said that programs for special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conclus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pecial teachers and in providing basic evidence to support special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특수교육 분야가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찾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대구 경북에재직 중인 특수교사 117명이 설문지 조사에 참여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특수교사들은‘4차 산업혁명’이 특수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인식하였으나 교육적 환경은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특수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을 TV와 같은 매체를 통해 알게 되었고, 4차 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특수교사의 역할과 역량이 더욱 커진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특수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 기반 특수교육이 유용할 것이며, 이를 위한 특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이 요구된다고 인식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바라보는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이해하고특수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적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특수교육 분야가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찾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대...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에 특수교육 분야가 무엇을 준비하고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찾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대구 경북에재직 중인 특수교사 117명이 설문지 조사에 참여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특수교사들은‘4차 산업혁명’이 특수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인식하였으나 교육적 환경은 준비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특수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을 TV와 같은 매체를 통해 알게 되었고, 4차 산업혁명시대에 요구되는 특수교사의 역할과 역량이 더욱 커진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특수교사들은 4차 산업혁명 기반 특수교육이 유용할 것이며, 이를 위한 특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이 요구된다고 인식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바라보는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을 이해하고특수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적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경, "특수교육에 적용된 증강현실 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127-146, 2017

      2 박남기,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패러다임 탐색" 한국교육학회 55 (55): 211-240, 2017

      3 남희은,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4차 산업혁명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8 (38): 237-266, 2017

      4 한경근,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시대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제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47-65, 2017

      5 김보현, "유아 연령에 따른 ICT활용교육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운영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87-314, 2017

      6 강정호,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보조 로봇의 개발" 한국센서학회 16 (16): 286-293, 2007

      7 김창걸, "로봇 원격지원 시스템의 활용 방안연구 : 특수교육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95-110, 2012

      8 김진희, "또래로봇을 활용한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57-89, 2014

      9 이연승, "누리과정에서 STEAM(융합인재교육)의 방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327-341, 2014

      10 Yang, Y. R.,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improves community ambula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8 (28): 201-206, 2008

      1 김유경, "특수교육에 적용된 증강현실 기술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127-146, 2017

      2 박남기,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패러다임 탐색" 한국교육학회 55 (55): 211-240, 2017

      3 남희은,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4차 산업혁명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8 (38): 237-266, 2017

      4 한경근, "인공지능 테크놀로지 시대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제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47-65, 2017

      5 김보현, "유아 연령에 따른 ICT활용교육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및 운영실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287-314, 2017

      6 강정호,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행보조 로봇의 개발" 한국센서학회 16 (16): 286-293, 2007

      7 김창걸, "로봇 원격지원 시스템의 활용 방안연구 : 특수교육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95-110, 2012

      8 김진희, "또래로봇을 활용한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아동의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57-89, 2014

      9 이연승, "누리과정에서 STEAM(융합인재교육)의 방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327-341, 2014

      10 Yang, Y. R., "Virtual reality-based training improves community ambulation in individuals with stroke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8 (28): 201-206, 2008

      11 Heo, S. J., "The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 system in the period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20-37, 2017

      12 Shin, H. K.,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volution of disabled education"

      13 Jung, K. J.,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mployment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Challenges and responding strategies"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KEAD 2017

      14 Schwab, K.,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rld Economic Forum 2016

      15 Kwak, J. B., "Response of the welfare zone of the disabled to the cha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16 Ab Aziz, N. A.,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ase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via cloud computing: Its advantages" 577-581, 2012

      17 RI Korea., "Invent innovation for everyone, ask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15-25, 2017

      18 Tanuwidjaja, E., "Chroma: A wearable augmented-reality solution for color blindness" 799-810, 2014

      19 Jang, H. M.,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ture society and the future education of special teachers" Daegu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an Academic Presentation 293-, 2018

      20 정경희,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보조공학사들의 인식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373-393, 2018

      21 임종헌,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4 (44): 5-32, 2017

      22 백승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3-51, 2017

      23 송윤나, "4차 산업혁명 기반 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교사교육 요구도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65-90,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9-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Rehabilitation of Persons Disabilies -> Rehabilitation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with RI Korea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Mycobiology -> 재활복지
      외국어명 : Mycobiology ->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 1.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7 1.53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