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 간호대학생의 유머감각과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humor, stress and depression in the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78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유머감각, 스트레스 및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유머감각,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K시 소재의 대학교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유머감각, 스트레스 및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유머감각,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K시 소재의 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로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유머감각은 $79.63{\pm}8.96$, 생활차원 스트레스는 $2.70{\pm}0.62$, 임상스트레스는 $2.52{\pm}0.67$, 그리고 우울은 $17.05{\pm}8.90$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유머감각은 생활스트레스 (r=-.237, p=.001), 임상스트레스 (r=-.182, p=.007), 그리고 우울 (r=-.238, p<.001)에서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 대학생의 유머감각이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humor, stress, and depression in the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0th of June to the 30th of June in 2015 from 227 nursing students in K university. The collect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humor, stress, and depression in the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0th of June to the 30th of June in 2015 from 227 nursing students in K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kruscal-walis, pearson, spearman, and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shows the sense of hum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ade (t=-3.814, p <.001) and major satisfaction (${\chi}^2=12.070$, p=.007). The sense of humo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iving stress (r=-.237, p=.001), clinical based stress (r=-.182, p=.007), and with depression (r=-.238, p<.001). This data suggests that sense of humor is relevant in reducing the living stress and clinical based stress. These findings can provid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 the ability to cope with stress and depress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지수, "한국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8 (38): 410-419, 2008

      2 이숙정, "한․일 여자 간호대학생의 음주행위와 건강증진 생활양식"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36-245, 2012

      3 임은미,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변화 및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의 장기적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6 (16): 99-121, 2009

      4 박미성, "중년여성의 유머감각, 유머대처, 스트레스 지각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성인간호학회 22 (22): 418-429, 2010

      5 박현주, "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대처방법과 임상실습 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14-23, 2010

      6 장해순,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통학회 (25) : 308-334, 2014

      7 이경임, "웃음요법이 입원 노인 환자의 통증, 우울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대한근관절건강학회 18 (18): 28-38, 2011

      8 조은아, "웃음요법이 유방암 생존자의 우울, 삶의 질, 극복력,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1 (41): 285-293, 2011

      9 정영미, "여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건강상태 및 우울관련 요인" 한국노년학회 27 (27): 71-86, 2007

      10 이순희, "대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 한국보건간호학회 26 (26): 453-464, 2012

      1 유지수, "한국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8 (38): 410-419, 2008

      2 이숙정, "한․일 여자 간호대학생의 음주행위와 건강증진 생활양식"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36-245, 2012

      3 임은미,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변화 및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의 장기적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6 (16): 99-121, 2009

      4 박미성, "중년여성의 유머감각, 유머대처, 스트레스 지각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성인간호학회 22 (22): 418-429, 2010

      5 박현주, "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대처방법과 임상실습 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14-23, 2010

      6 장해순,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통학회 (25) : 308-334, 2014

      7 이경임, "웃음요법이 입원 노인 환자의 통증, 우울 및 수면에 미치는 영향" 대한근관절건강학회 18 (18): 28-38, 2011

      8 조은아, "웃음요법이 유방암 생존자의 우울, 삶의 질, 극복력,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1 (41): 285-293, 2011

      9 정영미, "여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건강상태 및 우울관련 요인" 한국노년학회 27 (27): 71-86, 2007

      10 이순희, "대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 한국보건간호학회 26 (26): 453-464, 2012

      11 홍은영,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유머의 매개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558-568, 2014

      12 하주영, "대학생의 음주문제, 스트레스, 우울, 자아존중감" 성인간호학회 22 (22): 182-189, 2010

      13 공마리아,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P시에 소재한 대학을 중심으로 -" 한국재활심리학회 19 (19): 1-22, 2012

      14 박준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29 (29): 611-629, 2010

      15 문대성, "대학 교양체육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7 (7): 135-144, 2012

      16 이재선, "노인의 유머감각이 자아존중감 및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8 (18): 15-22, 2009

      17 김영선, "노인에 대한 일회성 웃음요법이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18 (18): 269-277, 2009

      18 조성경, "남·녀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 22 (22): 53-74, 2014

      19 강현철, "간호학 연구에서 효과크기의 사용에 대한 고찰" 한국간호과학회 45 (45): 641-649, 2015

      20 김경윤,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과의 관계"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7 (27): 451-461, 2016

      21 손영주, "간호대학생이 대학 생활 중 겪게 되는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련성" 대한스트레스학회 18 (18): 345-351, 2010

      22 박현정,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도 및 간호 전문직관의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417-426, 2014

      23 정선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재활간호학회 16 (16): 47-54, 2013

      24 김영선,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모형"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6 (26): 1439-1452, 2015

      25 Johnson, P., "The use of humor and its influences on spirituality and coping in breast cancer survivors" 29 : 691-695, 2002

      26 Billings, A. G.,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4 : 139-157, 1981

      27 Lee, E. K., "The relationships among stress,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Kangwon University 2012

      28 Son, H. S.,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sense of humor and empowerment" Ajou University 2008

      29 Choi, S. K., "The relation on guard major college students’ sense of values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 and satisfaction"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2012

      30 Radloff, L. 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1 : 385-401, 1977

      31 Sveback, S., "Revised questionnaire on the sense of humor" 15 : 328-331, 1974

      32 Chon, K. K.,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11 : 65-76, 1992

      33 Cann, A., "Perceived personality associations with differences in sense of humor : Stereotypes of hypothetical others with high or low senses of humor" 14 : 117-130, 2001

      34 Kurlowiez, N. H., "Nursing standard or practice protocol : Depression in elderly patients" 18 : 192-199, 1997

      35 Kang, S. J., "Lifestyle and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ion of Korean women" Ewha womens university 2002

      36 Seanna, C., "Humor as a facilitative style in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s for nursing students" 27 : 286-292, 2007

      37 Hassed, C., "How humour keeps you well" 30 : 8-25, 2001

      38 Shiaki, N., "Effects of coping styles and stressful life event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japanese nursing students : A longitudinal study" 15 : 198-204, 2009

      39 Thorson, J.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sense of humor scale" 49 : 13-23, 1993

      40 Timmins, F., "Aspects of nurse education programmes that frequently cause stress to nursing students-fact-finding sample survey" 22 : 203-211, 2002

      41 Hwang, M. S., "A study the humor sense and coping with stress" 12 : 265-294, 1993

      42 Kim, W. C., "A study of self efficacy, depression, str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s in older adults" Daegu Hanny University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0.91 0.911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