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화장품 구매 행동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Awareness and Status of Cosmetics Purchasers through Commerce L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66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화장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전국 20∼40대 성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라이브 커머스에 대한 시청 행동을 조사하고,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화장품 구매 행동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323명으로서 구글폼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브 커머스 시청 행동을 분석한 결과, 라이브 커머스의 주 이용채널은 네이버 쇼핑라이브로 조사되었으며 라이브 커머스에서 가장 많이 시청하는 상품군은 이·미용 상품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브 커머스에서의 화장품 구매 빈도를 알아본 결과, 라이브 커머스에서 화장품을 한 달에 1회 구매한다는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월평균 화장품 구매비용에 있어서는 비용을 적게 지출하는 여성일수록 라이브 커머스에서 화장품을 구입하는 빈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라이브 커머스에서 화장품을 구매하는 이유로는 화장품의 구성과 가격이 좋아서 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자세한 상품 설명을 들을 수 있어서 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화장품의 구매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불만족 또는 매우불만족 이라는 응답은 1.9%로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라이브 커머스에서 제공되기를 희망하는 방송내용으로는 제품의 시연과 유사제품에 대한 비교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화장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전국 20∼40대 성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라이브 커머스에 대한 시청 행동을 조사하고,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화장품 구매 행...

      본 연구는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화장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전국 20∼40대 성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라이브 커머스에 대한 시청 행동을 조사하고,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화장품 구매 행동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323명으로서 구글폼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브 커머스 시청 행동을 분석한 결과, 라이브 커머스의 주 이용채널은 네이버 쇼핑라이브로 조사되었으며 라이브 커머스에서 가장 많이 시청하는 상품군은 이·미용 상품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브 커머스에서의 화장품 구매 빈도를 알아본 결과, 라이브 커머스에서 화장품을 한 달에 1회 구매한다는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월평균 화장품 구매비용에 있어서는 비용을 적게 지출하는 여성일수록 라이브 커머스에서 화장품을 구입하는 빈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라이브 커머스에서 화장품을 구매하는 이유로는 화장품의 구성과 가격이 좋아서 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자세한 상품 설명을 들을 수 있어서 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라이브 커머스를 통한 화장품의 구매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불만족 또는 매우불만족 이라는 응답은 1.9%로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라이브 커머스에서 제공되기를 희망하는 방송내용으로는 제품의 시연과 유사제품에 대한 비교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iewing behavior of live commerce of adult women in their 20s and 40s across the country who have purchased cosmetics through live commerce, and analyzed the behavior and satisfaction level of purchasing cosmetics through live commer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live commerce viewing behavior, the main channel of live commerce was “Naver Shopping Live”, and the most frequently viewed product group in live commerce was beauty products. Second, according to a survey of the frequency of purchasing cosmetics at Live Commerce, most women buy cosmetics once a month, and the lower the average monthly cost of purchasing cosmetics, the lower the frequency of purchasing cosmetics at Live Commerce. Third, most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 reason for purchasing cosmetics at Live Commerce was because the composition and price of cosmetics were good, and also because they could be informed with detailed product explanations. Fourth, a survey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purchasing cosmetics through Live Commerce showed only 1.9 percent who have answered dissatisfied or very dissatisfied, and the content responders wanted to be included in the commerce was product demonstrations and comparative information on similar produc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marketing materials to promote the growth of the live commerce market and smooth entry into live commerce by brand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iewing behavior of live commerce of adult women in their 20s and 40s across the country who have purchased cosmetics through live commerce, and analyzed the behavior and satisfaction level of purchasing cosmetics through 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iewing behavior of live commerce of adult women in their 20s and 40s across the country who have purchased cosmetics through live commerce, and analyzed the behavior and satisfaction level of purchasing cosmetics through live commer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n analysis of live commerce viewing behavior, the main channel of live commerce was “Naver Shopping Live”, and the most frequently viewed product group in live commerce was beauty products. Second, according to a survey of the frequency of purchasing cosmetics at Live Commerce, most women buy cosmetics once a month, and the lower the average monthly cost of purchasing cosmetics, the lower the frequency of purchasing cosmetics at Live Commerce. Third, most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 reason for purchasing cosmetics at Live Commerce was because the composition and price of cosmetics were good, and also because they could be informed with detailed product explanations. Fourth, a survey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purchasing cosmetics through Live Commerce showed only 1.9 percent who have answered dissatisfied or very dissatisfied, and the content responders wanted to be included in the commerce was product demonstrations and comparative information on similar product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marketing materials to promote the growth of the live commerce market and smooth entry into live commerce by bran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지혜, "화장품 브랜드, 제조사, 광고모델 인지도가 제품과온라인 사용 후기 신뢰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2 이지현, "인터넷 블로그 화장품 후기가 소비자 구매행동에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6

      3 이윤아, "온택트(Ontact) 시대의 신성장 기회 라이브커머스"

      4 이해, "온라인 유통 화장품의 인터넷 후기가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5

      5 조윤희, "실시간 인터넷 1인 방송의 상호작용성이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실재감,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6 송서설, "상호작용성과 관계품질이 라이브 스트리밍 소셜커머스에서 중국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실재감과 몰입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수원대학교 대학원 2020

      7 최세정, "방송트렌드&인사이트, 23"

      8 워너비인터네셔널, "라이브커머스:언택트시대 라이브 쇼핑"

      9 MK증권, "라이브커머스: A Whole New World"

      10 뷰티누리, "라이브 커머스, 온택트 화장품 ‘신성장’ 기회 부상"

      11 김한경, "라이브 커머스" 3-, 2020

      12 한경경제용어사전, "검색어:라이브 커머스"

      13 "https://www.beautynury.com/news/view/90744/cat/10"

      14 "https://dic.hankyung.com/economy/view/?seq=14679"

      15 "https://blog.naver.com/wannabeint/222147831258"

      16 "http://vip.mk.co.kr/news/view/21/6/48239.html"

      17 이설미, "TV홈쇼핑 채널을 통한 화장품 구매시 구매행태와 위험지각요인" 성신여자대학교 생애복지대학원 2012

      18 박진희, "TV홈쇼핑 쇼 호스트의 특성이 성인여성의 기초화장품 구매 후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9

      19 권미란, "TV홈쇼핑 방송에서의 화장품 구매 촉진 요인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2018

      20 박혜진, "TV 홈쇼핑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구매행동과 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16

      21 이상옥, "E-커머스의 스마트미디어 플랫폼 확장에 관한 연구" 10 (10): 17-37, 2017

      22 통계청, "2019년 11월 온라인쇼핑 동향"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