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 운영주체(예, 사회복지법인)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조직들이 그룹화 혹은 집단화되는 현상을 기업조직에서의 체인화 개념을 적용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영향력을 실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6696
200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 운영주체(예, 사회복지법인)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조직들이 그룹화 혹은 집단화되는 현상을 기업조직에서의 체인화 개념을 적용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영향력을 실증...
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 운영주체(예, 사회복지법인)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조직들이 그룹화 혹은 집단화되는 현상을 기업조직에서의 체인화 개념을 적용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조직들의 그룹화 현상은 사회복지부문의 양적성장과 함께 쉽게 목격되지만 이러한 현상을 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 어떻게 이해해야 되는지와 향후 사회복지체계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에 대해 논의 및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실태파악조차 되어있지 않은 시점에서 사회복지조직의 행태를 연구한다는 측면과 사회복지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는 차원에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조직의 그룹화 혹은 체인화 현상은 단일 운영주체가 다 지역에 다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조직을 운영하면서 어느 정도의 인사, 재정, 관리에 영향을 주는 경우로 편의상의 규정을 할 수 있다. 사회복지관의 경우 전국적으로 320여개소가 운영되면서 최소한 30% 정도는 이러한 단일 운영주체의 영향력 아래 놓여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조직이론의 관점에서 한편으로는 전문화, 표준화를 통해 서비스 질의 향상과 비용절감의 효과를 낳을 것으로 기대되기도 한다. 반면에 서비스의 독점 혹은 과점에 의해 역기능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지적되기도 한다. 따라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우리 나라의 경우 어떤 위치에 놓여있는가를 조명하고 이로부터 사회복지조직의 발전을 위한 함의를 얻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사회복지조직의 그룹화(체인화)라는 개념을 외국의 사례를 통해 조명하고 실태조사를 하여 함의를 얻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업조직의 체인화 개념을 사회복지조직에도 적용할 수 있는가와, 적용할 수 있다면 어떤 개념적 틀을 사용할 것인가를 영미의 경우를 중심으로 검토할 것이다. 개념적 검토는 실태조사의 방향을 좌우할 것이며, 조사내용에는 최소한 전국에 산재한 320여개소의 사회복지관과 그 운영주체(법인)를 포함하고자 한다.
최종 분석에서는 조사내용을 근거로 사회복지조직의 그룹화 특성을 규명하고, 그룹화된 조직들이 상대적인 장점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인 검토가 시도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사회복지체계의 건강성을 확보하는데 주요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학술적으로는 조직의 행태를 연구한다는 관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