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시기에 발행된 음양 이중력은 자주독립국가의 건설을 지향하면서도 그와 같은 과제를 여전히 전통 동아시아의 중화주의적 세계관 속에서 해결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되어 나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0526
200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한제국시기에 발행된 음양 이중력은 자주독립국가의 건설을 지향하면서도 그와 같은 과제를 여전히 전통 동아시아의 중화주의적 세계관 속에서 해결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되어 나타...
대한제국시기에 발행된 음양 이중력은 자주독립국가의 건설을 지향하면서도 그와 같은 과제를 여전히 전통 동아시아의 중화주의적 세계관 속에서 해결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되어 나타난 것이다. 음양 이중력의 출현은 우연의 산물이 아니라, 서구 태양력이 지닌 근대적 요소를 의도적으로 제약하고자 했던 정부의 의지에 의하여 고안된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the government pursued national independence, it took efforts to achieve the task within the Confucianism-centered worldview of traditional East Asia. The appearance of traditional-modern dual calendar was not a result of contingency but a produ...
While the government pursued national independence, it took efforts to achieve the task within the Confucianism-centered worldview of traditional East Asia. The appearance of traditional-modern dual calendar was not a result of contingency but a product of invention by the government that intentionally tried to restrict the modern factors included in western solar calendar.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성의 형성과 종교지형의 변동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modernity and the transformation of religious terrain in modern Korean society. 1 / 강돈구, 고건호, 김일권, 박미라, 송현주, 이욱, 이상훈, 이용범, ...
<근대성의 형성과 종교지형의 변동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modernity and the transformation of religious terrain in modern Korean society. 1 / 강돈구, 고건호, 김일권, 박미라, 송현주, 이욱, 이상훈, 이용범, 이진구, 임현수, 조현범, 주영하(총서사항 : 한국종교학총서 1)>의 부분자료임.
국문 초록 (Abstract)
1.머리말 2.개항과 開國紀元의 사용 3.을미사변과 태양력의 도입 4.1896년 대조선 개국 오백오년 세차 병신 시헌력의 성격과 발행 배경 5.대한제국과 음양 이중력 6. 맺음말
1.머리말
2.개항과 開國紀元의 사용
3.을미사변과 태양력의 도입
4.1896년 대조선 개국 오백오년 세차 병신 시헌력의 성격과 발행 배경
5.대한제국과 음양 이중력
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