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서 현미경을 이용한 추간판 절제술  :  5년 추시 결과 A 5-years follow up = Results of microcopic discectomy in lumbar disc herni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97236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저자들은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받고 고식적 추간판 절제술과 현미경을 이용한 추간판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전후 임상결과를 파악하고 현미경을 이용한 수술의 장기 추시결과와 효율성을 알아보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받고 고식적 방법 및 현미경을 이용한 방법으로 추간판 절제술을 시행하고 5년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각각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관찰군과 비교군으로 설정하고 환자의 연령 및 성별분포, 발병 원인과 증상 및 진단과 이환부위에 대하여 분석하고 임상적 결과를 김의 방법으로 평가하고 paired T test를 이용한 통계학적 검증을 하였다.
      결과 : 수술시간은 고식적 수술의 경우 평균 117분, 현미경을 이용한 경우 98분이 걸렸으며 직업복귀 까지는 고식적 추간판 절제술시 9.6주, 현미경을 이용한 경우 5.9주가 소요되었다. 임상평가 결과는 술후 1년이상 추시상 고식적 방법에서 양호이상이 76.9%이었으며 현미경을 이용한 경우는 양호이상이 84.6%를 보였다. 5년이상 추시상 고식적인 방법에서 60.0%와 현미경을 이용한 경우 63.3%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현미경을 이용한 요추 추간판 절제술시 정상조직에 대한 최소한의 손상과 신경근의 명료한 구분으로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되며 장기적 추시결과에서도 고식적 수술방법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수술적 치료의 한 방법으로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되었다.
      번역하기

      목적 : 저자들은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받고 고식적 추간판 절제술과 현미경을 이용한 추간판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전후 임상결과를 파악하고 현미경을 이용한 수술...

      목적 : 저자들은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받고 고식적 추간판 절제술과 현미경을 이용한 추간판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전후 임상결과를 파악하고 현미경을 이용한 수술의 장기 추시결과와 효율성을 알아보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진단받고 고식적 방법 및 현미경을 이용한 방법으로 추간판 절제술을 시행하고 5년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각각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관찰군과 비교군으로 설정하고 환자의 연령 및 성별분포, 발병 원인과 증상 및 진단과 이환부위에 대하여 분석하고 임상적 결과를 김의 방법으로 평가하고 paired T test를 이용한 통계학적 검증을 하였다.
      결과 : 수술시간은 고식적 수술의 경우 평균 117분, 현미경을 이용한 경우 98분이 걸렸으며 직업복귀 까지는 고식적 추간판 절제술시 9.6주, 현미경을 이용한 경우 5.9주가 소요되었다. 임상평가 결과는 술후 1년이상 추시상 고식적 방법에서 양호이상이 76.9%이었으며 현미경을 이용한 경우는 양호이상이 84.6%를 보였다. 5년이상 추시상 고식적인 방법에서 60.0%와 현미경을 이용한 경우 63.3%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현미경을 이용한 요추 추간판 절제술시 정상조직에 대한 최소한의 손상과 신경근의 명료한 구분으로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되며 장기적 추시결과에서도 고식적 수술방법과 유사한 결과를 보여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수술적 치료의 한 방법으로 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n attempt to determine if there was any clnical benefit of microdiscectomy(MD) over standard discectomy(SD). They were all followed up by an impartial observer at 1 year and 5 years.
      Materials and Methods : All patients were operated on by the same surgeon by either method. We evaluate retrospectively 30 cases of microdiscectomy and 30 cases of microdiscectomy and 30 cases of standard discectomy using data derived from a questionnaire and chart review from January 1. 1988 to December 31. 1993. The operative results were analysed with Kim's creteria and that clinical results were statistically used to Paired two-tailed T test.
      Results : 1)Mean operating time was about 117 minutes in the standard discectomy, while 98 minutes in the microdiscectomy. 2)Mean time to returm to work was about 9.6 weeks in the standard discectomy, 5.9 weeks in the microdiscectomy. 3)In initial and 1 year follow up, microdiscectomy was superior to the standard discectomy but in 5 years follow up, the two procedures have a similar outcome.
      Conclusion : The advantage of microdiscectomy was more safe than standard discectomy, because it was mahinfied vision and brilliant illumination, precise identification of structures in deep fields(including nerve root and its related structures), a marked adantage to dissect the adhere nerve root to its surroundings structures, its capacity to preserve the integrity of normal tissue, and meticulous hemostasis. From this analysis, we conclude that microdiscetomy represents a small but significant refinement of standard discectomy
      번역하기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n attempt to determine if there was any clnical benefit of microdiscectomy(MD) over standard discectomy(SD). They were all followed up by an impartial observer at 1 year and 5 years. Materials and Methods : All ...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an attempt to determine if there was any clnical benefit of microdiscectomy(MD) over standard discectomy(SD). They were all followed up by an impartial observer at 1 year and 5 years.
      Materials and Methods : All patients were operated on by the same surgeon by either method. We evaluate retrospectively 30 cases of microdiscectomy and 30 cases of microdiscectomy and 30 cases of standard discectomy using data derived from a questionnaire and chart review from January 1. 1988 to December 31. 1993. The operative results were analysed with Kim's creteria and that clinical results were statistically used to Paired two-tailed T test.
      Results : 1)Mean operating time was about 117 minutes in the standard discectomy, while 98 minutes in the microdiscectomy. 2)Mean time to returm to work was about 9.6 weeks in the standard discectomy, 5.9 weeks in the microdiscectomy. 3)In initial and 1 year follow up, microdiscectomy was superior to the standard discectomy but in 5 years follow up, the two procedures have a similar outcome.
      Conclusion : The advantage of microdiscectomy was more safe than standard discectomy, because it was mahinfied vision and brilliant illumination, precise identification of structures in deep fields(including nerve root and its related structures), a marked adantage to dissect the adhere nerve root to its surroundings structures, its capacity to preserve the integrity of normal tissue, and meticulous hemostasis. From this analysis, we conclude that microdiscetomy represents a small but significant refinement of standard discectom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