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김정은 시대 북한태권도의 변화와 지속성 연구 = The changes and sustainability of the 'North Korean Taekwondo policy' in Kim Jong-un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75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s and sustainability of the 'North Korean Taekwondo policy' in Kim Jong-un Era. This paper analyzed the primary source material that has been published from North Korea. First, North Korean Taekwondo has been adopted in the main events of the North Korean sports in 2015. Secondly, ethnic sports Taekwondo other than sports in North Korea, Defense physical education, has been used variously in such inter-Korean exchange events. Third, Kim Ilsung in 1992 was instructed to science and life of the Taekwondo. Following the time of Kim Jongil, also now of Kim Jong-un time it has led to major policy. In particular, Kim Jong-un has instructed the Taekwondo nationwide. Therefore, both North and Sout Korea must be prepared for the possibility of their Taekwondo exchange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s and sustainability of the 'North Korean Taekwondo policy' in Kim Jong-un Era. This paper analyzed the primary source material that has been published from North Korea. First, North Korean Taekwondo has b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s and sustainability of the 'North Korean Taekwondo policy' in Kim Jong-un Era. This paper analyzed the primary source material that has been published from North Korea. First, North Korean Taekwondo has been adopted in the main events of the North Korean sports in 2015. Secondly, ethnic sports Taekwondo other than sports in North Korea, Defense physical education, has been used variously in such inter-Korean exchange events. Third, Kim Ilsung in 1992 was instructed to science and life of the Taekwondo. Following the time of Kim Jongil, also now of Kim Jong-un time it has led to major policy. In particular, Kim Jong-un has instructed the Taekwondo nationwide. Therefore, both North and Sout Korea must be prepared for the possibility of their Taekwondo exchange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 북한태권도의 변화와 지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1991~2015년 북한 언론보도의 체육과 태권도 관련 내용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것은 첫째, 북한체육의 핵심종목에 태권도 종목이 새로 추가된 것이다. 둘째, 북한에서 태권도는 스포츠경기 이외에도 민족체육, 국방체육, 남북교류 종목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점이다. 셋째, 1992년 김일성의 태권도의 과학화와 생활화 방침이 김정일에 이어 김정은 시대에도 여전히 주요 원칙으로 유지되고 있는 점이다. 이는 구체적으로 스포츠경기를 위한 ITF태권도 및 생활체육을 위한 건강태권도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있다. 특히 2015년 김정은의 ‘온 나라를 태권도화’ 선언 이후 북한에서 태권도 종목이 더욱 중요시 되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 남북관계에서도 태권도 교류에 적극적일 가능성이 있어서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 북한태권도의 변화와 지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1991~2015년 북한 언론보도의 체육과 태권도 관련 내용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정...

      이 연구는 김정은 시대 북한태권도의 변화와 지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1991~2015년 북한 언론보도의 체육과 태권도 관련 내용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것은 첫째, 북한체육의 핵심종목에 태권도 종목이 새로 추가된 것이다. 둘째, 북한에서 태권도는 스포츠경기 이외에도 민족체육, 국방체육, 남북교류 종목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점이다. 셋째, 1992년 김일성의 태권도의 과학화와 생활화 방침이 김정일에 이어 김정은 시대에도 여전히 주요 원칙으로 유지되고 있는 점이다. 이는 구체적으로 스포츠경기를 위한 ITF태권도 및 생활체육을 위한 건강태권도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있다. 특히 2015년 김정은의 ‘온 나라를 태권도화’ 선언 이후 북한에서 태권도 종목이 더욱 중요시 되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 남북관계에서도 태권도 교류에 적극적일 가능성이 있어서 이에 대한 준비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홍구, "한국사회의 제 문제와 태권도의 기여 가능성 제고" 대한무도학회 12 (12): 235-247, 2010

      2 조선태권도위원회, "태권도호신술" 조선화보사 2004

      3 통일부, "주간 북한동향, 제1호(1991.1.1.~1.5)~제1252호(2015.4.11.~ 4.17)" 북한정보포털

      4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년감(1949~2014)" 조선중앙통신사 1949

      5 최윤규, "전라북도 태권도 위상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전북연구원 2016

      6 로동신문, "온 나라에 체육열풍을 더욱 세차게 일으키자-선군체육열성자회의 진행, 평양 3월 30일발 조선중앙통신"

      7 2.16예술교육출판사, "예술교육" 2.16예술교육출판사 18-, 2002

      8 김경호, "역동적 남, 절제된 북… ‘태권도 통일’ 꿈꾸며 하나가 되다" 경향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9 신현욱, "북한의 무형문화유산 법제 도입 현황과 무형문화유산 분야 남북 교류 협력 방안" 한국민요학회 41 : 127-151, 2014

      10 홍성보, "북한 태권도의 특성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6

      1 이홍구, "한국사회의 제 문제와 태권도의 기여 가능성 제고" 대한무도학회 12 (12): 235-247, 2010

      2 조선태권도위원회, "태권도호신술" 조선화보사 2004

      3 통일부, "주간 북한동향, 제1호(1991.1.1.~1.5)~제1252호(2015.4.11.~ 4.17)" 북한정보포털

      4 조선중앙통신사, "조선중앙년감(1949~2014)" 조선중앙통신사 1949

      5 최윤규, "전라북도 태권도 위상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전북연구원 2016

      6 로동신문, "온 나라에 체육열풍을 더욱 세차게 일으키자-선군체육열성자회의 진행, 평양 3월 30일발 조선중앙통신"

      7 2.16예술교육출판사, "예술교육" 2.16예술교육출판사 18-, 2002

      8 김경호, "역동적 남, 절제된 북… ‘태권도 통일’ 꿈꾸며 하나가 되다" 경향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9 신현욱, "북한의 무형문화유산 법제 도입 현황과 무형문화유산 분야 남북 교류 협력 방안" 한국민요학회 41 : 127-151, 2014

      10 홍성보, "북한 태권도의 특성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6

      11 홍성보, "북한 선군체육의 기원 연구: 1945~1970년" 도서출판 선인 2015

      12 KBS, "북 태권도, WTF·ITF 교차출전 ‘올림픽 출전 가능'" KBS, 한국언론진흥재단

      13 김정은, "백두의 혁명정신으로 체육강국건설에서 새로운 전성기를 열어 나가자-제7차 전국체육인대회 참가자들에게 보낸 서한. 3월 25일"

      14 장세길, "무형문화유산의 전쟁: 전북의 실태와 과제" 전북발전연구원 90 : 2012

      15 김병철, "무형문화유산 정책변화와 강원도" 강원발전연구원 (377) : 2014

      16 장권, "남북한 태권도 연무시범에 대한 비교 분석" 한국체육학회 42 (42): 45-58, 2003

      17 박영옥, "남북한 체육환경분석 및 교류확대 방안"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2001

      18 홍성보, "남북태권도의 교류와 융합에 관한 연구" 한국무예학회 11 (11): 83-115, 2017

      19 맹찬섭, "남북태권도 교류의 실천방안"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20 신창윤, "남북궁사 ‘화합의 밀당’ 퍼펙트 겨냥" 경인일보, 한국언론진흥재단

      21 김경지, "남북 체육교류 강화를 대비한 태권도 활성화 방안" 한국스포츠리서치 15 (15): 303-314, 2004

      22 박웅기, "남·북한의 태권도 시범프로그램 비교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2

      23 전만중, "남·북한 태권도의 비교 분석" 12 : 56-67, 2003

      24 이봉, "남 · 북 태권도 교류의 추진 정책 방안"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7 (7): -15, 2002

      25 로동신문, "나라의 체육사업발전에서 새로운 전환을 일으키자-전국체육인열성자회의 진행, 평양 3월 29일발 조선중앙통신"

      26 김정일, "김정일선집 8" 조선로동당출판사 1998

      27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24" 조선로동당출판사 1983

      28 조선백과사전편찬위원회, "광명백과사전 20권" 백과사전출판사 2008

      29 조정훈, "北, 아리랑, 김장, 씨름 등 국가무형문화유산 등록"

      30 심현희, "北 주도 국제태권도연맹 새 총재 리용선 선출" 서울신문, 한국언론진흥재단

      31 김태일, "WTF,ITF 태권도의 이질화 극복과 남,북 태권도의 통합방안" 대한무도학회 10 (10): 89-102,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