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가 순회교육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요구 : 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74806

      • 저자
      • 발행사항

        공주 :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기타서명

        The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of Beginning Teachers Working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Itinerant Education : Focusing on Jeollabuk-do Province

      • 형태사항

        ⅱ, 69장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홍재영
        참고문헌: 60-63장

      • UCI식별코드

        I804:44004-000000031669

      • 소장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의 순회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요구를 분석하여 순회교육 운영의 내실화와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 순회교육을 실시하는 초임교사의 역량 강화와 처우 개선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고, 눈덩이 표집을 통하여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5명의 초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순회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임교사들의 경험을 면밀히 들여다보기 위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3차 코딩 과정을 거쳐 귀납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 초임교사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부족한 전문성: 막막해요.’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관계에서 오는 심리적 갈등: 부담스러워요.’를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척박한 자기 계발의 길: 궁금해요.’의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열악한 환경 및 행·재정적 지원: 지쳐요.’를 경험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성공적인 순회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은 지원요구를 하였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전문성 신장을 위한 ‘성장하는 교사: 꽃을 피워요.’를 요구하였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협력과 소통이 있는 학교: 같이 걸어가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효과적인 행·재정적 지원: 집중하고 싶어요.’에 대한 지원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초임교사들의 순회교육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과 초임교사가 전문성 있는 순회교사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의 순회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요구를 분석하여 순회교육 운영의 내실화와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 순회교육을 실시하는 초임교사의 역량 강화와 ...

      이 연구는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의 순회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요구를 분석하여 순회교육 운영의 내실화와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 순회교육을 실시하는 초임교사의 역량 강화와 처우 개선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고, 눈덩이 표집을 통하여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5명의 초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순회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초임교사들의 경험을 면밀히 들여다보기 위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3차 코딩 과정을 거쳐 귀납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 초임교사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부족한 전문성: 막막해요.’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관계에서 오는 심리적 갈등: 부담스러워요.’를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척박한 자기 계발의 길: 궁금해요.’의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열악한 환경 및 행·재정적 지원: 지쳐요.’를 경험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성공적인 순회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은 지원요구를 하였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전문성 신장을 위한 ‘성장하는 교사: 꽃을 피워요.’를 요구하였다. 둘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협력과 소통이 있는 학교: 같이 걸어가요.’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 초임교사는 ‘효과적인 행·재정적 지원: 집중하고 싶어요.’에 대한 지원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초임교사들의 순회교육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과 초임교사가 전문성 있는 순회교사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of beginning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during itinerant education to suggest reinforcement and development measures of itinerant education operation and also provide a basi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beginning teachers in itinerant education and improve the treatment of teachers.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applied and snowball sampling was conducted to target 5 beginning teacher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is study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to closely examine the experiences of beginning teachers of itinerant educ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relevant data were gath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inductive analysis method through the 3rd coding process.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beginning teachers confronted the following challenges. First,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onfronted 'a lack of expertise: not knowing what to do.' Second,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experienced 'psychological conflicts because of relationships: feel burdened.' Third,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expressed challenges because of 'the barren road for self-development: curiosity.' Fourth,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aced poor environments and weak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feel exhausted.' In addition, they had the following support needs to ensure successful itinerant education. First,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required 'growing teachers: blooming flowers' for the growth in expertise. Second,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required a 'collaborative and interactive school: walk together.' Third,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had support needs about 'effective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a desire to concentrate.'
      The study results can be applied as the base data of policy support plans for the itinerant education of the beginning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also examine the measures required for the beginning teachers to develop into itinerant teach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of beginning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during itinerant education to suggest reinforcement and development measures of itinerant education operation and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of beginning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during itinerant education to suggest reinforcement and development measures of itinerant education operation and also provide a basi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beginning teachers in itinerant education and improve the treatment of teachers.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applied and snowball sampling was conducted to target 5 beginning teacher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is study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to closely examine the experiences of beginning teachers of itinerant educ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relevant data were gath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inductive analysis method through the 3rd coding process.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beginning teachers confronted the following challenges. First,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onfronted 'a lack of expertise: not knowing what to do.' Second,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experienced 'psychological conflicts because of relationships: feel burdened.' Third,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expressed challenges because of 'the barren road for self-development: curiosity.' Fourth,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aced poor environments and weak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feel exhausted.' In addition, they had the following support needs to ensure successful itinerant education. First,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required 'growing teachers: blooming flowers' for the growth in expertise. Second,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required a 'collaborative and interactive school: walk together.' Third, the beginning teachers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had support needs about 'effective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a desire to concentrate.'
      The study results can be applied as the base data of policy support plans for the itinerant education of the beginning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also examine the measures required for the beginning teachers to develop into itinerant teac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질문 4
      • 3. 용어 정의 4
      • Ⅱ. 연구 배경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 질문 4
      • 3. 용어 정의 4
      • Ⅱ. 연구 배경 6
      • 1. 순회교육의 이해 6
      • 2. 특수교육지원센터 순회교육 운영 현황 14
      • 3. 초임교사의 특성 16
      • 4. 특수교육지원센터 순회교사 선행연구 분석 20
      • Ⅲ. 연구방법 23
      • 1. 연구 참여자 23
      • 2. 자료 수집 26
      • 3. 자료 분석 28
      • 4. 연구의 진실성 30
      • 5. 연구 윤리 31
      • Ⅳ. 결과 및 해석 32
      • 1. 초임교사가 순회교육에서 겪는 어려움 32
      • 2. 초임교사의 순회교육에 대한 지원요구 47
      • Ⅴ. 결론 및 제언 55
      • 참고문헌 60
      • ABSTRACT 64
      • 부록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