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이탈여성의 성지식 실태 연구 = A study on sex knowledge among north Korean fema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178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aimed to find out level of sex knowledge among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We asked their level of sex education, sex related knowledge, and their need for further education on birth control, and human sexuality,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All of the current female residents in Hanawon, 320 North Korean Defectors were researched with organized questionnaire. We found out that they had limited sex education, limited knowledge on birth control, STD, and human sexuality. They manifested need for further education especially on birth control, human sexuality, and how to have better sex with mal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group and marital status regarding their knowledge. We suggest that effective sex education is needed for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o prevent them to become sexually vulnerable.
      번역하기

      The study aimed to find out level of sex knowledge among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We asked their level of sex education, sex related knowledge, and their need for further education on birth control, and human sexuality, and sexually transmitted ...

      The study aimed to find out level of sex knowledge among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We asked their level of sex education, sex related knowledge, and their need for further education on birth control, and human sexuality,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All of the current female residents in Hanawon, 320 North Korean Defectors were researched with organized questionnaire. We found out that they had limited sex education, limited knowledge on birth control, STD, and human sexuality. They manifested need for further education especially on birth control, human sexuality, and how to have better sex with mal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group and marital status regarding their knowledge. We suggest that effective sex education is needed for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o prevent them to become sexually vulnerab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영, "한·중·일 청소년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및 성교육 비교분석" 강원대학교 2007

      2 우남식, "한, 미 대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 및 성행동과의 관계"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113-133, 2005

      3 "통일부 사이트"

      4 조영아, "탈북 여성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 결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17-36, 2005

      5 박애신, "청소년의 성에 대한 태도와 성지식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여고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6 김영희, "청소년의 성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7 송정아, "청소년기 성교육 프로그램 연구" 4 (4): 39-59, 1999

      8 한경희, "중등 학생의 성지식 실태와 성교육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9 장혜경, "이탈주민가족의 가족 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2001

      10 김현정, "여자 중학생의 성지식에 관한 연구" 19 (19): 1998

      1 이희영, "한·중·일 청소년의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 및 성교육 비교분석" 강원대학교 2007

      2 우남식, "한, 미 대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 및 성행동과의 관계"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113-133, 2005

      3 "통일부 사이트"

      4 조영아, "탈북 여성들의 남한 사회 적응 문제: 결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17-36, 2005

      5 박애신, "청소년의 성에 대한 태도와 성지식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여고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6 김영희, "청소년의 성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2

      7 송정아, "청소년기 성교육 프로그램 연구" 4 (4): 39-59, 1999

      8 한경희, "중등 학생의 성지식 실태와 성교육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9 장혜경, "이탈주민가족의 가족 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2001

      10 김현정, "여자 중학생의 성지식에 관한 연구" 19 (19): 1998

      11 이금순, "여성이주자의 사회적응과정 연구: 북한이탈주민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소 45 (45): 191-234, 2006

      12 정아영, "여고생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관심도에 관한 조사"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1991

      13 윤선규, "성상담원의 성에 대한 지식과 태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0

      14 이귀현, "성교육 후 일개 고등학교 여학생의 성에 관한 태도 및 지식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 일 남녀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85

      15 이소래, "사회적 지지가 남한이주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5 (5): 209-247, 1997

      16 이새롬, "북한이탈여성의 남한사회 조기 장착 방안. 민주 평화통일 자문회의 여성분과위원회 회의 자료"

      17 김태현, "북한이탈여성들의 삶 이야기: 해석학적 현상학을 통한 중국생활체험 분석" 대한가정학회 41 (41): 1-17, 2003

      18 문숙재, "북한여성들의 탈북동기와 생활실태 - 중국연변지역의 탈북여성들을 중심으로" 38 (38): 137-152, 2000

      19 제성호, "북한여성 인권의 실태와 과제" 평화문제연구소 19 (19): 177-206, 2007

      20 전우택, "북한 청소년에 대한 이해" 1 (1): 141-173, 1997

      21 허은주,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성숙 변인과 성태도 및 성지식과의 관계 연구" 2004

      22 전경숙, "대학생의 성지식, 태도, 행동실태 및 성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1 (21): 45-68, 2004

      23 김진희, "대학생의 성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3 (13): 123-138, 2008

      24 이영휘, "대학생 성지식과 성교육에 관한 연구 - 인천시 일개대학을 중심으로" 27 (27): 26-35, 1997

      25 정태연, "남한사회에서의 생활경험이 탈북자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61-82, 2004

      26 김현정, "남녀 청소년의 성지식 차이에 관한 연구" 7 (7): 161-181, 2000

      27 호선민, "남ㆍ여 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및 성행동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8 윤귀임, "남ㆍ여 고교생의 성지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1982

      29 김영란, "남ㆍ북한 여성의 사회의식에 관한 비교연구 및 수렴방안" 39 : 211-250, 2000

      30 김진영, "기혼여성의 성행동 및 성만족도와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31 최성일, "경기도 새터민 정착지원 방안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08

      32 하나원, "건강한 생활" 양동문화사 2009

      33 Eshelman, J. R., "The family: an introduction. 5th edition" Allyn and Bacon, Inc 1998

      34 Winn, S., "Knowledge about Puberty and Sexual Development in 11-16 Year-olds implications for health and sex education in schools" 21 (21): 187-202, 1995

      35 Clark, E, "Growing up fast" Department of Health 1992

      36 Lief, H., "Design and Analysis of Child Development" Basis Books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4 2.599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