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유럽 지역에서의 한국학 전문가 양성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에 대한 소고: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raining Korean Studies Professionals in Eastern Euro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69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y paper aim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raining Korean Studies professionals in Eastern Europe. This paper has two aspects. One was discussed in three aspects about the role of Korean Studies experts in the local area. In addition, discussions were held in various aspects,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fostering Korean Studies scholars in Eastern Europe, with a focus on the Babes-Bolyai University in Romania, Eőtvős Lorand University in Romania, and Sofia St. Kliment Ohridski University in Bulgaria. For this study, concretely compared situation of lectures, students, professors in Korean Studies managed by these Universities. After addressing them in depth, suggested realistic improvements of problems which these Universities have in common.
      Especially in order to complement insufficient lectures of Korean Studies in these Universities, using the CEEPUS(Central European Exchange Programme for University Studies) actively which is operated by some of Universities in Eastern Europe is one of good methods and more need to expand the CEEPUS for developing Korean Studies in this area. And for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Studies suitable for local situation, local experts in Korean Studies and experts related fields in Korea need to highly cooperate with each other.
      As a final suggestion, for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major of Korean Studies in Universities of Eastern Europe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cultivate Korean Studies professionals in Eastern Europe.
      번역하기

      My paper aim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raining Korean Studies professionals in Eastern Europe. This paper has two aspects. One was discussed in three aspects about the role of Korean Studies experts in the local area. In addition, discussions we...

      My paper aim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raining Korean Studies professionals in Eastern Europe. This paper has two aspects. One was discussed in three aspects about the role of Korean Studies experts in the local area. In addition, discussions were held in various aspects,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fostering Korean Studies scholars in Eastern Europe, with a focus on the Babes-Bolyai University in Romania, Eőtvős Lorand University in Romania, and Sofia St. Kliment Ohridski University in Bulgaria. For this study, concretely compared situation of lectures, students, professors in Korean Studies managed by these Universities. After addressing them in depth, suggested realistic improvements of problems which these Universities have in common.
      Especially in order to complement insufficient lectures of Korean Studies in these Universities, using the CEEPUS(Central European Exchange Programme for University Studies) actively which is operated by some of Universities in Eastern Europe is one of good methods and more need to expand the CEEPUS for developing Korean Studies in this area. And for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Studies suitable for local situation, local experts in Korean Studies and experts related fields in Korea need to highly cooperate with each other.
      As a final suggestion, for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major of Korean Studies in Universities of Eastern Europe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cultivate Korean Studies professionals in Eastern Euro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유럽의 지역에서 한국학 전문가의 양성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한국학 전문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지역 전문가로서의 한국학 전문가의 역할을 세 가지로 정리하여 그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1)자국에서 한국을 올바로 알리고 대변하는 역할, 2)해당지역에서 한국학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있어서의 중심적인 역할, 3)한국문화를 제대로 알리고 보급 및 확산시키는 중심적인 역할을 들 수 있겠다. 아울러 동유럽 지역에서의 한국학 전문가 양성 가능성에 대해서는 루마니아의 바베쉬-보여이대학, 헝가리의 엘테대학, 불가리아의 소피아대학에서 운영하는 한국학 전공 강좌의 실태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현재 이들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한국학 전공의 강좌 현황, 재학생 및 교수진의 상황, 한국학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과 지원 등을 구체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아울러 논의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짚어 보고, 그에 대한 현실적인 개선책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해외 대학의 한국학 전공 유지 및 발전은 각 지역 출신의 한국학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일이므로 한국정부기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뿐만 아니라 현지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도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동유럽의 지역에서 한국학 전문가의 양성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한국학 전문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지역 전문가로서의 한국학 전문가의 역할을 세 가지...

      본 연구는 동유럽의 지역에서 한국학 전문가의 양성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한국학 전문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지역 전문가로서의 한국학 전문가의 역할을 세 가지로 정리하여 그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1)자국에서 한국을 올바로 알리고 대변하는 역할, 2)해당지역에서 한국학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있어서의 중심적인 역할, 3)한국문화를 제대로 알리고 보급 및 확산시키는 중심적인 역할을 들 수 있겠다. 아울러 동유럽 지역에서의 한국학 전문가 양성 가능성에 대해서는 루마니아의 바베쉬-보여이대학, 헝가리의 엘테대학, 불가리아의 소피아대학에서 운영하는 한국학 전공 강좌의 실태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현재 이들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한국학 전공의 강좌 현황, 재학생 및 교수진의 상황, 한국학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과 지원 등을 구체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아울러 논의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짚어 보고, 그에 대한 현실적인 개선책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해외 대학의 한국학 전공 유지 및 발전은 각 지역 출신의 한국학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일이므로 한국정부기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뿐만 아니라 현지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도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블라디미르 푸체크, "해외한국학백서" 을유문화사 524-540, 2007

      2 황정남, "해외한국학백서" 541-551, 2007

      3 이민희, "해외한국학백서" 을유문화사 495-523, 2007

      4 알렉산더 페도토프, "해외한국학백서" 을유문화사 484-494, 2007

      5 김보국, "해외한국학백서" 352-365, 2007

      6 곽수민, "해외한국학 동향 분석 및 발전요인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211-241, 2012

      7 또마쉬 호락, "체코 한국학 발전, 현황 및 전망" 55 : 149-166, 2018

      8 강병융, "중․동유럽 지역에서의 한국문학교육연구" 14 : b1-18, 2013

      9 김중섭,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10 (10): 61-81, 1999

      10 이은구, "동유럽지역에 대한 해외홍보정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해외한국학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2 (2): 281-304, 2000

      1 블라디미르 푸체크, "해외한국학백서" 을유문화사 524-540, 2007

      2 황정남, "해외한국학백서" 541-551, 2007

      3 이민희, "해외한국학백서" 을유문화사 495-523, 2007

      4 알렉산더 페도토프, "해외한국학백서" 을유문화사 484-494, 2007

      5 김보국, "해외한국학백서" 352-365, 2007

      6 곽수민, "해외한국학 동향 분석 및 발전요인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35 (35): 211-241, 2012

      7 또마쉬 호락, "체코 한국학 발전, 현황 및 전망" 55 : 149-166, 2018

      8 강병융, "중․동유럽 지역에서의 한국문학교육연구" 14 : b1-18, 2013

      9 김중섭,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 10 (10): 61-81, 1999

      10 이은구, "동유럽지역에 대한 해외홍보정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해외한국학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2 (2): 281-304, 2000

      11 박수영, "동유럽 지역의 한국학의 현황과 과제" 역사문화연구소 (25) : 399-421, 2006

      12 최권진, "동유럽 지역의 한국어 교육과 문법 교육" 16 : 351-388, 2005

      13 Taiana M. Simbirtseva, "Modern Korean Studies in Russia" 10 : 81-101,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
      2013-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3 0.13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59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