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PBL 기반 영어과학수업을 위한 문제 개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7464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PBL(Problem-Based Learning)에서 가장 중요하며 학습자들의 창의성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열쇠는 문제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문제 개발 절차를 구체화하고 초등학교 영어과학 수업에 적합한 PBL학습의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문제 개발을 위해 교육 내용 파악단계, 학습자 특성 파악 단계, 문제 발견 단계, 역할과 상황 설정 단계, 문제 작성 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 개발 단계를 바탕으로 Y 초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영어 교과 과정 중 하나인 영어과학 수업에서 PBL 학습법이 적합한 주제를 선정하여 5개의 문제를 개발하였다. 여전히 많은 영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 중심 수업, 모범 답안을 위한 지식 습득, 획일적인 평가가 아닌 21세기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 반드시 요구되는 창의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발표력, 자신감,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협동심,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PBL 학습법에 적합한 문제개발은 지속해서 연구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PBL(Problem-Based Learning)에서 가장 중요하며 학습자들의 창의성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열쇠는 문제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

      PBL(Problem-Based Learning)에서 가장 중요하며 학습자들의 창의성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열쇠는 문제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문제 개발 절차를 구체화하고 초등학교 영어과학 수업에 적합한 PBL학습의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문제 개발을 위해 교육 내용 파악단계, 학습자 특성 파악 단계, 문제 발견 단계, 역할과 상황 설정 단계, 문제 작성 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 개발 단계를 바탕으로 Y 초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영어 교과 과정 중 하나인 영어과학 수업에서 PBL 학습법이 적합한 주제를 선정하여 5개의 문제를 개발하였다. 여전히 많은 영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 중심 수업, 모범 답안을 위한 지식 습득, 획일적인 평가가 아닌 21세기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 반드시 요구되는 창의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발표력, 자신감,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협동심,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PBL 학습법에 적합한 문제개발은 지속해서 연구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blem development is important to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is key to the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of successful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PBL classes that effectively materialize problem development stages, and to develop learning using problem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Science classes. In this study, the steps for developing the problems are identifying educational content, identifying learners" characteristics, discovering problems, setting up roles and situations, and writing problems. Based on these steps, five PBL problems were developed by selecting a subject suitable for the PBL method of an English Science class, which is one of the English curriculums in elementary schools. Creative thinking, problem-solving skills, presentation skills, confidence, self-directed learning,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are required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of the 21st century, rather than teacher-centered instruction, acquiring knowledge for correct answers only, and uniform assessments, which still take place in many English education settings. Therefore, developing problems suitable for PBL learning should be continuously studied.
      번역하기

      Problem development is important to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is key to the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of successful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PBL classes that effectively materialize problem development stages, ...

      Problem development is important to Problem-Based Learning (PBL) and is key to the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of successful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PBL classes that effectively materialize problem development stages, and to develop learning using problems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English Science classes. In this study, the steps for developing the problems are identifying educational content, identifying learners" characteristics, discovering problems, setting up roles and situations, and writing problems. Based on these steps, five PBL problems were developed by selecting a subject suitable for the PBL method of an English Science class, which is one of the English curriculums in elementary schools. Creative thinking, problem-solving skills, presentation skills, confidence, self-directed learning,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are required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of the 21st century, rather than teacher-centered instruction, acquiring knowledge for correct answers only, and uniform assessments, which still take place in many English education settings. Therefore, developing problems suitable for PBL learning should be continuously studi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Y. S. Cho, "Theory and Practice of Problem-Based Learning" Hakjisa 96-100, 2006

      2 R. R. Sihaloho,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PBL) Model toward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Senior High School" 7 (7): 11-18, 2017

      3 G. Gorghiu, "Problem-Based Learning-An Efficient Learning Strategy In The Science Lessons Context" 191 : 1865-1870, 2015

      4 B. Akcay, "Problem-Base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6 : 26-36, 2009

      5 J. I. Choi, "Problem-Based Learning" Hakjisa 85-95, 2010

      6 N. Aldoobie, "ADDIE Model" 5 (5): 68-72, 2015

      7 H. J. Kim, "A Study on Applic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into Elementary Instruc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2

      8 H. J. Yoon, "(The)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strategy and the examination of its pedagogical effectiveness"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2009

      1 Y. S. Cho, "Theory and Practice of Problem-Based Learning" Hakjisa 96-100, 2006

      2 R. R. Sihaloho,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PBL) Model toward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Senior High School" 7 (7): 11-18, 2017

      3 G. Gorghiu, "Problem-Based Learning-An Efficient Learning Strategy In The Science Lessons Context" 191 : 1865-1870, 2015

      4 B. Akcay, "Problem-Based Learning in Science Education" 6 : 26-36, 2009

      5 J. I. Choi, "Problem-Based Learning" Hakjisa 85-95, 2010

      6 N. Aldoobie, "ADDIE Model" 5 (5): 68-72, 2015

      7 H. J. Kim, "A Study on Applic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into Elementary Instruc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2

      8 H. J. Yoon, "(The)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strategy and the examination of its pedagogical effectiveness"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