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접속조사문의 문장 구조 기술 고찰 = Describing the Structure of Connective Postposition Sentences in Grammar Teach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36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연구사 고찰 및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 영역 검토를 통해 접속조사문의 문장 구조와 확대 방식의 기술 경향을 살핀 논문이다. 접속조사문은 학습자 관점이나 탐구 과정에 따라 문장 구조를 설정할 수 있으며, 공동격 조사 ‘와/과’와의 비교를 통해 국어의 문법 현상을 다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문법 교육 측면에서 유용하다. 접속조사문의 문장 확대 방식에 대해 1970년대 생성문법적 연구에서는 심층에서 두 문장이 연결되어 있다는 논의가 주를 이루며, 1980년대와 90년대에는 표면 구조 측면에서 연결어미로 이어진 문장과 대등한 통사 현상이므로 이어진 문장으로 보아야 한다는 논의와 심층에서 두 문장이 연결되었다고 볼 만한 근거가 빈약하므로 홑문장으로 보아야 한다는 논의로 양분되어 있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접속조사문은 70년대 이후 생성문법적 관점의 논의와 같이 제4․5차 교육과정의 문법에서는 겹문장으로 처리하였으나, 최근의 교육과정 상의 문법 영역에서는 구 층위나 단어 층위의 접속으로 볼 뿐 절이나문 층위의 접속으로 보지 않으며, 생성문법의 변형 절차를 전통적 문법에서 인정하지 않는다는 논의를 받아들여 접속조사문의 문장 구조 범주에 대한 교육 내용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이 글에서는 문법 교육의 목적이 학습자의 탐구 능력을 바탕으로 사고 능력을 계발해야 한다는 점에서 한 문법 현상을 통해 다양한 문법 현상을 살필 수 있는 접속조사문의 문장 구조 등에 대한 최근 논의를 받아들이고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 포함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연구사 고찰 및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 영역 검토를 통해 접속조사문의 문장 구조와 확대 방식의 기술 경향을 살핀 논문이다. 접속조사문은 학습자 관점이나 탐구 과정에 따라 문...

      이 글은 연구사 고찰 및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 영역 검토를 통해 접속조사문의 문장 구조와 확대 방식의 기술 경향을 살핀 논문이다. 접속조사문은 학습자 관점이나 탐구 과정에 따라 문장 구조를 설정할 수 있으며, 공동격 조사 ‘와/과’와의 비교를 통해 국어의 문법 현상을 다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문법 교육 측면에서 유용하다. 접속조사문의 문장 확대 방식에 대해 1970년대 생성문법적 연구에서는 심층에서 두 문장이 연결되어 있다는 논의가 주를 이루며, 1980년대와 90년대에는 표면 구조 측면에서 연결어미로 이어진 문장과 대등한 통사 현상이므로 이어진 문장으로 보아야 한다는 논의와 심층에서 두 문장이 연결되었다고 볼 만한 근거가 빈약하므로 홑문장으로 보아야 한다는 논의로 양분되어 있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접속조사문은 70년대 이후 생성문법적 관점의 논의와 같이 제4․5차 교육과정의 문법에서는 겹문장으로 처리하였으나, 최근의 교육과정 상의 문법 영역에서는 구 층위나 단어 층위의 접속으로 볼 뿐 절이나문 층위의 접속으로 보지 않으며, 생성문법의 변형 절차를 전통적 문법에서 인정하지 않는다는 논의를 받아들여 접속조사문의 문장 구조 범주에 대한 교육 내용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이 글에서는 문법 교육의 목적이 학습자의 탐구 능력을 바탕으로 사고 능력을 계발해야 한다는 점에서 한 문법 현상을 통해 다양한 문법 현상을 살필 수 있는 접속조사문의 문장 구조 등에 대한 최근 논의를 받아들이고 교육과정이나 교과서에 포함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rammar education hold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an improve the cognitive skills of students, such as inference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through activities of inquiry. It is thus important to select content for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that will stimulate students’ linguistic curiosity and cultivate their skills of inquiry. This study focused on sentences expanded by means of the connective postposition ‘와/과.’ Connective postposition sentences can be classified as either complex or simple sentence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learner and the inquiry process, as the grammatical phenomena of this Korean construction can be fully understood by comparing it to the comitative case postposition ‘와/과.’ The treatment of connective postposition sentences in the sentence structure section of the curriculum has been based on discussions about such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academic circles. Traditionally, sentences with subjects or objects enumerated through ‘와/과’ were regarded as connected sentences. Currently, no clear explanation exists about the structure of connective postposition sentences, in light of the argument that the connective postposition should be regarded as a connection at the phrase or word level rather than the clause or sentence level, and that the transformative procedure of generative grammar should not be accepted by traditional grammar. However, there are sufficient syntactic and semantic grounds to distinguish ‘와/과’ as a connective and comitative case postposition, which means there are grounds to classify connective postposition sentences as complex sentences. Considering that one of the goals of grammar education is to help learners develop their cognitive skills based on their inquiry capabilities, the curriculum and grammar activities ought to be informed by discussions on the ways in which connective postposition sentences are classified, as they offer the chance to examine various grammatical devices within a single phenomenon.
      번역하기

      Grammar education hold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an improve the cognitive skills of students, such as inference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through activities of inquiry. It is thus important to select content for grammar teaching and learnin...

      Grammar education hold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can improve the cognitive skills of students, such as inference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through activities of inquiry. It is thus important to select content for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that will stimulate students’ linguistic curiosity and cultivate their skills of inquiry. This study focused on sentences expanded by means of the connective postposition ‘와/과.’ Connective postposition sentences can be classified as either complex or simple sentence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the learner and the inquiry process, as the grammatical phenomena of this Korean construction can be fully understood by comparing it to the comitative case postposition ‘와/과.’ The treatment of connective postposition sentences in the sentence structure section of the curriculum has been based on discussions about such sentences in Korean language academic circles. Traditionally, sentences with subjects or objects enumerated through ‘와/과’ were regarded as connected sentences. Currently, no clear explanation exists about the structure of connective postposition sentences, in light of the argument that the connective postposition should be regarded as a connection at the phrase or word level rather than the clause or sentence level, and that the transformative procedure of generative grammar should not be accepted by traditional grammar. However, there are sufficient syntactic and semantic grounds to distinguish ‘와/과’ as a connective and comitative case postposition, which means there are grounds to classify connective postposition sentences as complex sentences. Considering that one of the goals of grammar education is to help learners develop their cognitive skills based on their inquiry capabilities, the curriculum and grammar activities ought to be informed by discussions on the ways in which connective postposition sentences are classified, as they offer the chance to examine various grammatical devices within a single phenomen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와/과’의 품사 범주와 접속조사문의 문장 구조
      • 3. 교육과정에서의 접속조사문 기술에 대한 검토와 제언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와/과’의 품사 범주와 접속조사문의 문장 구조
      • 3. 교육과정에서의 접속조사문 기술에 대한 검토와 제언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곤, "현대국어통어론" 일조각 1998

      2 조경순, "현대 국어 ‘와’ 조사구의 의미역 연구" 국어국문학회 (154) : 33-55, 2010

      3 양정석, "한국어통사구조론" 한국문화사 2005

      4 최재희, "한국어 문법론" 태학사 2004

      5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6 이관규, "학교문법론" 월인 2005

      7 김유석, "학교 문법의 겹문장 체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박이정 2014

      9 남기심, "토씨 ‘와/과’의 쓰임에 대하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66 : 221-239, 1990

      10 교육부, "제1차․제2차․제3차․제4차․제5차․제6차․제7차․2007개정․2011개정․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1 김승곤, "현대국어통어론" 일조각 1998

      2 조경순, "현대 국어 ‘와’ 조사구의 의미역 연구" 국어국문학회 (154) : 33-55, 2010

      3 양정석, "한국어통사구조론" 한국문화사 2005

      4 최재희, "한국어 문법론" 태학사 2004

      5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6 이관규, "학교문법론" 월인 2005

      7 김유석, "학교 문법의 겹문장 체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박이정 2014

      9 남기심, "토씨 ‘와/과’의 쓰임에 대하여"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66 : 221-239, 1990

      10 교육부, "제1차․제2차․제3차․제4차․제5차․제6차․제7차․2007개정․2011개정․2015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11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61

      12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13 김영희, "여동 구문과 ‘와’" 국어학회 38 : 155-180, 2001

      14 이정택, "문장 성분 분류 試論-그 체계 정립을 위하여" 한국어학회 16 : 375-389, 2002

      15 김은성, "문법 교육내용 체계화 연구 - 고등학교 <문법> ‘문장’ 단원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49) : 731-753, 2008

      16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문법" 교육 인적 자원부 2002

      17 김영희, "대칭 관계와 접속 조사 ‘와’" 한글학회 154 : 39-61, 1974

      18 윤평현, "국어의미론" 도서출판 역락 2008

      19 최재희, "국어의 접속문 구성 연구" 탑출판사 1991

      20 노황진, "국어의 {와}에 대한 연구" 동악어문학회 25 : 59-111, 1990

      21 양정석, "국어문법의 탐구 3집" 태학사 1996

      22 이익섭,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1999

      23 김민수, "국어문법론" 일조각 1971

      24 이익섭, "국어문법론" 학연사 1983

      25 양정석, "국어동사의 의미분석과 연결이론" 박이정 1997

      26 이홍식,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월인 2000

      27 박호관, "국어 명사구의 유형과 통사구조" 우리말글학회 23 : 25-48, 2001

      28 최재희, "국어 명사구 접속의 연구" 한글학회 188 : 91-115, 1985

      29 양정석, "교호성과 '-와'" 배달말학회 (35) : 369-408, 2004

      30 김완진, "文接續의 ‘와’와 句接續의 ‘와’"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6 (6): 1-10, 1970

      31 조경순, "‘을/를’과 교체 가능한 ‘와/과’ 명사구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49 : 109-133, 2015

      32 이필영, "‘와’의 접속기능과 격표시기능에 관하여" 수련어문학회 16 : 21-46, 1989

      33 김영희, "‘와’의 양상" 국어국문학회 65․66 : 53-81, 1974

      34 최규수, "‘시점’으로 본 {와}의 기능" 국어국문학회 28 : 7-30, 1991

      35 송향근, "‘명사구(NP)+와’ 논항의 의미역" 안암어문학회 39 : 452-471,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6 1.17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