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에’와 敍述語의 關係 考察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verbial case marker ‘-e’ and the predic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36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 문장 내에서의 부사격조사 ‘-에’와 서술어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선행연구들을 살피면 대체로 ‘-에’의 다양한 의미 기능이 형성될 때의 요소나 형성 조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고 있다. ‘-에’의 기본의미가 ‘-에’가 명사와 용언이 맺는 통사․의미적 관계를 표시한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으나 ‘-에’의 의미역의 범주는 명사와 용언 사이의 논리․의미적 관계를 뜻하는 독립적인 범주로서 ‘-에’의 기본의미와는 구별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위해 말뭉치 자료의 분석을 통해부사격조사 ‘-에’와 서술어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해 다양한 ‘-에’의 의미가 사전의 배열 순서와는 다른 빈도수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기본적으로 ‘처소’를 의미하는 ‘-에’의 의미가 추상화를 통해 ‘상태’로, 그 의미 영역이 확대 되었고, ‘원인’까지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 문장 내에서의 부사격조사 ‘-에’와 서술어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선행연구들을 살피면 대체로 ‘-에’의 다양한 의미 기능이 형성될 때의 요소나 형성 ...

      이 논문의 목적은 국어 문장 내에서의 부사격조사 ‘-에’와 서술어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선행연구들을 살피면 대체로 ‘-에’의 다양한 의미 기능이 형성될 때의 요소나 형성 조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고 있다. ‘-에’의 기본의미가 ‘-에’가 명사와 용언이 맺는 통사․의미적 관계를 표시한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으나 ‘-에’의 의미역의 범주는 명사와 용언 사이의 논리․의미적 관계를 뜻하는 독립적인 범주로서 ‘-에’의 기본의미와는 구별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위해 말뭉치 자료의 분석을 통해부사격조사 ‘-에’와 서술어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해 다양한 ‘-에’의 의미가 사전의 배열 순서와는 다른 빈도수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기본적으로 ‘처소’를 의미하는 ‘-에’의 의미가 추상화를 통해 ‘상태’로, 그 의미 영역이 확대 되었고, ‘원인’까지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verbial case marker ‘-e (에)’ and the predicate. Previous research on ‘-e (에)’ has not discussed in a concrete manner the conditions on its semantic function. The basic meaning of ‘-e (에)’ as indicating a meaningful syntactic relationship between a noun phrase and a predicate cannot be denied. It therefore seems reason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thematic role of ‘-e (에)’ as indicating a logical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a noun phrase and a predicate, and its basic meaning. To address this issue,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 (에)’ and the predicate through corpus analysis. Through the corpus analysis, we ascertained that the frequency of the several meanings of ‘-e (에)’ was quite distinct from the order of their arrangement in a dictionary. Furthermore, we discuss the abstract concept of ‘-e (에)’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ituation it indicates.
      번역하기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verbial case marker ‘-e (에)’ and the predicate. Previous research on ‘-e (에)’ has not discussed in a concrete manner the conditions on its semantic function. The basic meaning of ‘-e (...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verbial case marker ‘-e (에)’ and the predicate. Previous research on ‘-e (에)’ has not discussed in a concrete manner the conditions on its semantic function. The basic meaning of ‘-e (에)’ as indicating a meaningful syntactic relationship between a noun phrase and a predicate cannot be denied. It therefore seems reason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thematic role of ‘-e (에)’ as indicating a logical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a noun phrase and a predicate, and its basic meaning. To address this issue,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 (에)’ and the predicate through corpus analysis. Through the corpus analysis, we ascertained that the frequency of the several meanings of ‘-e (에)’ was quite distinct from the order of their arrangement in a dictionary. Furthermore, we discuss the abstract concept of ‘-e (에)’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ituation it indica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緖論
      • 2. 先行 硏究 考察
      • 3. ‘-에’와 共起하는 敍述語의 頻度와 分布
      • 4. ‘-에’의 擴大와 敍述語
      • 【국문초록】
      • 1. 緖論
      • 2. 先行 硏究 考察
      • 3. ‘-에’와 共起하는 敍述語의 頻度와 分布
      • 4. ‘-에’의 擴大와 敍述語
      • 5. 結論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im Dong Sig, "현대국어 동사의 통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2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탑출판사 1986

      3 남승호, "한국어 이동 동사의 의미구조와 논항교체" 서울대 어학연구소 39 : 111-145, 2002

      4 양정석, "한국어 동사의 어휘구조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2

      5 앙드레 베르제, "프랑스 고교철학 2 : 인간과 세계" 정보여행 2003

      6 김일웅, "풀이말의 결합가와 격" 한글학회 186 : 35-71, 1984

      7 박만수, "토씨「에」의 연구" 동아대 국어국문학과 6 : 211-235, 1985

      8 安明哲, "처격 ‘에’의 의미"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7 (7): 245-268, 1982

      9 강은국, "조선어 문형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3

      10 고동혁, "조선어 문형 개론" 사회과학출판사/한국문화사 1994

      1 Kim Dong Sig, "현대국어 동사의 통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2 홍재성, "현대 한국어 동사구문의 연구" 탑출판사 1986

      3 남승호, "한국어 이동 동사의 의미구조와 논항교체" 서울대 어학연구소 39 : 111-145, 2002

      4 양정석, "한국어 동사의 어휘구조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2

      5 앙드레 베르제, "프랑스 고교철학 2 : 인간과 세계" 정보여행 2003

      6 김일웅, "풀이말의 결합가와 격" 한글학회 186 : 35-71, 1984

      7 박만수, "토씨「에」의 연구" 동아대 국어국문학과 6 : 211-235, 1985

      8 安明哲, "처격 ‘에’의 의미"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7 (7): 245-268, 1982

      9 강은국, "조선어 문형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3

      10 고동혁, "조선어 문형 개론" 사회과학출판사/한국문화사 1994

      11 이기동, "조사 에와 에서의 기본 의미" 한글학회 173-174 : 9-33, 1981

      12 고석주, "조사 ‘에’의 의미 재고" 국어학회 (61) : 93-115, 2011

      13 김지은, "조사 ‘-로’의 의미와 용법에 대한 연구" 國語學會 31 : 361-393, 1998

      14 崔鉉培, "우리말본" 正音社 1989

      15 우형식, "서술동사의 의미와 서술구조;이동동사 ‘나가/오다’를 중심으로" 한국언어과학회 1 : 121-158, 1994

      16 유영은, "사전에서의 다의어 처리 실태와 다의어 교육 방향 : 다의 동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7 이지수, "부사격 조사 '에'와 '로'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8 洪允杓, "방향성 표시의 격" 國語學會 6 : 111-132, 1978

      19 정병철, "다의 동사 ‘잡다’의 인지적 접근에 의한 사전 처리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24 : 247-279, 2007

      20 김진우, "기본문형 설정-문법교육의 새로운 방향(2)-" 서울대어학연구소 2 (2): 85-103, 1966

      21 고영근, "국어의 문형 연구 시론" 서울대 어학연구소 1 (1): 27-33, 1969

      22 성광수, "국어문형에 대한 고" 안암어문학회 13 : 7-32, 1971

      23 정교환, "국어문형고" 국어국문학회 65-66 : 137-156, 1974

      24 이익섭, "국어문법론" 학연사 1983

      25 金敏洙, "국어문법론" 일조각 1971

      26 양정석, "국어동사의 의미 분석과 연결이론" 박이정 1995

      27 남기심, "국어 조사의 용법" 서광학술자료사 1993

      28 강기진, "국어 조사 ‘에’의 의미 기능" 東國大學校國語國文學部 13 : 23-41, 1986

      29 高京泰, "국어 조사 '에'와 '로'의 의미 연구 : 의미 기술을 위한 인지의미론적 접근"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9

      30 전수태, "국어 이동동사 의미연구" 한신문화사 1987

      31 남경완, "국어 용언의 의미 분석" 태학사 2008

      32 조경순, "국어 세 자리 서술어의 의미구조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13 : 117-142, 2003

      33 진기호, "국어 부사격조사의 한정 기능 연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1999

      34 이홍식,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월인 2000

      35 우형식, "국어 동사 구문의 분석" 태학사 1998

      36 남기심, "개정판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93

      37 安明哲, "補助助詞 ‘-서’의 의미" 國語學會 14 (14): 478-506, 1985

      38 백선기, "處格助詞‘에’의 意味機能과 文構成要素의 硏究" 목원대 국어교육과 5 : 107-136, 1985

      39 朴良圭, "國語의 處格에 대한 연구" 서울대 1972

      40 金敏洙, "國語의 格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49 (49): 25-45, 1970

      41 趙桓瑾, "國語文章構造에 關한 統辭論的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75

      42 周時經, "國語文法" 博文書店 1910

      43 李南淳, "‘에’와 ‘로’의 統辭와 意味" 한국언어학회 8 (8): 213-239, 1983

      44 정희정, "‘에’를 중심으로 본 토씨의 의미" 國語學會 17 : 153-175, 1988

      45 조재형, "‘-에’와 ‘-에서’의 기본의미 비교 고찰" 한국언어학회 39 (39): 1021-1041, 2014

      46 Fillmore, C., "Universals in Linguistic Theory" Holt, Reinhart and Winston Inc 1968

      47 Lyons, J., "Semantics"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48 Jackendoff, R., "Semantic Structures" MIT Press 1990

      49 Lakoff, G., "Metaphors We Live b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50 Tenière, L., "Elements de Syntaxe Structure" C, Klinksiek 195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6 1.17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