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효율적인 촬영을 위한 OpenCV 및 Dlib을 활용한 실시간 정면 얼굴 판별 시스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63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자동화된 얼굴 인식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면 얼굴 감지 방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penCV와 Dlib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면 얼굴 감지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양쪽 눈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의 기울기와 얼굴의 좌우 면적 비율을 정면의 기준으로 사용하였으며, 면적은 신발끈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0.05의 수평 기울기 임계값과 0.05의 얼굴 면적 비율 임계값을 가질 때 가장 높은 성능을 기록하며, 실시간으로 얼굴이 정면인지 아닌지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 시스템은 증명사진 촬영 시 사용자가 스튜디오를 방문할 필요 없이 집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사진관 방문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추가 실험과 최적화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더욱 개선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자동화된 얼굴 인식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면 얼굴 감지 방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penCV와 Dlib을 사용하여 실...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자동화된 얼굴 인식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면 얼굴 감지 방법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penCV와 Dlib을 사용하여 실시간 정면 얼굴 감지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양쪽 눈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의 기울기와 얼굴의 좌우 면적 비율을 정면의 기준으로 사용하였으며, 면적은 신발끈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0.05의 수평 기울기 임계값과 0.05의 얼굴 면적 비율 임계값을 가질 때 가장 높은 성능을 기록하며, 실시간으로 얼굴이 정면인지 아닌지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 시스템은 증명사진 촬영 시 사용자가 스튜디오를 방문할 필요 없이 집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사진관 방문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추가 실험과 최적화를 통해 시스템의 성능을 더욱 개선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automated facial recognition systems in various application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ccurate and efficient frontal face detection methods.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real-time frontal face detection system using OpenCV and Dlib. The slope of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eyes and the ratio of the area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ce were used as criteria for frontality, and the area was calculated using the shoelace formula. The proposed system effectively determined whether a face was frontal or not in real time. This system allows users to conveniently take proof photos at home without visiting a photo studio, significantly improving convenience by reducing the time and costs associated with studio visit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further improving the system's performance through additional experiments and optimization in various environments.
      번역하기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automated facial recognition systems in various application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ccurate and efficient frontal face detection methods.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real-time frontal face detecti...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automated facial recognition systems in various application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ccurate and efficient frontal face detection methods.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real-time frontal face detection system using OpenCV and Dlib. The slope of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eyes and the ratio of the area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ace were used as criteria for frontality, and the area was calculated using the shoelace formula. The proposed system effectively determined whether a face was frontal or not in real time. This system allows users to conveniently take proof photos at home without visiting a photo studio, significantly improving convenience by reducing the time and costs associated with studio visit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further improving the system's performance through additional experiments and optimization in various environ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기존 연구
      • Ⅲ. 제안된 방법
      • Ⅳ. 시스템 구현
      • Ⅴ. 실험 및 결과
      • Ⅰ. 서론
      • Ⅱ. 기존 연구
      • Ⅲ. 제안된 방법
      • Ⅳ. 시스템 구현
      • Ⅴ. 실험 및 결과
      • Ⅵ. 논의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